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노인의 낙상위험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Risk Factors related to Falls among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9 no.1, 2017년, pp.51 - 62  

홍선영 (대구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박희옥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a about the risk factors related to falls among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using meta-analysis. Methods: Key words used for search through electronic database (CINAHL, PubMed, Ovid-MEDLINE, RISS, KISS, DBPIA, National Assembly Library) inclu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낙상위험요인을 종합 분석하여 낙상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치매노인의 낙상위험요인은 인구학적, 치매 관련,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낙상 관련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 본 연구는 치매노인의 낙상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개별연구의 양적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일상생활수행능력은 낙상의 유의한 위험요인으로 그 효과크기가 확인되었으며, 개별 연구들의 이질성을 설명하기 위해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구장소와 일상생활수행능력 측정점수에 따라 효과크기가 다르게 나타났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노인의 낙상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함으로써 낙상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치매노인에게 적합한 낙상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치매노인만을 대상으로 이들의 낙상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중 어떤 요인들이 낙상과 관련이 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서로 다른 결과를 보고하는 개별 연구들로부터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수행하여 치매노인의 낙상위험요인들의 상관계수 효과크기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매노인의 낙상예방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마지막으로, 선정단계에서는 논문의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될 논문의 선정기준은 1) 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2) 치매 환자의 낙상위험요인의 값이 상관계수 r값에 해당하거나 r값으로 변환 가능한 값인 t값, F값, OR값, x2값, 평균과 표준편차, 표본수 등의 통계값이 제시된 연구, 3) 언어가 영어 또는 한국어로 기술된 연구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상은 어떤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가? 낙상은 노인에게 흔한 건강문제 중 하나로, 신체적 손상 및 독립성 상실을 동반하며, 심각할 경우 조기사망을 초래하기도 한다[1]. 특히 치매노인은 일반노인에 비해 낙상 발생 비율이 8배 정도 높고, 낙상 후 회복이 더 저조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치매노인의 낙상발생률은 어떠한가? 특히 치매노인은 일반노인에 비해 낙상 발생 비율이 8배 정도 높고, 낙상 후 회복이 더 저조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치매노인의 낙상발생률은 지역사회나 외래 환자의 경우 17~65.7%가 낙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2,a9,a19], 요양시설 환자는 12~54.5%가 낙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a4,a6,a11,a20], 대상자에 따라 낙상 발생률이 다양하나 낙상은 치매노인의 과반수가 경험하는 건강문제이다.
노인의 낙상위험요인을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분류하면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노인의 낙상위험요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내적 요인은 보행능력 및 균형 감소[3], 근력 약화[4], 시력 저하[5], 체질량 지수 저하[6], 일상생활수행능력 감소[7]를 포함한다. 또한 인지기능 저하[8], 우울[9], 낙상두려움[10], 요실금[11], 향정신약물 복용[12]이 내적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낙상의 외적 요인은 보행보조기 사용[13], 바닥재, 조명, 안전손잡이, 미끄럼방지 매트 등의 물리적 환경[14], 낙상과거력[15] 등을 포함한다. 특히 노인의 낙상위험요인 중 낙상과거력, 보행보조기 사용은 가장 중요한 낙상위험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annus P, Sievanen H, Palvanen M, Jarvinen T, Parkkari J. Prevention of falls and consequent injuries in elderly people. The Lancet. 2005;366:1885-93. https://doi.org/10.1016/s0140-6736(05)67604-0 

  2. Allan LM, Ballard CG, Rowan EN, Kenny RA. Incidence and prediction of falls in dementia: a prospective study in older people. Plos One. 2009;4(5):e5521.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05521 

  3. Ambrose AF, Paul G, Hausdorff JM.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older adul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iew]. Maturitas. 2013;75(1):51-61. https://doi.org/10.1016/j.maturitas.2013.02.009 

  4. Boelens C, Hekman EE. Verkerke GJ. Risk factors for falls of older citizens. Technology and Health Care. 2013;21(5):521-33. https://doi.org/10.3233/THC-130748 

  5. Salonen L, Kivela SL. Eye diseases and impaired vision as possible risk factors for recurrent falls in the aged: a systematic review. Current Gerontology and Geriatrics Research. 2012. https://doi.org/10.1155/2012/271481 

  6. Voort VD, Geusens PP, Dinant GJ. Risk factors for osteoporosis related to their outcome: fractures. Osteoporosis International. 2001;12(8):630-8. https://doi.org/10.1007/s001980170062 

  7. Paskulin, LMG, Molzahn A. Quality of life of older adults in Canada and Brazil.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07;29(1):10-26. https://doi.org/10.1177/0193945906292550 

  8. Welmerink DB, Longstreth WT Jr, Lyles MF, Fitzpatrick AL. Cognition and the risk of hospitalization for serious falls in the elderly: results from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2010;65(11):1242-9. https://doi.org/10.1093/gerona/glq115 

  9. Sai AJ, Gallagher JC, Smith LM, Logsdon S. Fall predictors in the community dwelling elderly: a cross sectional and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Musculoskelet Neuronal Interactions. 2010;10(2):142-50. 

  10. Kim YH, Yang KH, Park KS. Fall experience and risk factors for fall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013;20(2):91-101. https://doi.org/10.5953/JMJH.2013.20.2.91 

  11. Jang IS, Park EO. The prevalence and factors of falls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013;27(1):89-101. https://doi.org/10.5932/JKPHN.2013.27.1.89 

  12. Agostini JV, Tinetti ME. Drugs and falls: rethinking the approach to medication risk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02;50(10):1744-5. https://doi.org/10.1046/j.1532-5415.2002.50472.x 

  13. Carter SE, Campbell EM, Sanson-Fisher RW, Gillespie WJ. Accidents in older people living at home: a community-based study assessing prevalence, type, location and injurie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ublic Health. 2000;24(6): 633-6. https://doi.org/10.1111/j.1467-842X.2000.tb00532.x 

  14. Park YH, Moon JS. Home environmental hazards of falling accident in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5;22(4):203-13. 

  15. Bongue B, Dupre C, Beauchet O, Rossat A, Fantino B, Colvez A. A screening tool with five risk factors was developed for fall-risk predict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11;64(10):1152-60. https://doi.org/10.1016/j.jclinepi.2010.12.014 

  16. Deandrea S, Bravi F, Turati F, Lucenteforte E, La Vecchia C, Negri E. Risk factors for falls in older people in nursing homes and hospital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13;56(3):407-15. https://doi.org/10.1016/j.archger.2012.12.006 

  17. Swanenburg J, de Bruin ED, Uebelhart D, Mulder T. Falls prediction in elderly people: a 1-year prospective study. Gait and Posture. 2010;31(3):317-21. https://doi.org/10.1016/j.gaitpost.2009.11.013 

  18. Rubenstein LZ, Josephson KR. Falls and their prevention in elderly people: what does the evidence show?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 2006;90(5):807-24. https://doi.org/doi:10.1016/j.mcna.2006.05.013 

  19. Estabrooks CA, Floyd JA, Scott-Findlay S, O'Leary KA, Gushta M. Individual determinants of research utilization: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3;43(5):506-20.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3.02748.x 

  20. Cicolini G, Comparcini D, Simonetti V. Workplace empowerment and nurses' job satisfac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14;22(7):855-71. https://doi.org/10.1111/jonm.12028 

  21. Kosse NM, de Groot MH, Vuillerme N, Hortobagyi T, Lamoth CJ. Factors related to the high fall rate in long-term care residents with dementia.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15;27(5):803-14. https://doi.org/10.1017/S104161021400249X 

  22.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23. Higgins J, Green 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Internet]. London, UK: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cited 2016 March 15]. Available from: http://handbook.cochrane.org/ 

  24. Deandrea S, Lucenteforte E, Bravi F, Foschi R, La Vecchia C, Negri E. Risk factors for falls in community-dwelling older peopl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pidemiology. 2010;21(5):658-68. https://doi.org/10.1097/EDE.0b013e3181e89905 

  25. Bateni H, Maki BE. Assistive devices for balance and mobility: benefits, demands, and adverse consequence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5;86(1):134-45. https://doi.org/10.1016/j.apmr.2004.04.023 

  26. Murphy CF, Alexopoulos GS. Longitudinal association of initiation/perseveration and severity of geriatric depression.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4;12(1):50-6. https://doi.org/10.1097/00019442-200401000-00007 

  27. Barca ML, Engedal K, Selbaek G, Knapskog AB, Laks J, Coutinho E, et a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Cornell scale for depression in dementia among patient with dementia of various degree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5;188:173-8. https://doi.org/10.1016/j.jad.2015.08.062 

  28. Nijk RM, Zuidema SU, Koopmans RT.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sychotropic drug use in Dutch nursing-home patients with dementia.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2009;21(3):485-93. https://doi.org/10.1017/S1041610209008916 

  29. Kim SH, Lee BH. Risperidone for psychogeriatric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2003;14(Suppl 1):101-11. 

  30. Kim NC, Kim JH, Lim YM. A study on community-dwelling elders with dementia, their primary caregiver, and living environments. Journal of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2002;16(1):13-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