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공무원의 근골격계 질환: 2011년~2013년 공상신청 분석
Muscuoloskeletal Disorders of Korean Fire Fighters: Applicants for Public Worker's Compensation from 2011 to 2013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3, 2016년, pp.133 - 137  

윤장원 (호서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소방서에 근무하는 소방공무원 중 2011년부터 2013년까지 근골격계 질환으로 공상을 신청 한 51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분석하여 그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공상 예방을 위한 대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2011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공상을 신청한 1596명의 공상신청자의 정보를 국민안전처로부터 제공받아 주병명을 기준으로 근골격계 질환을 판별하여 이 중 510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공상신청자는 남성이 92%로 여성보다 월등히 많았고, 공상발생 연령은 40대 초반이 가장 많았다. 공상이 발생한 시기는 5월과 6월이 가장 높았다. 지역별로 공상신청이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이었고 공상 발생만인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전북이었다. 공상신청이 가장 잦은 부위는 허리가 제일 많았고 무릎이 그다음 이었다. 신체구조는 인대가 가장 많고 추간판과 뼈 순이었다. 공상발생 당시 직무는 화재진압 38.3%, 구급 37.7%, 구조 12.4%, 기타 순이었다. 앞으로 지역 간 공상신청 빈도차이를 좀 더 세밀히 조사할 필요가 있고, 소방 직부별 부상기전과 예방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Korean fire fighters' applications for the public worker's compensation between 2011 and 2013 and to suggest a feasible solution for prevention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 Korean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provided the comple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소방공무원의 업무특성상 육체적인 활동이 장시간 이어지고, 신체에 가해지는 부담이 커 근골격계 질환도 공상신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의 근골격계 질환으로 인한 공상신청을 분석하여, 그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세우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상이란? 공상은 공무상 질병과 부상으로 나눠지는데, 공무상 질병은 공무수행 중 발생한 질병이나 공무수행으로 기존의 질병이 현저히 악화된 경우, 또는 공무상 질병 치료 중 새로 발생한 질병을 말한다. 공무상 부상은 공무수행 중 발생한 사고, 공무수행 준비 · 정리 과정에서 발생한 사고, 통상적인 경로 및 방법에 의한 출퇴근중의 사고로 인한 부상을 말한다(1).
소방공무원의 공상은? 소방공무원들은 대기 상황이나 임무 수행 중 또는 그 이후에도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스트레스를 받게 되며, 과도한 근 긴장이나 무리한 근육사용, 지속적인 불편한 자세, 유독가스 흡입 등으로 인하여 호흡기 질환, 심혈관 질환과 요통을 포함한 근골격계 질환 등 질병을 앓게 되며 생명을 잃기도 한다(3-9). 최근 5년간(2010년~2014년) 소방공무원 중 공무상 순직자는 총 33명이였으며, 공상자는 2010년 340명, 2011년 355명, 2012년 285명, 2013년 291명, 2014년 325명, 총 1,596명이었다(10).
소방공무원의 업무 중 구급작업은 어떤 것을 수행하는가? 긴급한 현장활동 시에는 이들 업무에 대한 작업 이 명확하게 분류되긴 어렵지만, 소방공무원의 업무는 크게 구급,구조, 화재진압, 행정, 기타 업무로 분류 된다(20). 구급작업은 주로 들것 조작, 계단 또는 승강기를 통한 환자이송 및 후송, 응급조치 등을 수행한다. 구조작업은 다양한 도구를 이용한 문 개방 및 절단, 구조사다리 이송, 들것을 이용한 조난자이송, 구조사다리 이송, 잔화정리, 심폐소생술 등을 수행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GEPS, Goverment Employees Pension Service, "Accidents Accreditation Standard" (2015). 

  2. SMG,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pplication for Worker's Compensation in Public Service" (2015). 

  3. R. Beaton, S. Murphy, C. Johnson, K. Pike and W. Corneil, "Exposure to Duty-related Incident Stressors in Urban Firefighters and Paramedics", J. Trauma. Stress, Vol. 11, No. 4, pp. 821-828 (1998). 

  4. S. Lusa, M. Hakkanen, R. Luukkonen and E. Viikari-Juntura, "Perceived Physical Work Capacity, Stress, Sleep Disturbance and Occupational Accidents Among Firefighters Working During a Strike", Work & Stress, Vol. 16, No. 3, pp. 264-274 (2002). 

  5. Z. Szubert and W. Sobala, "Work-related Injuries Among Firefighters: Sites and Circumstances of their Occurrence", Int. J. Occup. Med. Environ. Health, Vol. 15, No. 1, pp. 49-55 (2002). 

  6. R. Rossi, "Fire Fighting and its Influence on the Body", Ergonomics, Vol. 46, No. 10, pp. 1017-1033 (2003). 

  7. J. M. Kim, B. S. Seo, K. Y. Jung, D. I. Kim, Y. S. Kim, H. S. Cho, J. W. Kim, J. Kwon, D. Y. Yoon and J. I. Kim, "The Study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Job Stress in Firemen", The KJAsEM. Vol. 16, No. 2, pp. 25-31 (2006). 

  8. S. H. Kim, J. W. Kim, J. E. Kim, B. C. Son, J. H. Kim, C. H. Lee, S. H. Jang and C. K. Lee, "Pulmonary Function and Respiratory Symptoms of Municipal Fire Officers in Busan", Korean J. Occup. Environ. Med., Vol. 18, No. 2, pp. 103-111 (2006). 

  9. S. H. Hyun, J. M. Cha, Y. J. Lee, Y. S. Song, H. S. Kim and Y. S. Ahn, "An Analysis on Current Conditions of Occupational Casualties of Firefighters", Fall Conference of Kor. Inst. Fire Sci. Eng., pp. 383-391 (2009). 

  10. NEM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4 FireFighting Administration Material and Statistics" (2014). 

  11. MEL,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1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of Industrial Accidents" (2012). 

  12. S. Bogucki and P. M. Rabinowitz, "Occupational Health of Police and Firefighters", Textbook of Clinical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 pp. 272-284 (2005). 

  13. MPSS,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2015 Fire Administrative Data and Statistics" (2015). 

  14. H. J. G. Haynes and J. L. Molis,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U.S. Firefighter Injuries - 2014" (2015). 

  15. K. S. Kim, J. K. Park and D. S. Kim,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Occurrenc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 29, No. 4, pp. 405-422 (2010). 

  16. J. S. Kim, D. H. Lee and J. T. Pack, "Improvement for the Job Safety in the Scene Activities of Fire Fighters", Kor. Inst. Fire Sci. Eng., Vol. 28, No. 1, pp. 58-63 (2014). 

  17. D. K. Kim and C. H. Lee, "Work-related Disorder for Firefighters", Kor. Inst. Fire Sci. Eng., Vol. 9, No. 3, pp. 263-308 (1999). 

  18. S. G. Hong, "The Evaluation of Musculoskeletal Symptom and Patient Transport Work of 119 EMTs by Ergonomics Tools", Kor. Inst. Fire Sci. Eng., Vol. 28, No. 4, pp. 81-88 (2014). 

  19. S. W. Hong, D. C. Um and M. H. Jeon,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19, No. 2, pp. 223-235 (2010). 

  20. I. C. Gong, S. Y. Choi and D. H. Lee, "Job Classification Activities in the Field of Fire Fighting Officials", in Proceedings of 2013 Spring Annual Conference, Kor. Inst. Fire Sci. Eng., 2013 (2013). 

  21. S. J. Lim, J. T. Park, S. Y. Choi and D. H. Park, "An Ergonomic Analysis for Heavy Manual Material Handling Jobs by Fire Fighters", Kor. Inst. Fire Sci. Eng., Vol. 273, No. 3, pp. 85-93 (2013). 

  22. S. K. Lee, "Correlation Between Job and Life Style Related Factor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Fire Figthers", Master thesis at Gacheon University (200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