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NMC 몰랜드 광산은 고생대 조선누층군을 관입한 화성암류에 의해 형성된 접촉교대 또는 스카른 광상으로 공간적으로 제천화강암과 인접해 있어 이 화강암을 관계 화성암으로 간주하여 대보 화성 활동과 관련하여 형성된 광상으로 해석하였으나, 최근에는 백악기 천부 반화강암질 암체에서 기원된 광화유체로부터 스카른화작용과 더불어 Mo 광화작용이 진행된 것이라는 해석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광산 일원에 대한 중력탐사를 통해 지하구조를 해석함으로써, 지표 지질에서 제천화강암이 광산에 훨씬 인접한 것과는 달리 지하에서는 남쪽의 백악기 무암사화강암이 광산 하부와 주변으로까지 뻗어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결과적으로 광상 형성의 관계 화성암으로 작용하였을 것임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MC Moland mine, which is classified as a contact replacement or skarn deposit, has been interpreted to have been formed by Daebo igneous activity which intruded into the Joseon Supergroup, because it is quite closely located to Jecheon granite. However,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was recently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러 물리탐사 기법 중에서도 화강암의 공간적 분포규모와 관련된 지하 구조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는 중력탐사가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데(Shin, 2006a), 이는 일반적으로 화강암의 밀도가 낮은 편이어서 주위보다 낮은 중력이상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광산 형성에 대한 지화학적/광상학적인 상기의 논의들과는 달리 지구물리학적인 측면에서 광산 일원에서 중력탐사를 실시하고, 이를 지표지질과 비교 해석함으로써 제천화강암과 무암사화강암이 NMC 몰랜드 광상의 형성 과정에서 관계 화성암으로 작용하였을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지화학적/광상학적인 연구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관계화성암의 직접적인 접촉에 대한 공간적인 의문점을 물리 탐사를 통해 해소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 NMC 몰랜드 광산은 연구지역 중심에 위치하는데, 지표지질도에서 제천화강암과 인접하고 무암사화강암에서는 3~4 km 정도 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화강암의 분포는 낮은 중력이상과 좋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며, 지표 지질에서 드러나지 않는 깊이 규모를 추정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에(Shin, 2006a), 본 연구에서는 이들 화강암이 NMC 몰랜드 광상의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 중력이상을 통해 살펴보았다. 해석에 사용한 중력이상은 고도와 지형 및 지각뿌리의 효과까지 보정하고 난 후에 얻어진 최종적인 결과인 지각평형이상을 이용하였다 (Fig.

가설 설정

  • 735 km (Bullard B surface radius)로 하였고, 지각평형보정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이의 두 배를 적분 반경으로 하였다. 지각의 뿌리/반뿌리를 계산하기 위해Airy-Heiskanen의 지각평형가설을 채택하였고, 보상면에서의 등질량을 가정하였다. 지각의 뿌리/반뿌리의 깊이 공식은 3차항 이후의 고차항의 작은 값을 무시한 Heiskanen and Vening Meinesz (1958)에 의한 공식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천 NMC 몰랜드 광산 주변의 지질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제천 NMC 몰랜드 광산 주변의 지질은 시생대의 편마암복합체, 고생대의 옥천누층군과 조선누층군, 고생대내지 트라이아스기의 평안누층군 그리고 후기에 관 입한 쥐라기 대보화강암 및 백악기 불국사화강암으로 구성된다(Fig. 1).
1980년 이전의 NMC 몰랜드 광산의 현황은? NMC 몰랜드 광산의 현황을 살펴보면, 이 광산은 처음으로 1966년 11월 광업권이 등록(금, 은, 동, 연, 몰리브덴, 중석)되었으며 그 후 1973년 1월에 항도(서통갱, 구진갱)를 개설 채광굴진(1,400 m)하였으며 1977년 장지봉에 의해 본격 개발되어 1979년 5월 휘수연정광 MoS2 65% 850톤 생산 수출하였다. 또한 이 광산은 1980년 7월 일처리 500톤 선광장 준공후 휘수연정광 MoS2 85% 51톤 생산하였으며 1981년 5월 휘수연정광 MoS2 85% 150톤 생산 수출하였다.
NMC 몰랜드 광산의 스카른대는 어떤 광물이 산출되는가? NMC 몰랜드 광산은 고생대 조선누층군을 관입한 화성암류에 의해 형성된 접촉교대 또는 스카른 광상으로 스카른대내 부분적으로 휘수연석이 광염되어 있다. 스카른대는 녹회색, 적갈색 및 함흑색을 띠며 주로 석류석, 녹염석, 녹니석, 투철휘석, 규회석 및 석영 등의 스카른 광물과 휘수연석, 회중석, 황철석 및 자류철석 등의 광석광물이 산출된다. 이 스카른대는 폭이 80~100 m 정도이고 연장성은 동서측에서 각각 동부단층 및 금성단층에 의해 규제되어 800 m 정도 확인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ecker, J.J., Sandwell, D.T., Smith, W.H.F. Braud, J., Binder, B., Depner, J., Fabre, D., Factor, J., Ingalls, S., Kim, S.-H., Ladner, R., Marks, K., Nelson, S., Pharaoh, A., Trimmer, R., Von Rosenberg, J., Wallace, G. and Weatherall, P. (2009), Global bathymetry and elevation data at 30 arc seconds resolution: SRTM30_Plus, Mar. Geod., v.32, n.4, 355-371. 

  2. Cho, D.L. and Kwon, S.T. (1994) Hornblende geobarometry of the Mesozoic granitoids in South Korea and the evolution of crustal thickness. Jour. Geol. Soc. Korea, v.30, p.41-61. 

  3. Choi, K.S., Kim, J.H. and Shin, Y.H. (2002) On the isostasy and effective elastic thickness of the lithosphere in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Jour. Korean Geophys. Soc., v.5, n.4, p.293-303. 

  4. Choi, K.S., Park, P.H. and Shin, Y.H. (1998) Gravity Surveying with GPS. Jour. Korean Earth Sci. Soc., v.19, n.2, p.120-126. 

  5. Choi, K.S., Yang, C.S., Shin, Y.H. and Ok, S.S., (2003) On the improvement of precision in gravity surveying and correction, and a dense Bouguer anomaly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Jour. Korean Earth Sci. Soc., v.24, n.3, p.205-215. 

  6. Choi, S.G., Park, J.W., Seo, J., Kim, C.S., Shin, J.K., Kim, N.H., Yoo, I.K., Lee, J.Y. and Ahn, Y.H. (2007) Hidden porphyry-related ore potential of the Geumseong Mo deposit and its genetic environment. Econ. Environ. Geol., v.40, p.1-14. 

  7. Farr, T.G., P.A. Rosen, E. Caro, R. Crippen, R. Duren, S. Hensley, M. Kobrick, M. Paller, E. Rodriguez, R. Roth, D. Seal, S. Shaffer, J. Shimada, J. Umland, M. Werner, M. Oskin, D. Burbank, and D. Alsdorf (2007) The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Rev. Geophys, 45, doi:10.1029/2005RG000183. 

  8. Heiskanen, W.A. and Vening Meinesz, F.A. (1958) The Earth and its gravity field, McGraw-Hill Book Co.Inc. 

  9. Ishihara, S., Jin, M. and Terashima, S. (2005) Mo-related adakitic granitoids from non-island-arc setting: Jecheon pluton of South Korea. Resource Geol., v.55, p.385-396. 

  10. Jwa, Y.J (2008) A Preliminary Study on Granite Suite and Supersuite for the Jurassic Granite in South Korea. Jour. Petrol. Soc. Korea, v.17, p.222-230. 

  11. Jin, M., Kim, S.J., Shin, S.C., Choo, S.H. and Chi, S.J. (1992) Thermal history of the Jecheon granite piuton in the Ogcheon fold belt, South Korea. Jour. Petrol. Soc. Korea, v.1, p.49-57. 

  12. KORES (2006) Detailed geological survey report (molybdenite: Jaecheon area). Korea Resource Corporation,100p. 

  13. Park, N.Y. (1982) Molybdenum mineralizatio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f the ore deposits at the Keumseong mine, Republic of Korea. Unpub. Ph.D. thesis. Japan, Waseda Univ., 188p. 

  14. Shibata, K., Park, N.Y., Uchiumi, S. and Ishihara, S. (1983) K-Ar ages of the Jecheon granitic complex and related molybdenite deposits, South Korea. Mining Geol., v.33, p.193-197. 

  15. Shin, D.B. and Lee, I.S. (2006) Fluid inclusions and their stable isotope geochemistry of the carbonate-hosted talc deposits near the Cretaceous Muamsa granite, South Korea. Geochem. Jour., v.40, p.69-85. 

  16. Shin, Y.H. (2006a) Gravity anomaly and the distribution of granitoid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Jour. Geol. Soc. Korea, v.42, n.3, p.383-396. 

  17. Shin, Y.H. (2006b) Implications of gravity anomalies in the tectonic provinces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Jour. Geol. Soc. Korea, v.42, n.3, p.397-411. 

  18. Shin, Y.H., Choi, K.S., Kim, K.O. and Na, S.H.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FORTRAN program for gravity corrections, a paper presented at 2013 Korea Society of Earth and Exploration Geophysicist Conference, p.97-98. 

  19. So, C.S. and Yun, S.T. (1992) Geochemistry and genesis of hydrothermal Au-Ag-Pb-Zn deposits in the Hwanggangri mineralized district, Republic of Korea. Econ. Geol., v.87, p.2056-2084. 

  20. So, C.S. and Yun, S.T. (1994) Origin and evolution of WMo- producing fluids in a granitic hydrothermal system: geochemical studies of quartz vein deposits around the Susan granite, Hwanggangri district, Republic of Korea. Econ. Geol., v.89, p.246-267. 

  21. Tamura, Y. (1982) A computer program for calculating the tide generating force. The publications of the international latitude observatory of Mizusawa, v.16, p.1-19. 

  22. Yoo, B.C., Brown, P.E. and White, N.C. (2011) Hydrothermal fluid characteristics and genesis of Cu quartz veins in the Hwanggangri metallogenic district, Republic of Korea: Mineralogy, fluid inclusion and stable isotope studies. Jour. Geochem. Explo., v.110, p.245-2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