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병풍쌈(Cacalia firma)은 병풍취라고도 하며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되어있다. 웰빙 삶을 위한 생활식습관의 변화에 따라 기능성 식품과 유기농 채소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병풍쌈 임간재배를 위한 적정 광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1년생 병풍쌈에 대해 차광망을 이용하여 4가지 광조건 25%, 55%, 75%와 95% 차광처리(전광의 50%, 30%, 20%, 10% 상대광도)와 대조구(전광)에서 생육 후 초기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조사 분석하였다. 75% 차광처리구는 대조구와 비슷한 초장, 뿌리생육과 함수율을 보였으나, 잎의 길이, 폭과 면적이 증가하여 엽 건중량과 총 건중량이 증가하였다. 특히 95% 차광처리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근원경과 뿌리길이는 감소하였으며 총 건중량도 감소하였으나, 초장이 약 40% 증가 하였으며 엽 생육과 함수량 또한 증가하였다. 엽면적비(specific leaf area; SLA)와 엽면적률(leaf area ratio; LAR)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며 대조구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나 잎의 두께가 얇고 수광면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병풍쌈은 낮은 광조건에서도 원활한 탄소동화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병풍쌈의 임간재배를 통한 적정 광요구는 차광처리 75~95%(상대광도 10~20%)로 조사되었으며, 산채류로써의 상품성을 고려할 때 임간지역에서 75% 이상 차광재배 함으로써 식감과 생산량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결과는 병풍쌈의 임간재배 가능성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calia firma is a perennial plant in Asteraceae, Parasenecio that distributed in Korea, China, and Japan. As dietary style changes for well-being life, consumer's demand of functional food and organic vegetables is getting increase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light cond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병풍쌈에 대한 청정한 산림 내에서 체계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기술이 정립되어 있지 않고 증식을 위한 식물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성 산채로서 잠재성이 높은 병풍쌈의 임간재배 가능성을 추정하고 광도 차이에 따른 초기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조사분석하여 임간재배를 위한 적정 광 조건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풍쌈의 임간재배 기술 개발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에는 병풍쌈 대량증식을 위한 시도로 자생하는 개체의 종자를 채취하여 일부 농가의 시설이나 노지에서 시범적으로 이뤄지고 있지만 초기단계에 불과하다(Lee et al., 2012). 또한 병풍쌈에 대한 청정한 산림 내에서 체계적으로 재배할 수 있는 기술이 정립되어 있지 않고 증식을 위한 식물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성 산채로서 잠재성이 높은 병풍쌈의 임간재배 가능성을 추정하고 광도 차이에 따른 초기 생장과 생리적 반응을 조사분석하여 임간재배를 위한 적정 광 조건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병풍쌈이란 무엇인가? 병풍쌈(Cacalia firma)은 병풍취라고도 하며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한국, 중국, 일본에 분포되어있다. 웰빙 삶을 위한 생활식습관의 변화에 따라 기능성 식품과 유기농 채소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병풍쌈의 식용작물로서 가치는 어떠한가? 병풍쌈은 식감이 부드럽고 독특한 향취가 있어 예로부터 기근이 닥쳤을 때 구황식물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근래에 들어서도 고급 산채로서 뛰어난 식용가치를 인정받고 있다(Jin and Ahn, 2010). 또한 병풍쌈은 진통, 소염, 항바이러스, 간보호, 항산화, 혈소판응집억제 등에 효과가 있는 caffeoylquinic acid를 함유하고 있어 신경질환, 심혈관질환, 당뇨병, 동맥경화 등과 같은 질환에 유익한 기능성 산채로 보고되었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M.H., Kim, J.H., Kim, J.L., Choi, S.J., and Mo, Y.M. 2003. SSam salad promising resource discovery and cultiv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of high quality production. Gangwon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Report. pp. 879-892. 

  2. Ahn, Y.H., Choi, C.Y. and Jin, Y.H. 2008. Study of Ecotype on Difference Luminosity Intensity and Latitude in Native Cacalia firma Kom. Proceedings.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Conference 2008: 157-158. 

  3. Han, S.H., Kim, D.H., Kim, G.N. and Byun, J.K. 2011. Changes of Leaf Characteristics, Pigment Content and Photosynthesis of Forsythia saxatilis under Two Different Light Intensitie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0(4): 609-615. 

  4. Hiscox, J.D. and Israelstam, G.F. 1979. A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chlorophyll from leaf tissue without maceration. Canadian Journal of Botany 57(12): 1332-1334. 

  5. Hong, S.G., Kang, B.K., Im, H.T., Son, Y.W. and Kim, J.J. 1999.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Condition, the Search and the Response to Temperature and Photoperiods of the Plants for Urban Forest Aromatic Bath.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8(4): 523-532. 

  6. James, S.A. and Bell, D.T. 2000. Influence of light availability on leaf structure and growth of two Eucalyptus globulus ssp. globules provenances. Tree physiology 20(15): 1007-1018. 

  7. Jin, Y.H. and Ahn, Y.H. 2010. Comparison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asenecio firmus Population in Korea and China.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2): 197-207. 

  8. Kim, G.N., Cho, M.S. and Kwon, K.W. 2010. Analysis Growth Performance and Ascorbic Acid Contents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Ligularia fischeri, and L. stenocephala Under Changing Light Intensity.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1): 68-74. 

  9. Kim, G.T. 2003. A study on the growth, photosynthetic rate and chlorophyll contents of Ligularia fischeri by the growing site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2(4): 374-379. 

  10. Kim, J.J. 2000. Studies on optimum shading for seedling cultivation of Cornus controversa and C. walteri.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9(5): 591-597. 

  11. Lee, C.B. 2003. Illustrated plant book. Hyang Moon Press. Seoul. pp. 884. 

  12. Lee, J.H., Park, A.R., Choi, D.W., Kim, J.D., Kim, J.C., Ahn, J.H., Lee, H.Y., Choe, M., Choi, K.P., Shin, I.C. and Park, H.J. 2011.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s and Electron-Donating Ability of 4 Korean Wild Sannamul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9(2):111-116. 

  13. Lee, K.C., Lee, H.B., Park, W.G. and Han, S.S. 2012. Pysiological response and growth performance of Parasenecio firmu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4(2):79-89. 

  14. Li, Q. and Kubota, C. 2009. Effects of supplemental light quality on growth and phytochemicals of baby leaf lettuce. Environmental and Experimental Botany 67(1): 59-64. 

  15. Lichtenthaler. H.K. 1987. Chlorophylls and carotenoids: Pigments of photosynthetic biomembranes. Methods in Enzymology 148: 350-382. 

  16. Lim, J.H., Woo, S.Y., Kwon, M.J., Chun, J.H. and Shin, J.H. 2006. Photosynthetic Capacity and Water Use Efficiency under Different Temperature Regimes on Healthy and Declining Korean Fir in Mt. Halla.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5(6): 705-710. 

  17. Niinemets, U.O. and Tenhunen, J.D. 1998. An analysis of light effects on foliar morphology, physiology, and light interception in temperate deciduous woody species of contrasting shade tolerance. Tree Physiology 18(10): 681-696. 

  18. Oh, S.D. 2004. Fruit tree, physiology in relation to temperature. Gilmoum Press. Seoul. pp. 255. 

  19. Reynolds, H.L. and Antonio, C.D. 1996. The ecological significance of plasticity in root weight ratio in response to nitrogen: Opinion. Plant and Soil 185: 75-97. 

  20. Sims, D.A. and Pearcy, R.W. 1992. Response of leaf anatomy and photosynthetic capacity in Alocasia macrorrhiza (Araceae) to a transfer from low to high light. American Journal of Botany 79(4): 449-455. 

  21. Terashima, I. and Hikosaka, K. 1995. Comparative ecophysiology of leaf and canopy photosynthesis. Plant, Cell and Environment 18(10): 1111-1128. 

  22. Yoon, J.H. and Kim, G.H. 2007. Functionality of edible wild plants. Plant Resources Institute Proceedings 6: 219-243. 

  23. Zhao, Y. and Zhao, J. 2006. Advances in caffeoylquinic acid research. China Journal of Chinese Materia Medica 31(11): 869-8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