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홍콩의 공동주택 친환경 인증제도의 비교분석 연구
A Comparison Study of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for Multifamily Housing between South Korea and Hong Kong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6 no.1, 2015년, pp.1 - 10  

김성화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이재훈 (단국대학교 건축학과) ,  김민영 (경북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line with the recent public concern on the environmental issues in building industry, there has been a rise in demand for a healthy, sustainable housing environment in South Korea. In order to achieve a healthy environment in residential buildings, considerable efforts have been made in a wide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BEAM은 CEPAS보다 10년 정도 앞서 시작되었고, 정부정책도 BEAM에 유리하게 설정되어 BEAM이 좀 더 활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BEAM과 한국의 G-SEED를 비교하여 살펴본다.
  •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연구의 타당성을 살펴본 후 3장에서 홍콩과 한국의 친환경건축물 관련 인증제도의 평가항목별 득점비율과 항목별 세부사항의 내용을 비교 분석한다. 또한 등급평가기준과 인증 및 운영기관도 함께 살펴봄으로서 친환경인증제도의 평가항목별 내용뿐만 아니라 운영 및 관리에 대한 부분도 다루고자 한다. 친환경관련 인증제도는 신축건물 혹은 기존건물, 용도별로 차이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신축건물을 기준으로 하였고, 용도는 공동주택으로 범위를 한정시켰다.
  • 본 연구는 한국과 홍콩의 친환경 관련 인증제도의 비교 분석을 통해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개선방향 및 홍콩 인증제도에서의 시사점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홍콩의 사례는 2010년 인증을 받은 2개 단지4)를 대상으로 하고, 한국의 사례는 친환경 인증제에서 녹색건축 인증제로 개정되어 인증기준을 고시한 2013년 6월 이후 인증을 받은 6개 단지를 다루고 있다. 사례 수는 작지만, 홍콩과 한국의 친환경 관련 인증제도의 특성들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기 위해 사례연구를 포함하였다. 5장에서는 앞에서의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홍콩의 친환경 관련 인증제도의 특성을 나타내는 배경이나 원인을 살펴보고, 한국의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해 제안하는 것으로 연구를 구성하였다.
  • 또한 우리나라의 녹색건축인증제는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는 홍콩과 한국의 친환경관련 인증제도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향후 국내의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개정에 있어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그리고 평가기준을 수용하기 위한 세부적인 방법들은 법적 기준과 더불어 각종 가이드라인(Hong Kong Urban Design Guideline, Council for Sustainable Development) 등으로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3). 이에 본 연구는 홍콩의 친환경 인증제도와 한국의 녹색건축 인증 제도를 비교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친환경 인증기준에 관해 개선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 홍콩과 한국의 친환경 관련 인증제도의 특징을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BEAM과 G-SEED는 전문분야에 약간 차이가 있어 본 연구에서는 G-SEED의 토지이용 및 교통 분야와 생태환경 분야를 통합해서 BEAM의 대지분야와 비교하였다[Figure 1]2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경 친화적인 건축물을 만들기 위한 평가 제도의 범위는?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건축을 유도하기위해 각 국가들은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고 환경성능의 평가기준이 마련되어 다양한 건축물 평가 제도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건축물 평가 제도들은 각 나라의 특성에 따라 내용과 수준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선진화된 나라들의 경우 에너지와 환경부하 뿐만 아니라 거주자의 안전성과 쾌적성 등 신체적 건강 요소에 관련된 항목들까지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친환경 건축물을 만들기 위해 각 국가들이 노력하는 것은?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건축을 유도하기위해 각 국가들은 친환경 건축물에 대한 많은 연구를 진행하였고 환경성능의 평가기준이 마련되어 다양한 건축물 평가 제도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건축물 평가 제도들은 각 나라의 특성에 따라 내용과 수준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선진화된 나라들의 경우 에너지와 환경부하 뿐만 아니라 거주자의 안전성과 쾌적성 등 신체적 건강 요소에 관련된 항목들까지 그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자연환경에 관한 관심이 증대된 이유는? 인류에 의한 지구환경의 파괴가 보고되고 그에 따라 자연환경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었다. 이와 함께 에너지소비량, CO2배출량 등이 높은 건축행위가 자연환경에 미치는 악영향도 함께 인식되면서 각 국가들은 건축행위에서 비롯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a, C. H., Park, S. D., Jeon, Y. H., & Tae, C. S. (2012). Development of Regional Priority Credits in the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10), 269-276. 

  2. Kim, M. S., Kim, J. H., & Kim, J. J. (2011) Improving Korea's Green Architecture Certification System.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1(2), 95-96. 

  3. Kim, S. U. (2013).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Quality Assurance System for Korea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3), 309-316. 

  4. Kim, S. H., Cho, T. G., & Yee, J. H. (2012).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he Domestic and Japanes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by Actual Evaluation in an Apartment Complex.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4(10), 155-165. 

  5. Kim, S. H., & Lee, J. H. (200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per High-Rise Housing Complex in Hong Ko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6(4), 37-44. 

  6. Kim, E. J., Kim, S. H., & Lee, J. H. (2013). A Comparison Study of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for Multifamily Housing between South Korea and Hong Kong. Proceeding of Autumn Annual Conference of KHA, 25(2), 175-180. 

  7. Kim, H. K., Kim, J. M., Lee, Y. K., & Lee, J. H. (2012). A Suggestion for an Improved Operational Scheme through a Comparison Study on the National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8(6), 255-264. 

  8. Seo, B. K., Kim, S. H., & Lee, J. H. (2014), Regulating Natural Lighting and Ventilation of Residential Buildings in Hong Kong. Architectural Research of AIK, 16(3), 83-84. 

  9. An, J. H. (2014). A Study of the Improving Direction of the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Focused on the Ecology-related Items.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Hanyang, Seoul. 

  10. Yeom, D. W. (2014).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Improvement Model for G-SE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jou, Suwon. 

  11. Oh, R. J., Jung, H. Y., & Kim, K. S. (2009).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 Factors in the Green Building Ratin System.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 3(2), 47-54. 

  12. Yun, Y. S., & Ryu, S. H. (201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G-SEED through Analysis of the Previous Studies-Based on Apartment Hous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3(5), 31-42. 

  13. Lee, S. O., Cho, D. W., Park, C. Y., & Lee, S. H. (2013). A Study on Score Calculation Method for Certification Grade of G-SEED (Korea) & World Green Building Rating System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9(11), 283-290. 

  14. Lee, H. W., Choi, C. H., & Cho, M. G. (2007). A Study on Comparing and Analyzing Items of Foreig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Architectural Sustainable Environment and Building System, 1(2), 41-49. 

  15. Jeong, Y. W. (2014). A Study of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Ajou, Suwon. 

  16. Tae, S. H., Shin, S. W., & Lim, S. C. (2007). A Study on Indoor Environmental Ratings by Comparing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s Through Case Studie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3(8), 229-236.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06. 28). Green Certification standards, South Korea. 

  18. BEAM Society. (2010). BEAM Plus New Buildings, Hong Ko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