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하 공동은 토지의 이용과 개발을 제한할 뿐 아니라 안전과 환경에 심각한 우려를 준다. 우리나라는 석회암이 널리 분포하고 폐광산이 많으며 도심이 확장되고 토지의 개발이 활발하여, 지하 공동에 의한 지반 안전과 환경 보존 문제를 안고 있다. 전남 무안군 덕보들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마련한 물리탐사 실험장에서 지하 공동의 탐지와 모니터링을 위한 고정밀 중력탐사를 하였다. 중력은 약 30 m 간격의 논둑길을 따라 5 m 간격으로 모두 800여 측점에서 AutoGrav CG-3 중력계로 측정하였으며, 측점의 절대적 위치 오차는 수 mm 이하로 유지하였다. 중력 측선은 MS (minimum support) 역산으로 밀도 분포를 작성하였으며, 고분해능 3차원 중력 역해의 비유일성을 줄이기 위하여 Euler 디컨벌루션의 해를 제한 조건으로 이용하는 역산 방법을 고안하였다. 역산에 의하여 작성한 밀도 분포는 잔여 중력 분포와 전체적으로 잘 일치하였으며, 특히 공동과 관련된 것으로 예상되는 3곳의 중력 이상대의 밀도 분포 형태, 즉 공동의 위치 뿐 아니라 공동형태와 발달 양상을 잘 보여주었다. 이러한 해석 결과는 시추 주상도와 매우 잘 일치하였다. 탐사 실험장의 진입로에서 그라우팅을 전후하여 시간차 중력 모니터링을 하였다. 탐사 조건에 의한 불일치는 기준점의 관측 중력을 비교하여 조정하였다. MS 역산으로 작성한 그라우팅 전, 후의 밀도 분포를 비교하여 그라우팅의 효과를 검토하였다. 이 현장 사례를 통하여 ${\mu}Gal$ 수준의 정밀도와 정확도의 고정밀 중력탐사는 지하 공동을 탐지할 뿐 아니라 공동의 분포와 발달 양상을 확인하는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수단이 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시간차 중력 모니터링은, 여러 가지 오차 요인들이 있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지하 밀도 분포의 변화를 관측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arstic features and mining-related cavities not only lead to severe restrictions in land utilizations, but also constitute serious concern about geohazard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A microgravity survey was applied for detecting, mapping and monitoring karstic cavities in the test site at Mu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은 지하 공동 탐지를 위한 물리탐사 기술 개발을 위하여 전남 무안군 용월리 덕보들에 마련한 현장 실험장에서 지하 석회암 공동의 탐지와 구조 파악을 위한 고정밀 중력탐사와 지반 침하 방지를 위한 그라우팅 전, 후의 시간차 중력 모니터링에 관한 현장 사례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전남 무안군 용월리 덕보들의 탐사 실험장에서 석회암 공동의 탐지와 분포 양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고정밀 중력탐사와 그라우팅 전, 후의 지하 밀도 분포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한 시간차 중력 모니터링을 한 결과는 어떠한가? 2차원 및 3차원 역산에 의하여 작성한 밀도 분포는 잔여 중력 분포와 전체적으로 잘 일치하였으며, 특히 공동과 관련된 것으로 예상되는 3 곳의 중력 이상대의 밀도 분포 형태, 즉 공동의 발달 양상을 잘 보여주었다. 이러한 해석 결과는 시추 주상도와 매우 잘 일치하였다. 탐사 실험장의 진입로에서 그라우팅 전과 후에 시간차 중력 모니터링을 하였다. 시간 간격과 중력계 등의 탐사 조건에 의한 불일치는 중력 기준점과 현장 기준점을 이용하여 조정해 주었다. 중력 프로파일로부터 MS 역산으로 밀도 분포를 작성하여 비교해 보았다. 그라우팅 후의 밀도 분포는 일부 낮은 밀도대의 크기가 줄어들어 어느 정도 그라우팅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부분적으로는 밀도가 더 낮아진 부분도 있는데, 이것은 지하 공동의 발달, 지하 압력의 변화 또는 2차원 해석의 한계 등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할 것이다. μGal 수준의 정밀도와 정확도의 고정밀 중력탐사는 지하 공동을 탐지할 뿐 아니라 공동의 분포와 발달 양상을 확인하는 가장 직접적이고 효과적인 수단이 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시간차 중력 모니터링은, 여러 가지 오차 요인들이 있지만, 시간의 경과에 따른 지하 구조의 밀도 분포의 변화를 관측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우리나라는 어떤 이유로 지하 공동에 의한 지반 안전과 환경 보존 문제를 갖고 있는가? 지하 공동은 토지의 이용과 개발을 제한할 뿐 아니라 안전과 환경에 심각한 우려를 준다. 우리나라는 석회암이 널리 분포하고 폐광산이 많으며 도심이 확장되고 토지의 개발이 활발하여, 지하 공동에 의한 지반 안전과 환경 보존 문제를 안고 있다. 전남 무안군 덕보들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마련한 물리탐사 실험장에서 지하 공동의 탐지와 모니터링을 위한 고정밀 중력탐사를 하였다.
지하 공동은 어떤 해를 가하는가? 지하 공동은 토지의 이용과 개발을 제한할 뿐 아니라 안전과 환경에 심각한 우려를 준다. 우리나라는 석회암이 널리 분포하고 폐광산이 많으며 도심이 확장되고 토지의 개발이 활발하여, 지하 공동에 의한 지반 안전과 환경 보존 문제를 안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박영수, 임형래, 임무택, 구성본, 정호준, 2004, non-smooth 중력 역산 패키지의 구성, 대한지구물리학회.한국물리탐사학회 공 동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해양연구원, 83-87 

  2. 박영수, 임무택, 임형래, 2006, 해설 - 중력 보정과 중력 이상에 대한 이해, 물리탐사, 9, 171-175 

  3. 임형래, 박영수, 임무택, 권병두, 2003, 삼각요소법을 이용한 정 밀 중력계산, 한국지구과학회.한국지형학회 공동 2003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충남대학교, 37-43 

  4. Acar, R., and Vogel, C. R., 1994, Analysis of total variation penalty methods, Inverse Problems, 10, 1217-1229 

  5. Arzi, A. A., 1975, Microgravimetry for engineering applications, Geophysical Prospecting, 23, 408-425 

  6. Bate, D., 2005, 4D reservoir volumetrics: a case study over the Izaute gas storage facility, First Break, 23, 69-71 

  7. Branston, M. W., and Styles, P., 2003, The application of timelapse microgravity for the investigation and monitoring of subsidence at Northwich, Cheshire, Quaternary Journal of Engineering and Hydrology, 36, 231-244 

  8. Butler, D. K., 1984, Microgravimetric and gravity gradient techniques for detection of subsurface cavities, Geophysics, 49, 1084-1096 

  9. Camacho, A. G., Montesinos, F. G., and Vieira, R., 2000, Gravity inversion by means of growing bodies, Geophysics 65, 95-101 

  10. Chamon, N., and Dobereiner, L., 1988, An example of the use of geophysical methods for the investigation of a cavern in sandstones, Bulletin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Engineering Geology, 38, 37-43 

  11. Colley, G. C., 1963, The detection of caves by gravity measurements, Geophysical Prospecting, 11, 1-9 

  12. Fajklewicz, Z. J., 1976, Gravity vertical gradient measurements for the detection of small geologic and anthropogenic forms, Geophysics, 41, 1016-1030 

  13. Fujimitsu, Y., Nishijima, J., Shimosako, N., Ehara, S., and Ikeda, K., 2000, Reservoir monitoring by repeat measurements at the Takigami geothermal field, central Kyushu, Japan, World Geothermal Congress 2000, 573-577 

  14. Last, B. J., and Kubik, K., 1983, Compact gravity inversion, Geophysics, 48, 713-721 

  15. Neumann, R., 1967, High accuracy gravimetry application of the detection of cavities, Geophysical Prospecting, 15, 116-134 

  16. Patterson, D. A., Davey, J. C., Cooper, A. H., and Ferris J. K., 1995, The investigation of dissolution subsidence incorporating microgravity geophysics at Ripon, Yorkshire, Quaternar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8, 83-94 

  17. Portniaguine, O., and Zhdanov, M. S., 1999, Focusing geophysical inversion images, Geophysics, 64, 874-887 

  18. Rim, H. R., Park, Y. S., Lim, M. T., Koo, S. B., and Kwon, B. D., 2007, 3D gravity inversion with Euler deconvolution as a priori information, Exploration Geophysics (special issue published Jointly by ASEG, SEGJ and KSEG), 38, 44-49 

  19. Rybakov, M., Goldshmidt, V., Fleischer, L., and Rotstein, Y, 2001, Cave detection and 4-D monitoring: A microgravity case history near the Death Sea, The Leading Edge, 20, 896-900 

  20. Santoso, D., Gunawan, W., Syarkowi, Adriansyah, and Waluyo, 2007, Time-lapse microgravity study for injection water monitoring of the Talang Jimar Field, Preview ASEG, 126, 29-32 

  21. Silva, J. B. C., Medeiros, W. E., and Barbosa, V. C. F., 2001, Potential-field inversion: Choosing the appropriate technique to solve a geologic problem, Geophysics, 66, 511-520 

  22. Styles, P., McGrath, R., Thomas, E., and Cassidy, N. J., 2005, The use of microgravity for cavity characterization in karstic terrains, Quaternary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38, 155-169 

  23. Styles, P., Toon, S., Thomas, E., and Skittrall, M., 2006, Microgravity as a tool fro the detection, characterization and prediction of geohazard posed by abandoned mining cavities, First Break, 24, 51-60 

  24. Thompson, D. T., 1982, EULDPH: A new technique for making computer-assisted depth estimates from magnetic data, Geophysics, 47, 31-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