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난현장 응급의료시설 구축을 위한 매뉴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al for Emergency Medical Facility Constructing at Disaster Site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8 no.6, 2017년, pp.38 - 46  

윤유상 ((주)피엠피지엠) ,  서상욱 ,  이영 (가천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유형의 재난이 발생하고 있으며,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재난관리 체계구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마우나리조트, 세월호 사건 이후 국민안전처 신설,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 발표 등 재난안전과 관련하여 많은 정책적 개선을 추진하였으며, 재난거점병원을 확충하는 등 시설 확보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과 비교하여 인구 당 응급의료시설이 부족한 실정이며, 재난 시 다양한 기관의 미흡한 협조체계로 효율적 재난관리가 이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상황에 요구되는 응급의료시설의 효율적 구축과 체계적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선진국 대비 국내 응급의료시설의 현황을 파악하고, 재난현장 응급의료시설 유형 및 상황별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various types of disasters have been occurring all over the world, and the importance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to minimize damage caused by disasters is emerging. In Korea, we have made many policy improvements related to disaster safety,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ec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재난응급의료 비상대응매뉴얼」 상 현장응급의료 시행 장소 선정과 현장응급의료소 설치는 현장지휘소와 상의하여 선정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현장응급의료소의 유형에 유닛모듈시설을 추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재난발생시 응급의료시설 투입과 관련된 의사결정항목을 도출하고, 도출된 의사결정항목과 유닛 모듈러 시스템의 적용을 고려한 「재난응급의료 비상대응매뉴얼」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세계 각국에서 재난에 대한 대비 및 신속한 대응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응급의료 및 이에 필요한 시설에 관한 내용은 사례별로 정리되어 있어 범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매뉴얼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활용되고 있는 「재난응급의료 비상대응매뉴얼」 중 응급의료시설에 대한 내용을 보완하였으며, 이동형 병원에서 고려되고 있는 유닛 모듈 시스템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의 재난 대응 사례들을 보면 어떤 문제점들이 있는가? 하지만 최근까지의 우리나라에서의 재난 대응 사례들을 보면 체계적인 대응이 현장에서 이루어지지 않으며 근무자들의 매뉴얼 숙지가 부족하며(Ministry of Public Safety & Security, 2015), 재난 현장에서의 응급의료를 위한 시설 설치 기준이 모호하고, 설치 과정에서 현장지휘관 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Cha et al., 2017). 특히, 현장응급의료시설과 관련하여 재난 시 응급의료와 관련된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는「재난응급의료 비상대응매뉴얼」에서는 ‘건물-천막-노천’만을 시설기준으로 명시하고 있어, 재난 시 고려되어야 하는 다양한 현장특성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재난이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제시되어있는 재난이란 국민의 생명 · 신체 ·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서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을 말한다. 재난 발생 시 재난의료에 관한 법규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긴급구조대응활동 및 현장지휘에 관한 규칙」으로 정해져있으며, 최근 모든 정부기관과 공공기관에 응급의료 제공을 적용하기 위하여「재난응급의료 비상대응매뉴얼」을 배포하였다.
재난 현장에서 현장응급의료소의 설치 기준은 무엇인가? 현장응급의료소란 재난현장에 출동한 응급의료관련자원을 총괄 · 지휘 · 조정 · 통제하고, 사상자를 분류 · 처치 · 이송하기 위해 재난현장에 설치하는 의료소를 말한다(재난응급의료비상대응매뉴얼, 2016). 재난 현장에서 현장응급의료소 설치 기준은 기존 건물에서 설치가 가능할 시에는 건물을 이용하 고, 건물의 이용이 제한되는 경우 천막을 설치하며, 천막 설치도 불가능한 경우 노천에서 실시하도록 정해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in Cheng, Ruofei Shi, and Dingyuan Du. (2015). "Mobile emergency (surgical) hospit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n medical relief of 4.20 Lushan earthquake in Sichual Province, China" Chinese Journal of Traumatology, (18)1, pp. 5-9. 

  2. Cha, M. I., Kim, G. W., Kim, C. H., Choa, M. H., Choi, D. H., Kim, I. B., Wang, S. J., Yoo, I. S., Yoon, H. D., Lee, K. H., Cho, S. J., Heo, T., and Hong, E.S. (2017). "A Study on the Disaster Medical Response during the Mauna Ocean Resort Gymnasium Collapse" J Korean Soc Emerg Med, 28(1), pp. 97-108. 

  3. Chae, H. K., Kim, G. B., Park, W. N., Park, J. S., Seo, J. S., Kim, I. B., and Cha, M. I. (2015). "Experience of Disaster Medical Response System in a Fire at Goyang Bus Terminal" J Korean Soc Emerg Med, 26(2), pp. 149-157. 

  4. E. McLaughlin, and A. Papadopoulo. (2008). "An introduction to portable field hospitals" The International Electronic Journal of Rural and Remote Health Research, 8, p. 830. 

  5. Emergency Medicine research foundation (2016). "A research report on introduction and effective operation of domestic mobile hospital" 

  6. Jang, B. H., Cho, J. S., Kim, J. J., Lim, Y. S., Lee, G., Yang, H. J., and Hyun, S. Y. (2013). "Disaster Medical Responses to the Shelling of Yeonpyeong Island" J Korean Soc Emerg Med, 24(4), pp. 439-445. 

  7. Kang, S., Yun, S. H., Min, S. H., Kim, J. H., Han, S. B., Kim, J. S., and Paik, J. H. (2013). "An Evaluation of the Disaster Medical System after an Accident which Occurred after a Bus fell of the Incheon Bridge" J Korean Soc Emerg Med, 24(5), pp. 1-6. 

  8. Kim, N. Y. (2014). "Korean Disaster Surgical Response Team: A Novel Challenge in Disaster" J Acute Care Surg, 4(1), pp. 7-12. 

  9. Ko, H. J., Lee, K. H., Kim, O. H., Cha, Y. S., Cha, K. C ., Kim, H., Hwang, S. O., Ahn, M. E., and Cho, J. W. (2013). "Experiences of a Disaster Medical Assistant Team in the Chun-cheon Landslide Disaster" J Korean Soc Emerg Med, 24(5), pp. 493-499. 

  10. Lee, K. B., Kim, K. R., Shin, D. W., and Cha, H. S. (2011). "A Proposal for Optimizing Unit Modular System Process to Improve Efficiency in Offsite Manufacture, Transportation and On-site Installa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2(6), pp. 14-21. 

  1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16). Disaster Medical Assistance Manual. 

  12. Mun, Y. A. and Kim, M. K. (2013). "A Case Study of Amsterdam Student Housing Using Container Architecture for the Development of Temporary Dwelling Space - Focused on the Student Housing of "Keetwone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9(7), pp. 135-143. 

  13. Shin, K. H. and Lee, T. S. (2014). "Priority Assignment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 Provision in Disaster by Considering Resource Limitation" J Korean Soc Hazard Mitig, 14(2), pp. 159-168. 

  14. Kim, G. Y., Park, K. O., Yoon, S. H., Park, K. H., Yoon, T. H., and Zhee, W. S. (2015). "Developing Advanced Emergency Operation and Disaster Recovery Processes for Gyeonggi-Do : Focused on the Pangyo Accident Case" Gyeonggi Research Institute, Policy Research 2015-37, pp. 1-277. 

  15. Shin, Y. S. (2016). "A study on System of Disaster Medical Response - Focused on Analysis of EMS Activity of Previous Step in the Hospital Regarding Incident Cases of Mass Casualty -" J Korean Soc Hazard Mitig, 16(3), pp. 143-150. 

  16. Thomas Blackwell and Michael Bosse (2007). "Use of an Innovative Design Mobile Hospital in the Medical Response to Hurricane Katrina" Annals of Emergency Medicine, (49)5, pp. 580-588. 

  17. Wang, S. J. (2014). "Principles and system of disaster medicine" J Korean Med Assoc, 57(12), pp. 985-992. 

  18. Wang, S. J. (2016). "Development of the Disaster Medical Manual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 Security, 9(1), pp. 39-45. 

  19. Woo, J. H., Lee, G., Cho, J. S., Yang, H. J., Lim, Y. S., Kim, J. J., Park, W. B., Jang, J. Y., Jang, J. H., Hyun, S. Y., and Cha, M. I. (2015). "Disaster Medical Responses to the Disaster Scene of Longdistance on Highway-Field Triage and Disaster Communication by Social Media for 106-vehicle Chain Collision in Yeong-Jong Grand Bridge" J Korean Soc Emerg Med, 26(5), pp. 449-457. 

  20. Yoo, I. S. (2015). "Disaster Planning in Korea" Hanyang Med Rev 2015, 35, pp. 157-1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