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19 구급대원의 중증도 분류 지식 정도 및 교육 전·후 비교
Comparison of knowledge level of triage in 119 EMTs 원문보기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v.18 no.1, 2014년, pp.43 - 54  

이효주 (원광보건대학교 의무부사관과) ,  조근자 (공주대학교 응급구조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ppropriate direction for triage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knowledge level of triage in 119 EMTs before and after the triage education. Methods : The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newly assigned 33 EMTs in the fire service academy in I metro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신임 소방사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응급구조사들의 중증도 분류에 대한 지식수준과 교육 전·후 지식의 변화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중증도 분류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자는 중증도 분류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I광역시 소방학교 신규 소방사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응급구조사들의 중증도 분류에 대한 지식수준과 교육 전·후 지식의 변화를 파악하여 현장에서의 신속하고 정확한 중증도 분류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신임 구급대원들의 교육에 따른 중증도 분류 지식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단일 실험군 전후 설계이다.
  • 본 연구는 신임 구급대원을 대상으로 중증도 분류에 대한 지식수준과 교육 전·후 지식의 변화를 파악하여 중증도 분류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환자의 질병이나 부상의 심각성을 과소평가해 분류한 경우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급대원에 의해경증으로 분류되었으나 응급의학과 전문의 2인 이상이 중증으로 분류한 대상을 의미한다.
  • 환자의 질병이나 부상의 심각성을 과대평가해 분류한 경우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급대원에 의해서 중증으로 분류되었으나 응급의학과 전문의 2인 이상이 경증으로 분류한 대상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급활동일지는 어떻게 수정되었나? 그러나 최근에 한국형 중증도 분류체계(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가 처음 개발되면서 유효성에 대한 검증과 정착을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4-6]. 한편 현장에서는 환자 분류란 개념으로 중증도 분류를 시행하고 있는데, 2010년 하반기에 구급활동일지가 전면 수정되면서 응급, 비응급, 사망의 분류체계에서 응급, 준응급, 잠재응급, 대상 외, 사망(추정)으로 구체화 되었다[7]. 하지만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병원 전 환자의 중증도 분류기준은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대한 교육 체계도 부족한 실정이다.
중증도 분류란? 중증도 분류(Triage)란 응급처치의 필요성과 이용이 가능한 의료자원에 따라 환자를 분류하는 과정이며, 응급상황이 발생한 현장에서부터 의료기관까지 연속적으로 시행된다[1,2]. 중증도 분류의 개념은 최소의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어야 하는 전상자 진료에서 발전되었고, 민간의료 부문에서는 다양한 중증도를 가진 환자에 대해 적기에 최적의 진료를 수행하는 응급의료현장에서 이용되고 있다[3].
다양한 중증도를 가진 환자에게 적절한 중증도 분류가 이루어졌을 때의 장점은? 중증도 분류의 개념은 최소의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어야 하는 전상자 진료에서 발전되었고, 민간의료 부문에서는 다양한 중증도를 가진 환자에 대해 적기에 최적의 진료를 수행하는 응급의료현장에서 이용되고 있다[3]. 이러한 중증도 분류가 적절하게 이루어진다면 생명이 위독한 환자를 빠르게 파악하고 처치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한정된 의료자원의 효율적인 분배 유도, 중증도에 따른 적절한 병원으로의 이송을 통해 대형병원 응급실 과밀화 현상을 해소시킴으로써[4] 응급의료체계의 효율적인 순환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Yoon JC, Lim KS, Lee JH, Park YK, Kim W. Hospital triage system in mass casualty incident. J Korean Soc Emerg Med 2003;14(5):569-74. 

  2. Waeckerle JF. Disaster planning and response. N Engl J Med 1991;324(12):815-21. 

  3. Kim TG, Cho JK, Kim SH, Lee HS, Gu HD, Chung SW.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odified emergency severity index-2 as a triage tool. J Korean Soc Emerg Med 2006;17(2):154-64. 

  4. Lee KH. How to developed and use the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Proceedings of 2013 autumn annual conference. J Korean Soc Emerg Med 2013;1:417-24. 

  5. Kang KS, Kim OH, Kim KY, Cha YS, Cha KC, Lee KH, et al. Validity of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in trauma. proceedings of 2013 autumn annual conference. J Korean Soc Emerg Med 2013;2:343-4. 

  6. Kim OH, Lee KH, Hwang SO, Kim KY, Cha KC, Cha YS, et al. Validity of 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KTAS): multicenter study. proceedings of 2013 autumn annual conference. J Korean Soc Emerg Med 2013;2:347. 

  7.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The Standard Protocols for 119 Emergency Medical Services Providers.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3. 

  8. Kim SS.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in Korea. Korean J Emerg Med Ser 2009;13(2):47-59. 

  9. Lee JI. A comparison of the four-year emergency paramedic training programs of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raduate School of Kongju University 2011, Kongju, Korea. 

  10. Kim HS, Lee YA. Comparative analysis on three-year period curriculum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of college. Korean J Emerg Med Ser 2007;11(2):29-50. 

  11. Gilboy N, Tanabe, Travers DA, Rosenau AM, Eitel DR. Emergency severity index, version 4: Implementation handbook. AHRQ Publication, 2005. 

  12. Ha SO, Lim KS, Kim W, Oh BJ.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worsening prognosis for undertriage patien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observation study. J Korean Soc Emerg Med 2011;22(6):701-8. 

  13. Derlet RW, Nishio DA. Refusing care to patients who present to an emergency department. Ann Emerg Med 1990;19(3):262-7. 

  14. Derlet RW, Nishio D, Cole LM, Silva J Jr. Triage of patients out of the emergency department: three-year experience. Am J Emerg Med 1992;10(3):195-9. 

  15. Yun SW, Lee KY. Prehospital care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o trauma patients. Korean J Emerg Med Ser 2011;15(2):27-42. 

  16. Wuerz RC, Milne LW, Eitel DR, Travers D, Gilboy 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new five-level triage instrument. Acad Emerg Med 2000;7(3):236-42. 

  17. Van Gerven R, Delooz H, Sermeus W. Systematic triag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using the Australian national triage scale: a pilot project. Eur J Emerg Med 2001;8(1):3-7. 

  18. Buschhorn HM, Strout TD, Sholl JM, Baumann MR. Emergency medical services triage using the emergency severity index: is it reliable and valid? J Emerg Nurs 2013;39(5):55-63. 

  19. Fernandes CM, McLeod S, Krause J, Shah A, Jewell J, Smith B, et al. Reliability of the 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 interrater and intrarater agreement from a community and an academic emergency department. CJEM 2013;15(4):227-32. 

  20. Park YS, Cho JK, Yoon CJ, Park IC, Lee KR, Kim SH.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odified emergency severity index as a triage tool. J Korean Soc Emerg Med 2002;13(3):324-8. 

  21. Wuerz R. Emergency severity index triage category is associated with six-month survival. ESI triage study group. Acad Emerg Med 2001;8(1):61-4. 

  22. Park MJ. An evalua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in medical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2010, Daejeon, Korea. 

  23. Kim YK. The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instruction on student's intrinsic motivation and socia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Chung- Ang University 2001, Seoul, Korea. 

  24. Oh HJ, Kim SD, Lee YS.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tudent's creativity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5;26(1):1-8. 

  25. Hwang SY.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on the knowledge achievement, critical thinking ability, attitude and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3, Gwangju,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