$\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조음기관 기능에 PNF를 이용한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gram by PNF on the Articulator Function of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9 no.3, 2014년, pp.303 - 310  

박유린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 ,  권도하 (대구대학교 언어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PNF)를 이용한 중재프로그램이 조음기관의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뇌졸중 환자 중에 PNF을 이용한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군 4명, 조음기관 훈련프로그램을 실시한 대조군 4명, 어떠한 중재도 하지 않은 통제군 4명을 대상으로 주 3회 30분~50분씩 총 24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각 집단별로 사전, 사후 최대발성시간(MPT), 교대운동속도(AMR), 연속운동속도(SMR)을 평가하여 비교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실험군은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대조군은 AMR의 /터/, /아/, /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통제군은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PNF를 이용한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조음기관의 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이며, 특히 혀의 기능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PNF) on articulator function of the stroke patients. This study evaluated pre- and post- articulator function, targeting the test group for whom an program by PNF was applied, the contrast group for w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PNF를 이용하여 구강주변과 호흡근을 강화시키는 프로그램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조음기관 기능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임상에서 효율적으로 중재할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2명, 사망자 수는 남녀 전체 26,517명으로 사망 원인 순위 가운데 2위를 차지하며, 만성질환이 있는 노인의 경우 삶의 질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22].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구어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NF를 이용한 중재프로그램을 만들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PNF를 이용한 운동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조음기관 훈련 프로그램에 비하여 대각선, 저항운동, 몸통 및 골반 분리운동을 통한 호흡 운동을 포함한다.
  • 각 집단별 조음기관 기능은 조음기관 구조·기능 평가(Speech Mechanism Screening Test : SMST) 도구를 이용하여 조음기관 기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들이 뇌졸중 환자로서 마비성 구어장애가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구조적 변화는 배제시키고 객관적인 중재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조음교대 운동의 규칙성 및 정확도에 대한 평가만을 실시하였다.
  • 최대발성 시간은 발성시 호흡과 성대의 협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의 최대발성시간 측정을 1회의 호흡으로 /아/ 모음을 발성할 때의 발성을 최대로 지속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검사방법은 대상자가 모음을 최대한 길게 발성하는 동안 검사자는 초시계(Casio HS-3V, Japan)를 이용하여 최대발성시간을 측정하였으며, 2회 반복 측정치 중 최대 측정치를 사용하였다[2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수행한, 뇌졸중 환자의 구어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NF를 이용한 중재프로그램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을 살펴보자면, 첫째, 참여한 연구 대상자의 수가 한정되어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둘째, 마비성 구어장애의 유형별 또는 중증도에 따른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적용하여 제시하지 못하였다. 셋째, 다양한 구어형태를 평가하지 못하여 뇌졸중 환자의 질적인 구어 향상을 살펴보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IT사회에 접어들어 더 다양한 매체와 결합하여 첨단 시스템을 도입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
뇌졸중 환자가 야기하는 것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는 뇌손상으로 인해 자신의 감정, 기대, 욕구에 대한 표현이 제한되어 타인과의 관계형성은 물론 재활과정에도 막대한 지장을 초래한다. 인간이 의사소통을 해야겠다는 의도를 생성하고 의도에 따른 상징화로써 언어의 부호화가 이루어지며, 이후 부호화된 언어가 구어 운동의 프로그래밍 단계를 거쳐 조정 및 집행의 과정을 통하여 구어가 표출된다.
구어가 표출되기 위한 과정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는 뇌손상으로 인해 자신의 감정, 기대, 욕구에 대한 표현이 제한되어 타인과의 관계형성은 물론 재활과정에도 막대한 지장을 초래한다. 인간이 의사소통을 해야겠다는 의도를 생성하고 의도에 따른 상징화로써 언어의 부호화가 이루어지며, 이후 부호화된 언어가 구어 운동의 프로그래밍 단계를 거쳐 조정 및 집행의 과정을 통하여 구어가 표출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Y. Oh and E. Kim, "Implementation and Analysis of 3D Fish Encyclopedia for Children Education in Mobile Environment,"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 2, 2013, pp. 355-361. 

  2. F. L. Darley, A. E. Aronson, and J. R. Brown, "Clusters of deviant speech dimensions in the Dysarthrias," J. of Speech and Hearing Research, vol. 12, 1969, pp. 462-496. 

  3. J. R. Duffy, "Motor Speech Disorders: substr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gagement," St. Louis: Mosby-Year Book, 1995. 

  4. J. R. Duffy, "Motor Speech Disorders: substrates,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2nd ed)," St Louis: Mosby, 2005. 

  5. M. Catherine, M. Margaret, and A. Carolyn, "Non-speech oro-motor exercise use in acquired Dysarthria management: regimes and rationales," Int. J. of Language & Communication Disorders, vol. 45, no. 6, 2010, pp. 617-629. 

  6. K. M. Yorkston, D. Beukelman, and K. Bell, "Clinical management of dysarthric speakers," San Diego, CA: College-Hill, 1998. 

  7. G. M. Schulz, W. O. Dingwall, and C. L. Ludlow, "Speech and Oral Motor Learning in Individuals With Cerebeller Atrophy," J.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42, 1999, pp. 1157-1175. 

  8. H. M. Clark, D. A. Robin, and G. McCullah, "Motor Control in Children and Adults During a Non-Speech Oral Task," J.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44, 2001, pp. 1015-1025. 

  9. J. R. Green, C. A. Moore, and K. J. Reilly, "The Sequential Development of Jaw and Lip Control for Speech," J.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45, 2002, pp. 66-79. 

  10. E. Hwang, "The Clinical teaching of Language disorders," Seoul: Hongicjae, 1987. 

  11. H. Kim and D. Kwon, "Effect of respiratory muscles training program on improvement of speech production mechanism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J. of speech and hearing disorders, vol. 14, no. 2, 2005, pp. 89-109. 

  12. J. H. Kaas, "Plasticity of sensory and motor maps in adult mammals," Annual review of Neuroscience, vol. 14, 1991, pp. 137-167. 

  13. C. Ghez and R. Sainburg, "Proprioceptive control of interjoint coordination, Canadian," J. of Physiology and Phamacology, vol. 73, 1995, pp. 273-284. 

  14. M. Kim, Y. Kim, and Y. Kim, "A study on the applying of training program to facilitate deglution," J.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y Nursing, vol. 13, no. 1, 2001, pp. 136-147. 

  15. M. Knott and D. E. Voss,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 Patterns and techniques (2nd ed). New York, Harper & Row, 1968. 

  16. G. Choi, "The effects of Static and PNF Stretching on Range of Motion and Jump Performance in the Taekwondo Player,"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 11, 2013, pp. 1771-1776. 

  17. G. J. T. Miller and K. E. Light, "Strength training in spastic hemiparesis : should it be avoided?," Neurorehabilitation, vol. 9, 1997, pp. 17-28. 

  18. D. L. Damiano and M. F. Abel, "Functional outcomes of strength training in spastic cerebral palsy," Arch Physiology Medicine Rehabilitation, vol. 79, no. 2, 1998, pp. 119-125. 

  19. L. Ada, S, Dorsch, and C. G. Canning, "Strengthening interventions increase strength and improve activit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Aust J. of Physiotherapy, vol. 52, no. 4, 2006, pp. 241-248. 

  20. M. Shin, J. Kim, S. Lee, and S. Lee, Speech Mechanism Screeing Test. Seoul : Hakjisa, 2010. 

  21. S. Lee, "The effects of articulator and utterance training on the speech intelligibility of adult with Dysarthria," Danko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Master's thesis, 2000. 

  22. B. Park, D. Ko, and H. Park,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 and quality of life among some elderly,"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 6, 2013, pp. 941-948. 

  23. V. L. Hammen, K. M. Yorkston, and F. D. Minifie, "Effect of temporal alterations on speech intelligibility in Parkinsonian Dysarthria," J.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vol. 37, 1994, pp. 244-25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