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T 환경에서 소방공무원의 근골격계 증상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ymptom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firefighter under the IT environment 원문보기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9 no.3, 2014년, pp.311 - 322  

오경재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  이정미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  양충용 ,  박형주 (호원대학교 소방행정학과) ,  박윤희 (호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유찬욱 (한려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강은영 (호원대학교 언어치료학과) ,  정복희 (호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IT환경에서 소방관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대하여 작업 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평가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직접 대면 면담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는 전체 366명의 소방관이 참여하였다. 평가 방법은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에 대한 평가를 위해 NIOSH의 증상 표를 이용한 자가 평가식 설문지로 측정하였으며, 건강관련 삶의 질의 평가를 위해 SF-36을 근거로 측정하였다. 근골격계 질환의 유병률은 상지에서 38.0%, 허리에서 35.5%, 하지에서 21.6%이었으며, 59.3%에서 신체의 두 부위 이상에서 증상이 발생하였다.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는 소방관은 상지에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지 않는 소방관보다 감정 기복 제한을 제외한 삶의 질의 7 범주에서 유의한 낮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에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는 소방관은 하지나 허리에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을 갖지 않는 소방관보다 삶의 질의 모든 범주에서 유의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근골격계 질환이 삶의 질에 부정적 효과를 갖음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소방관에서 근골격계 질환의 예방은 건강 관련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적 전략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impact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QoL) in the firefighter under the recent IT environment. The data were collected by face to face interview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 the 366 respondents. WMSD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그동안 소방업무 관련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에 대한 연구는, 증상호소율과 관련된 요인, 업무가 근골격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 파악 및 인간공학적 평가, 직무스트레스와 증상간의 연관성 파악에만 초점이 맞추어 진행되었다[9]. 소방공무원에서 근골격계 질환과 건강관련 삶의 질(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의 관련성 및 특성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으로 이에 이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질환 증상여부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질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신체부위별 근골격계질환 증상여부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신체부위별 근골격계 질환 이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방공무원의 업무 특성상 발생하는 문제점은? 이러한 소방공무원의 작업활동은 위험성, 긴급성 및 활동환경의 이상성(異狀性)의 상존, 그리고 강인한 체력이 요구되는 등의 공통된 특수성을 지니며 소방공무원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1]. 소방공무원은 업무 특성상 육체적 힘을 많이 요구할 뿐만 아니라, 대기상태에서 출동신호에 따라 급격하게 육체적 동작의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신체적으로 큰 스트레스를 주게 되고 신체리듬의 정상적인 흐름을 저해하게 되어 결국 각종 사고 및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2]. 또한 재난요인, 생활환경 및 질병구조의 변화와 같은 사회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이들의 업무도 점차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다양한 건강위험 요인에 많이 노출되고 있다[3].
소방공무원은 어떠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업무에 영향을 받는가? 소방공무원은 업무 특성상 육체적 힘을 많이 요구할 뿐만 아니라, 대기상태에서 출동신호에 따라 급격하게 육체적 동작의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신체적으로 큰 스트레스를 주게 되고 신체리듬의 정상적인 흐름을 저해하게 되어 결국 각종 사고 및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2]. 또한 재난요인, 생활환경 및 질병구조의 변화와 같은 사회환경이 급변함에 따라 이들의 업무도 점차 복잡해지고 이에 따라 다양한 건강위험 요인에 많이 노출되고 있다[3]. 이러한 소방공무원의 직무수행에 따른 노동강도는 타 직종 종사자들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신체적 에너지 소모 및 작업강도가 비슷한 직종의 근로자보다 작업수행의 예측성이 낮고, 작업환경이 다양한 장해요인으로 노출되고 있어 근골격계질환의 발생률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4-5].
소방공무원은 직능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최근 정보통신기술과 유비쿼터스의 환경에서 근무하는 소방공무원은 정의상 화재를 예방, 경계 또는 진압함을 직무로 할 뿐만 아니라 응급구조․구급을 자신의 역할로 하고 있는 국가공무원이다. 소방공무원은 직능에 따라 화재 발생 시 화재 진압을 담당하는 진압대원, 인명 구조활동을 하는 구조대원, 응급환자 구급활동을 하는 구급대원,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대원 및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행정대원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소방공무원의 작업활동은 위험성, 긴급성 및 활동환경의 이상성(異狀性)의 상존, 그리고 강인한 체력이 요구되는 등의 공통된 특수성을 지니며 소방공무원의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T.-W. Kim, K.-S. Kim, and Y.-S. Ahn,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Field Firefight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22, no. 4, Apr. 2010, pp. 378-387. 

  2. K.-S. Kim, "Health Hazards in Firefighters," HANYANG MEDICAL REVIEWS, vol. 30, Apr. 2010, pp. 296-304. 

  3. E.-J. Ji, Y.-K. Yoo, and B.-H. Lee, "The Changes of the body composition and vascular flexibility According to Pilates mat Exercise during 12 weeks in elderly women,"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v, 2013, pp. 1777-1783. 

  4. P. A. Reichelt and K. M. Conrad, "Musculoskeletal injury : Ergonomics and physical fitness in firefighters," J.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10, 1995, pp. 735-746. 

  5. M. Gentzler and S. Stader, "Posture stress on firefighters and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EMTs) associated with repetitive reaching, bending, lifting, and pulling tasks," In "WORK" , 2010, vol. 37, no. 3, Mar. 2012, pp. 227-239. 

  6. S. A. Lavender, K. M. Conrad, P. A. Reichelt, A.-K. Kohok, and J. Gacki-Smith, "Designing ergonomic interventions for EMS workers - part II: lateral transfers," Appl Ergon, vol. 38, Feb. 2007, pp. 227-236. 

  7. J. M. Waal, C. B. Terwee, D. A. Windt, L. M. Bouter, and J. Dekker, "The impact of non-traumatic hip and knee disorder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 measured with the SF-36 or SF-12. a systematic review," Qual Life Res, vol. 14, no. 4, Apr. 2005, pp. 1141-1155. 

  8. J. Bahk and S. Roh,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Symptoms of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19, Feb. 2007, pp. 156-163. 

  9. K. Lee, H. Heo, D. Kim, I. Kim, S. Rho, J. Jung, and J. Mun, "The Factors Related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nd Cor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HRQOL among Municipal Fire Officers in Incheon,"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21, no. 3, Mar. 2009, pp. 267-275. 

  10. S. A. Lavender, K. M. Conrad, P. A. Reichelt, F. T. Meyer, and P. W. Johnson, "Postural analysis of paramedics simulating frequently performed strenuous work tasks," Appl Ergon, vol. 31, no. 1, Jan. 2000, pp. 45-57. 

  11. A. Punaxallio, S. Lusa, and R. Luukkonen, "Protective equipment affects balance abilities differently in younger and older firefighters," Aviation, Space, and Environmental Medicine, vol. 74, no. 11, Nov. 2003, pp. 1151-1156. 

  12. J. Gong, "The Effcts of Static and PNF Stretching on Range of Motion and Jump Performance in the Taekwondo Player," J.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vol. 8, no. 11, Nov. 2013, pp. 1771-1776. 

  13. B. Chong, C. Yang, and G. Oh, "The Difference of Subjective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Vinylhouse and Non-vinylhouse Farm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5, no. 4, Apr. 2010, pp. 68-75. 

  14. K. Manderbacka, O. Lundberg, and P. Martikainen, "Do risk factors and health behaviours contribute to self-ratings of health?," SOC SCI MED, vol. 48, no. 12, Dec. 1999, pp. 1713-172. 

  15. R. Trond, E. M. Bente, and W. N. Monica, "Occupation, lifestyle factor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Hordaland Health Study," J. Occup. Environ. Med, vol. 45, no. 3, Mar. 2003, pp. 324-332. 

  16. R R. Mody and M. J. Smith, "Smoking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 findings from the 2001 Behavioral Risk Factor Surveillance System data," AmJ. Health Promot, vol. 20, no. 4, Mar-Apr. 2006, pp. 251-258. 

  17. J. Hur and Y. Yang, Therapeutic self exercise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Seoul, Joung Dam, 2006, pp. 15-80. 

  18. E. L. Wergeland, B. Veiersted, M. Ingre, B. Olsson, T. Akerstedt, T. Bjørnskau, and N, Varg, "A shorter workday as a means of reducing the occurr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vol. 29, no. 1, Feb. 2003, pp. 27-34. 

  19. T. Morken, T. Riise, B. Moen, O. Bergum, S. H. Hauge, S. Holien, A. Langedrag, H. O. Olson, S. Pedersen, I. L. Saue, G. M. Seljebo, and V. Thoppil, "Frequent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reduc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industrial workers," Occup Med (Lond), vol. 52, no. 2, Mar. 2002, pp. 91-98. 

  20. H. S. Picavet and N. Hoeyman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multiple musculoskeletal diseases: SF-36 and EQ-5D in the DMC3 study," Ann Rheum Dis, vol. 63, no. 6, June 2004. pp. 723-7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