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마을형 친환경지표 설정을 위한 친환경관련 문헌 조사 연구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Related to Environmental Friendliness for a Village-focused Green Index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5 no.2, 2014년, pp.79 - 87  

변경화 (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유창균 (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ture related to environmentally friendly for a village-focused green index. In order to make an assessment, keywords relating to green architecture were selected: environmental friendliness, ecology, sustainable, Noksaek (Green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개별 건축물 중심의 친환경인증기준의 대상과 범위를 마을단위로 확장하는 것을 제안하기 위해, 마을을 대상으로 진행한 친환경관련 연구문헌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서 제공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인 RISS의 검색사이트에서 친환경관련 키워드를 검색하였다.
  • 본 연구는 마을단위의 친환경관련 연구문헌의 내용분석을 통해, 연구동향을 고찰하고 앞으로의 ‘마을형 친환경 지표’ 설정에 필요한 고려사항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두 번째는 친환경관련 기준에 대한 연구이다. 외국의 관련 자료를 참고로 하여 작성된 우리나라의 건축물 친환경인증기준에 우리 고유의 기후 환경과 자연요소를 포함한 전통적인 친환경계획요소의 특성을 반영하는데 필요한 연구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연구대상 마을을 우리의 전통 마을에 국한하지 않고, 농촌마을에 내재된 자원과 입지적 특징, 경관이나 생태 등을 활용하여 친환경 계획요소를 추출하거나 지표를 개발 ·활용하는 연구 혹은 이러한 요소들을 마을에 적용·검토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을형 친환경지표”의 개발을 궁극적 목표로서 친환경관련 연구문헌을 수집·분류하고, 전체적인 친환경 관련 연구의 흐름과 동향을 고찰하여, 마을단위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문헌에 대한 내용의 분석을 통하여 ‘마을형 친환경지표’의 설정에 필요한 고려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조사대상 연구논문의 연구방향에 따라 분류체계가 각기 달라 마을형 친환경관련 지표 설정을 위한 계획 요소와 기준에 대한 일반화가 가능한 분류체계의 확립이 우선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의 마을형 친환경지표 설정에 적용 가능한 분류체계 확립에 필요한 고려사항을 제시하기 위하여, 지표 혹은 계획요소에 대한 분류체계를 검토하였다. 분류체계는 대분류는 3~6개의 항목으로 그리고 중분류는 8~26개의 항목으로 세분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진국에서 친환경 건축의 제도화는 어떤 인증기준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친환경 건축은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 되면서 중요 패러다임으로 정착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LEED(미국), BREEAM(영국), CASBEE(일본) 등의 인증기준을 통해 친환경 건축의 제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1996년 ‘주거환경우수주택인증제도(국토해양부)’와 ‘그린빌딩인증제도(환경부)’를 시작으로 친환경인증제도가 시작되었고, 2002년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로 통합·본격화되었다.
국내에서 친환경 건축의 제도화는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친환경 건축은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 되면서 중요 패러다임으로 정착되고 있으며, 이러한 흐름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LEED(미국), BREEAM(영국), CASBEE(일본) 등의 인증기준을 통해 친환경 건축의 제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우리나라도 1996년 ‘주거환경우수주택인증제도(국토해양부)’와 ‘그린빌딩인증제도(환경부)’를 시작으로 친환경인증제도가 시작되었고, 2002년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로 통합·본격화되었다.
친환경인증 본연의 의미를 퇴색시키지 않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그런데 아무리 우수한 친환경 관련 인증을 받은 건축물이라 할지라도 주변 환경이 친환경적이지 않다면 친환경인증 본연의 의미가 퇴색될 것이다. 따라서 개별 건축물 중심의 인증제도는 마을이나 도시가 친환경적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대상과 범위를 확장시킬 필요가 있을 뿐아니라 내용적으로도 우수한 성능을 갖춘 기계·설비 중심에서 자연을 최대한 활용하는 패시브적 설계 중심으로 평가지표를 전환시켜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통마을이나 생태마을 등을 대상으로 친환경 계획 요소나 기법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hae, S., Byun, K., & Kim, T. (2012). Derivation and Application of the Green Plan Factors Inherent in the Existing Old Settlements in Local City-Focused on Topdong 'Yangdalma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4(1), 115-124. 

  2. Choi, S., Cho, Y., & Kim, Y. (2007). A Study on Sustainability Indicators for Environment-friendly Improvement of Rural Village.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3), 79-87. 

  3. Coi, Y. (2008). The Analysis of Ecological Architecture Elements in Yangdong Village and Oeamri Village. Journal of the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Plan & Design, 10(2), 117-124. 

  4. Kim, H., Kim, D., & Bang, M. (2008).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Environment-Friendly Design Factors of Traditional Village. Journal of the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Plan & Design, 24(5), 267-274. 

  5. Kim, H., & Kim, D. (2010). The Analysis of Boseong Ganggol Village by the Application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Design Elements of Eco-friendly Buildings in Traditional Villages.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17(6), 712-730. 

  6. Kim, J., Jung, S., Tae, Y., Chang, C., & Kim, S. (2010). A Delphi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ustainability Indicators in Rural Village Level. Journal of Korean Rural Tourism Association, 17(2), 1-25. 

  7. Lee, J. (2001). A Study on the Planning Direction Through Case Study and Survey with Experts and Residents of Ecovillage, Korea Planners Association, 36(6), 23-39. 

  8. Na, H., & Cheon, D. (2007).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Analysis of Planning Index in Ecovillage-Focusing on Ansolgi villag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8(6), 15-23. 

  9. Song, M., & Park, S. (2000). Derivation and Application of the Green Plan Factors in Rural Village.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23(1), 67-87. 

  10. Woo, H., Ban, Y., Han, K., & Baek, J. (2012). The Development of Eco-village Planning Indicators for Sustainabi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8(2), 1-11. 

  11. Yoon, M., & Chong, J. (2011). A Study on Literature Characteristic Analysis of Domestic Green Architecture. Journal of the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Plan & Design, 27(1), 89-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