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문간호를 받는 재가노인의 낙상위험
Fall Risk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who Received Home Care Services: Focused on Residential Environment and Perception of Fall Risk 원문보기

근관절건강학회지 =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v.21 no.1, 2014년, pp.36 - 45  

이정미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조복희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creasing fall risk in the residential environment risk and the perceived fall risk among the older adults who received home care services to provide information for developing a comprehensive falls intervention program. Methods: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낙상 발생에 영향을 크게 미친다고 알려진 주거환경과 같은 외재적(환경적)요인에 대한 사정과 그에 따른 중재방안에 관한 국내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더구나 노인들이 낙상에 대해 지각하는 정도에 따른 맞춤형 낙상 중재방법을 실시하는 것이 합당함에도 불구하고 이와 결부된 연구논문이 부족한 상황에서 주거환경위험과 낙상위험지각 정도에 따른 관계를 알아보고 낙상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방문간호사들이 직접 재가노인을 방문하여 주거환경을 도구를 이용하여 주거환경위험의 위험을 사정하고 낙상위험의 외재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주거환경위험 사정결과 주거환경 위험총합, 구조적 위험, 방과 부엌의 위험과 욕실 및 화장실 위험이 낙상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집 밖의 위험만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 도구는 내 부위험요인 총 19문항과 집 외부 위험요인 8문항, 총 27문항으로, ‘위험하다’는 1점, ‘위험하지 않다’는 0점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 형태로, 점수가 높을수록 주거환경의 위험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에서는 가정방문을 하는 방문 간호사들이 직접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방문간호를 받는 재가노인의 비낙상군과 낙상군에 따른 낙상경험의 특성과 주거환경위험, 낙상위험지각 정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낙상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노인들에게 낙상은 골절과 같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외상을 가져오는 동시에, 매년 1/3 이상의 노인이 경험하는 빈번한 사건이라는 점에서 노인 관련 건강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 중 하나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포괄적 낙상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조사로서, 방문간호를 받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주거 환경적 위험과 낙상위험에 대한 지각이 낙상경험과 관계가 있는가와 낙상의 위험요인을 살펴보았다. 재가노인에게 낙상과 관련된 요인은 방과 부엌의 위험, 낙상위험지각 및 도구사용과 관련한 일상생활 지각 등으로서 주거환경의 위험과 낙상위험지각이 낙상발생의 내재적, 외재적 요인들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 그러나 방문간호를 받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효과적인 낙상 예방을 위하여 내재적 요인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과 낙상위험요인의 지각 등의 복합적 측면을 포함하여 낙상발생의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연구는 없었다. 이러한 필요에 의해 방문간호를 받는 재가노인을 비낙상군과 낙상군으로 분류하여, 낙상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주거환경 위험요인과 낙상위험지각 정도를 파악하고, 낙상위험요인을 확인하여 낙상 발생의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를 구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포괄적 낙상 중재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가 되는 조사로서, 방문간호를 받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주거 환경적 위험과 낙상위험에 대한 지각이 낙상경험과 관계가 있는가와 낙상의 위험요인을 살펴보았다. 재가노인에게 낙상과 관련된 요인은 방과 부엌의 위험, 낙상위험지각 및 도구사용과 관련한 일상생활 지각 등으로서 주거환경의 위험과 낙상위험지각이 낙상발생의 내재적, 외재적 요인들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상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는 외재적 요인의 예는? 선행 연구에 따르면 노인의 낙상에서 부적절한 조명, 미끄러운 바닥 그리고 화장실이나 욕조에 손잡이의 부재 등과 같은 외재적(환경적) 요인이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을 차지하였다(Masud & Morris, 2001).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화장실이나 욕실에서 가장 낙상이 많이 발생하고, 발에 걸려 넘어지거나 미끄러운 장판, 걸려 넘어지기 쉬운 문턱이나 흐릿한 조명 등이 위험 인자들로 알려져 있다(Lim, June, & Yoon, 2009; Paek, Song, & Cho, 2002; Yoo, 2011). 낙상을 경험한 이들은 집안에 한 개 이상의 낙상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으며(Lord, Menz, & Sherrington, 2006), 노인이 많은 시간을 보내는 집의 화장실이나 방이 위험한 곳으로 평가되었다(Choi & Lee, 2010; Park & Moon, 2005).
낙상이란? 최근 고령화와 더불어 노인 관련 건강문제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낙상은 노인에 있어 매우 빈번히 일어나는 건강 관련 사건으로 조기사망, 신체손상 및 기능장애는 물론이고 정신적 고통에 이르게 하는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Masud & Morris, 2001; Stevens, 2005). 한국보건사회연구소의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의 21%가 낙상을 경험하였으며 이 중 47.
낙상의 내재적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 2001). 먼저 내재적 요인으로는 성별, 나이, 낙상경험률, 균형감, 보행능력, 4가지 이상의 약물복용, 우울 증상, 기타 복합적인 질환의 유무 등이 있다(Shin & Lee, 2011; Yoo & Choi,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raun, B. L. (1998). Knowledge and perception of fall-related risk factors and fall reduction technique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Physical therapy, 78(12), 1262-1276. 

  2. Chai, K. J. (2010). A literature review a program of intervention for prevention of falling in the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4(2), 27-34. 

  3. Chin, Y. R., Lee, I. S., & Chang, H. S. (2004). Analysis of effects and nursing intervention of home health care in public health centers.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3), 1-12. 

  4. Choi, K. W., & Lee, I. S. (2010). Fall risk in low-income elderly people in one urban a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4), 589-598. http://dx.doi.org/10.4040/jkan.2010.40.4.589 

  5. Hong, C. M. (2011). Development of perception measurement of fall risk for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6. Hong, S. H., Cho, E. H., & Choi, M. Y. (2010).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Using KLoSA Dat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s, 12(3), 211-224. 

  7. Hughes, K., van Beurden, E., Eakin, E. G., Barnett, L. M., Patterson, E., Backhouse, J., et al. (2008). Older persons' perception of risk of falling: Implications for fall-prevention campaign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8(2), 351-357. http://dx.doi.org/10.2105/AJPH.2007.115055 

  8. Iwarsson, S., Horstmann, V., Carlsson, G., Oswald, F., & Wahl, H. W. (2009). Person-environment fit predicts falls in elderly better than the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hazards only. Clinical Rehabilitation, 23(6), 558-567. http://dx.doi.org/10.1177/0269215508101740 

  9. Jang, I. S., & Kim, D. J. (2002). Home safety assessment for fall prevention in elderly people in a rural community.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4(2), 176-186. 

  10.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2011 Survey of the elderly. Retrieved March 5, 2014 from https://www.kihasa.re.kr/html/jsp/publication/research/view.jsp?bid12&ano1428 

  11. Kwon, M. S. (2010). Effects of a fall prevention program on physical fitness and psychological functions in community dwelling eld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2), 165-174. http://dx.doi.org/10.4040/jkan.2011.41.2.165 

  12. Lee, F., Mackenzie, L., & James, C. (2008). Perceptions of older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about their fear of falling. Disability and Rehabilitation, 30(23), 1803-1811. http://dx.doi.org/10.1080/09638280701669508 

  13. Lim, K. C., June, K. J., & Yoon, J. L. (2009). The comparison of health status, functional status, and home environment hazards in terms of the fear of falling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4), 1577-1589. 

  14. Lord, S. R., Menz, H. B., & Sherrington, C. (2006). Home environment risk factors for falls in older people and the efficacy of home modifications. Age and Ageing, 35(2), 55-59. http://dx.doi.org/10.1093/ageing/afl088 

  15. Masud, T., & Morris, R. O. (2001). Epidemiology of falls. Age and Ageing, 30(4), 3-7. 

  16. Menz, H. B., Lord, S. R., & Fitzpatrick, R. C. (2006). A tactile stimulus applied to the leg improves postural stability in young, old and neuropathic subjects. Neuroscience Letters, 406(1-2), 23-26. http://dx.doi.org/10.1016/j.neulet.2006.07.014 

  1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9). Senior survey 2008 (National Senior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Survey) . Retrieved March 5, 2014 from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1604&CONT_SEQ264469&page1 

  18. Paek, K. W., Song, H. J., & Cho, J. P. (2002). Effectiveness of bathroom grab bar to prevent falls i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2(3), 85-98. 

  19. Park, Y. H., & Moon, J. S. (2005). Home environmental hazards of falling accident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2(4), 203-213. 

  20. Park, Y. M. (2012). Changes in healthcare insurance fee. Retrieved March 2, 2014 from http://m.medigatenews.com/newsView.html?ID1079401 

  21. Pynoos, J., Steinman, B. A., & Nguyen, A. Q. (2010).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modification as fall-prevention strategies for elderly. Clinics in Geriatric Medicine, 26(4), 633-644. http://dx.doi.org/10.1016/j.cger.2010.07.001 

  22. Ryeom, T. H., Kim, S. Y., So, Y. K., Park, S. Y., Lee, J. H., Cho, H. S., et al. (2001). The risk factors of falls in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2(2), 221-229. 

  23. Shin, K. R., & Lee, E. (2011). A comparative study on falls experience,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factors of falls, and joint flexibility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Nursing Science, 23(2), 11-21. 

  24. Steinman, B. A., Pynoos, J., & Nguyen, A. Q. (2009). Fall risk in older adults: Roles of self-rated vision, home modifications, and limb function. Journal of Aging and Health, 21(5), 655-676. http://dx.doi.org/10.1177/0898264309338295 

  25. Stevens, J. A. (2005). Falls among elderly-risk factors and prevention strategies. Journal of Safety Research, 36(4), 409-411. 

  26. The Korean Society for Customized Visiting Health Care. (2013). Understanding and outlook of home visiting care program. Seoul: Made by One. 

  27. Wyman, J. F., Croghan, C. F., Nachreiner, N. M., Gross, C. R., Stock, H. H., Talley, K., et al. (2007).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individualized counseling in reducing environmental hazards in the homes of community-dwelling older women.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 Society, 55(10), 1548-1556.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07.01315.x 

  28. Yoo, I. Y., & Choi, J. H. (2007). Experience of falls and predictors of falls in the elderly at senior citizens' cent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1), 14-22. 

  29. Yoo, I. Y. (2011). Analysis of multi-variate recurrent fall risk factors in elderly people using residential assessment instrument-home care-comparisons between single and recurrent fall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1(1), 119-128. http://dx.doi.org/10.4040/jkan.2011.41.1.1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