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년과 성에 따른 소외 영재의 학습 스타일과 과제선호도 탐색
Exploring Learning Styles and Task Preferences of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6 no.2 = no.68, 2014년, pp.296 - 307  

이미순 (대구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n educational trial for pursuit of educational excellence in the disadvantaged gifted, this study was to explore learning styles and task preferences by student's grade and gender. Furthermore, this study sought to present the practical basis to develop programs for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2). 그러므로 본 연구 역시 소외 영재의 능력과 흥미는 물론 이들의 선호하는 학습 스타일과 과제선호도를 파악하여 교수활동을 전개한다면, 보다 효과적으로 이들의 타고난 잠재력을 발휘하는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1학년(n = 47)과 4학년(n = 47) 그리고 중학교 1학년(n = 59) 소외 영재를 대상으로 학년과 성에 따른 학습 스타일과 과제선호도의 차이를 연구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교육의 수월성과 형평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교육적 시도의 일환으로서, 사회문화적 환경으로 인해 교육기회에서 소외된 학생들이 그들의 잠재력을 계발할 때 일차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학습자 특징, 학습 스타일과 과제선호도 측면을 연구하여 향후 소외 영재를 위한 프로그램 계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그 외 영재교육기관들은 일부 학년에 국한하여 소외 영재교육을 전개하고 있어 소외 영재교육의 연계성도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초등학교 4학년, 그리고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학습 스타일과 과제 선호도를 탐색함으로써, 소외 영재교육의 조기 개입과 연속적인 교육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독립학습 외 기타 요인들에 대한 신뢰도(Cronbach α)는 .70~.78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학생의 선호하는 학습 스타일을 측정하는 도구라고 가정할 수 있었다.
  • 연구문제 1]학년과 성에 따라 소외 영재의 학습 스타일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each Out'프로그램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뉴욕 할렘 지역의 영재들을 발굴하기 위해 미연방정부가 7년간 지원하고 Borland와 Wright(2000)가 추진한 Project Synergy,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Maker의 Discover Program(Maker, 2005), VanTassel-Baska(VanTassel -Baska et al., 2002) 등이 주축이 되어 수행평가 방법을 통해 초 3~6학년까지의 영재를 판별한 Project Star, 버지니아 대학과 Charlotte Mecklenburg 공립학교가 함께 유치원부터 초2까지의 소외 영재를 발굴하기 위해 개발한 Project START(Callahan et al., 1995), 불우한 환경에서 깊이 있는 이해를 경험해보지 못한 채 학교에 다니고 있는 영재들의 사고력을 증진시켜주고자 한 HOTS 프로그램과 이스라엘의 Feuerstein(1980)이 고안한 이민자들을 위한 도구적 심화 프로그램(Instrumental Enrichment Program) 등이 있다(Cho, Lee, Hwang, & Lee, 2005).
Reach Out'프로그램의 특징은? 이들 프로그램에서 공통적으로 노력하는 바는 모든 영재들을 위한 교육목적을 그대로 반영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학생의 강점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계획하면서, 부족하다고 판단되는 기초기능을 계발하며 발달에 필요한 사항을 지도함으로써, 사회문화적으로 소외된 영재의 특성을 보다 긍정적으로 수용한다.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의 내용은? 교육부는 창조경제를 이끌어갈 창의인재 육성을 위한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13~17)을 발표하였다. 이번 발표된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은 제2차 계획에 대한 성과평가 및 분석을 토대로 5대 분야에 걸쳐 17개 추진과제를 제시하였는데, 그 추진과제 중에 영재교육 기회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던 소외 계층에 대한 맞춤형 지원을 강화하고, 영재교육 기회를 확대하여 영재교육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계획도 포함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aldwin, A. Y.(1978). Educational planning for the gifted: Overcoming cultural, geographica, and socioeconomic barriers, Reston, VA: The 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 Borland, J. H. & Wright, L.(2000). Identifying and educating poor and under-represented gifted students, In K. A. Heller, F. J. Monks, R. J. Sternberg & R. F.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 (2nd ed., pp. 587-594). Amsterdam: Elsevier. 

  3. Callahan, C. M..Tomlinson, C. A..Moon, T. R..Tomchin, E. M. & Plucker, J. A.(1995). Project START: Using a Multiple Intelligences Model in identifying and promoting talent in higher-risk students, (Research Monograph No. RM 95136). Storrs, C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4. Chan, D.(2001). Learning styles of gifted and nongifted secondary students in Hong Kong, Gifted Child Quarterly, 45, 35-44. 

  5. Cho, S. Lee, M. -S..Hwang, D. & Lee, H.(2005) Reach-out for the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Their identification and education,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6. Cho, S..Lee, M. -S. & Lee, H.(2006). A study about the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the metacognitio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gifted student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6(20), 167-191. 

  7. Davis, G. A. & Rimm, S. B.(2004).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ed.). Boston: Allyn and Bacon. 

  8. Dunn, R. & Griggs, S. A.(1985). Teaching and counseling gifted students with their learning style preferences: Two case studies, Gifted Child Today, 40-43. 

  9. Dunn, R. & Milgram, R.(1993). Learning styles of gifted students in diverse cultures. In R. Milgram, R. Dunn & G. Price (Eds.), Teaching and counseling gifted and talented adolescents (pp. 3-23). Westport, CT: Praeger. 

  10. Feuerstein, R.(1980). Instrumental enrichment: An intervention program for cognitive modifiability, Baltimore: University Park Press. 

  11. Frasier, M. M..Hunsaker, S. L..Lee, J..Mitchell, S..Cramond, B..Krisel, S..Garcia, J. H..Martin, D..Frank, E., & Finley, V. S.(1995). Core attributes of giftedness: A foundation for recognizing the gifted potential of minority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Research Monograph No. RM 95210), Storrs, C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12. Gagne, F. (2003). Transforming gifts into talents: The DMGT as a developmental theory.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pp. 60-74), Boston: Allyn and Bacon. 

  13. Gardner, H.(1999). Intelligence reframed: Multiple Intelligences for the 21st century, New York: Basic Books. 

  14. Griggs, S. A.(1984). Counseling the gifted and talented based on learning styles, Exceptional Children, 50, 429-432. 

  15. Griggs, S. A. & Dunn, R.(1984). Selected case studies of the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24, 115-129. 

  16. Kim, M..Cho, S..Yoon, C. & Jin, S. U.(2004).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and teaching strategies for the Korean junior high school gifted students,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7. Kim, H..Yoon, C..Yoon, Y. & Kim, H. C.(2003). The study on gif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guiding strategies,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8.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2006). The Logical Thinking Test, Unpublished scale,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 Lee, M. -S.(2004). Acculturative experiences of Korean Americans: Exploring self-concept, learning style, and the identification of giftedness at the microlevel and macrolevel contex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nnecticut, Storrs. 

  20. Lee, M. -S. & Lee, H.(2006). The Task Preferences Scale(TPS). Unpublished scale.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1. Locke, E. A. & Latham, G. P.(1990). A theory of goal setting and task performance,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2. Maker, C. J.(2005). The DISCOVER Project: Improving assessment and curriculum for diverse gifted learners, (Research Monograph No. RM 05206). Storrs, C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23. Maker, C. J. & Schiever, S.(1989). Critical issues in gifted education: Defensible programs for cultural and ethnic minorities (Vol. 2). Austin, TX: Pro-Ed. 

  24. Renzulli, J. S.(2002). Expanding the conception of giftedness to include co-cognitive traits and to promote social capital, Phi Delta Kappan, 84, 33-58. 

  25. Renzulli, J. S.(2003). Conception of giftedness and its relationship to the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pp. 75-99), Boston: Allyn and Bacon. 

  26. Renzulli, J. S..Rizza, M. G. & Smith, L. H.(2002). Learning Styles Inventory (version III): A measure of student preferences for instructional technique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27. Ricca, J.(1984). Learning styles and preferred instructional strategies of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28, 121-126. 

  28. Ristow, R. S..Edeburn, C. E., & Ristow, G. L.(1986). Learning preferences: A comparison of gifted and above-average middle grades students, Roeper Review, 8, 119-124. 

  29. Sternberg, R. J.(2003). Giftedness according to the theory of successful intelligence,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pp. 88-99), Boston: Allyn and Bacon. 

  30. Stewart, E. D.(1981). Learning styles among gifted/talented students: Instructional technique preferences, Exceptional Children, 48, 134-138. 

  31. Tileston, D. W.(2004). What every teacher should know about: Diverse learners,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32. Tomlinson, C. A..Callahan, C. M. & Lelli, K. M. (1997). Challenging expectations: Case studies of high-potential, culturally diverse young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41, 5-17. 

  33. VanTassel-Baska, J.(2003). Content-based curriculum for low income and minority gifted learners, (Research Monograph No. RM 03180). Storrs, CT: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34. VanTassel-Baska, J..Johnson, D. & Avery, L. D.(2002). Using performance tasks in the identificatio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y gifted learners: Findings from Project STAR. Gifted Child Quarterly, 46, 110-123. 

  35. Wasson, F. R.(1981). A comparative analysis of learning styles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achieving and underachieving gifted elementary students, Dissertation Abstract International, 41, 3993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