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PL 광고의 배치유형과 프로그램 상황이 광고태도에 미치는 영향: 사전 침입성 지각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Display Type of PPL and Program Context on Advertising Attitude : Moderating Role of Previous Intrusiveness Percep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4, 2014년, pp.297 - 313  

김성은 (부산디자인센터) ,  전중옥 (부경대학교 경영학부) ,  박현희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PPL 광고의 배치유형과 프로그램 상황이 광고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 소비자 개인특성변수로 사전 침입성 지각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배치유형: 현저/모호)${\times}2$(프로그램 상황: 긍정적/부정적)${\times}2$(사전 침입성 지각: 고/저)의 실험설계에 의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PPL 광고의 배치유형에 따른 광고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치유형과 프로그램 상황의 상호작용이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배치유형과 사전 침입성 지각의 상호작용은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프로그램 상황과 사전 침입성 지각의 상호작용은 광고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배치유형, 프로그램 상황, 사전 침입성 지각은 삼원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PPL 광고 전략수립을 위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impact of display type and program condition on advertising attitude, and also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previous intrusiveness perception in such proces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display type had no signific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업의 입장에서 PPL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상황에서 광고주들은 혼합적 광고 마케팅 기법인 간접광고,그 중에서도 PPL(Product placement) 광고에 눈을 돌리고 있다. PPL은 프로그램 안에서 특정 상품, 브랜드,로고 등을 배치함으로써 시청자들의 시선을 끄는 것을 말하는데, 기업의 입장에서는 직접적으로 광고를 집행하는 것에 비해 저렴한 가격으로 노출을 증대시키고 브랜드를 널리 알릴 수 있으며, 협찬을 받는 제작자 입장에서는 제작비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새로운 대안적 광고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PPL 배치유형에 대해 소비자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기존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는 PPL 배치유형 중 모호한 배치보다 현저한 배치에 대해 더 호의적인 광고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본 연구에서는 현저한 배치유형이 모호한 배치유형보다 약간 높은 광고태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는 방송법 개정이후 노골적인 PPL 광고 사용이 일상화되고 소비자들이 이러한 자극에 빈번하게 노출됨으로써 유형별 차이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은데서 연유한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선정된 드라마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시간적 제약으로 인해 짧은 시간동안 PPL 광고가 제시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로 피험자들이 PPL 배치유형을 인식하는 과정에서 많은 차이를 지각하지 못했을 수도 있을 것이다.
PPL은 무엇인가? 간접광고의 가장 대표적인 형태라 볼 수 있는 PPL은 기업의 상품, 로고, 장소 등을 제공 또는 배치하여 시청자들이나 관객들의 무의식 속에 상품의 이미지를 알리는 광고 마케팅 기법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7)

  1. L. Ha, "Advertising Clutter in Consumer Magazines: Dimensions and Effect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6, No.4, pp.76-84, 1996. 

  2. L. A. Babin and S. T. Carder, "Viewer's Recognition of Brands Placed within a Film,"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Vol.15, No.2, pp.140-151, 1996. 

  3. P. B. Gupta and K. R. Lord, "Product Placement in Movies: The Effect of Prominence and Mode on Audience Recall," Journal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Vol.20, No.1, pp.47-59, 1998. 

  4. S. Vollmers and D. Mizerski, "A Review and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iveness of Product Placements in Films," In K. W. King(Ed.), Proceedings of 1994 Conference of the American Academy of Advertising, pp.97-102, 1994. 

  5. S. K. Balasubramanian, "Beyond Advertising and Publicity: Hybrid Message and Public Policy Issues," Journal of Advertising, Vol.23, No.4, pp.29-46, 1994. 

  6. J. A. Karrh, "Brand Placement: A Review," Journal of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Vol.20, No.2, pp.31-49, 1998. 

  7. M. J. Baker and H. A. Crawford, Product Placement, Unpublished Working Paper, Department of Marketing, University of Strathclyde: Glasgow, Scotland, 1995. 

  8. 박종민, "PPL의 법적 규제에 관한 일고찰 : TV프로그램 PPL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5권, 제1호, pp.73-96, 2004. 

  9. 박재진, "간접광고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구매의도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제71권, pp.153-175, 2006. 

  10. 리대룡, 남기창, "영화 속 브랜드배치에 대한 평가적 태도", 광고홍보연구, 제7권, 제1호, pp.1-33, 1999. 

  11. C. A. Russell, "Toward a Framework of Product Placement: Theoretical Proposition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25, pp.357-362, 1998. 

  12. D. W. Shumann and E. Thorson, "The Influence of Viewing Context on Commercial Effectiveness: A Selection-Processing Model," Current Issues and Research in Advertising, Vol.12, No.1, pp.1-24, 1990. 

  13. 이석완, 맥락효과에 따른 광고 주목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4. C. E. Norris and A. M. Colmas, "Context Effects on Recall and Recognition of Magazine Advertisements," Journal of Advertising, Vol.21, No.3, pp.37-46, 1992. 

  15. K. S. Coulter, "The Effect of Affective Responses to Media Context on Advertising Evaluation," Journal of Advertising, Vol.27, No.4, pp.41-51, 1998. 

  16. M. Dahlen, "The Medium as a Contextual Cue: Effects of Creative Media Choice," Journal of Advertising, Vol.34, No.3, pp.89-98, 2005. 

  17. M. E. Goldberg and G. J. Gorn, "Happy and Sad TV Program : How They Affect Reactions to Commercial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4, No.4, pp.387-403, 1987. 

  18. Y. Yi, "Contextual Priming Effects in Print Advertisements: The Moderating Role of Prior Knowledge," Journal of Advertising, Vol.22, No.1, pp.1-10, 1993. 

  19. M. Sherif and C. I. Hovland, Social Judgment: Assimilation and Contrast Effects in Communication and Attitude Chang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61. 

  20. 양윤직, 조창환, "광고 매체별 광고회피 수준과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제92권, pp.355-381, 2012. 

  21. J. C. Sipior and B. T. Ward, "The Ethical and Legal Quandary of Email Privacy," Communication of the ACM, Vol.38, No.12, pp.48-54, 1995. 

  22. H. Li, S. M. Edwards, and J. Lee, "Measuring the Intrusiveness of Advertisements: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Journal of Advertising, Vol.31, No.2, pp.37-47, 2002. 

  23. 김요한, "심리적 반발이 스팸 회피에 미치는 영향 경로에 대한 분석", 사회과학연구, 제36권, 제1호, pp.1-29, 2012. 

  24. P. S. Speck and M. T. Elliot, "Predictors of Advertising Avoidance in Print and Broadcast Media," Journal of Advertising, Vol.26, No.3, pp.61-76, 1997. 

  25. R. H. Ducoffe, "Advertising Value and Advertising on the Web,"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6, No.5, pp.21-35, 1996. 

  26. E. Steortz, The Cost Efficiency and Communication Effect with Brand Name Exposure within Motion Picture, Master's Thesis West Virginia University, 1987. 

  27. A. Finn, "Print Ad Recognition Readership Recognition: A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25, No.2, pp.168-177, 1998. 

  28. 이유재, 최우진, "제품배치(PPL) 소비자의 브랜드 회상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여도와 PPL관련 사전정보 인지여부의 조절적 역할", 광고학연구, 제15권, 제3호, pp.91-112, 2004. 

  29. 리대룡, 강석보, "상표배치(brand placement)의 설득효과", 언론문화연구, 제15권, pp.103-136, 1998. 

  30. S. P. Brown and D. M. Stayman,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Attitude toward the Ad: A Meta-analysis :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9, No.1, pp.34-51, 1992. 

  31. A. B. Aylesworth and S. B. MacKenzie, "Context is Key: The Effect of Program Induced Mood on thoughts about the Ad," Journal of Advertising, Vol.27, No.2, pp.18-31, 1998. 

  32. R. E. Petty, D. W Schumann, S. A. Richman, and A. J. Strathman, "Positive Mood and Persuasion: Different Roles for Affect under High and Low Elaboration Condi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4, No.1, pp.5-20, 1993. 

  33. 김재휘, 이해양, "TV 드라마에 의해서 유발된 정서가 PPL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제14권, 제2호, pp.23-40, 2003. 

  34. D. M. Stayman and D. A. Aaker, "Are all the Effects of Ad-induced Feelings Mediated by Ad,"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5, No.3, pp.368-373, 1998. 

  35. T. K. Srull, "A Model of Consumer Memory and Judgemen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13, pp.643-647, 1986. 

  36. 박진우, 환경광고의 소구유형과 수용자의 관여도에 따른 광고태도의 역할: 이중매개모델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7. 김기현, 노출회수와 배치형태에 따른 제품배치(PPL)효과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8. R. A. Bauer and S. A. Greyser, Advertising in American: The Consumer View. Boston: Mass, Harvard University, 1968. 

  39. S. B. MacKenzie and R. J. Lutz,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Structural Antecedents of Attitude Toward the Ad in an Advertising Pretesting Context," Journal of Marketing, Vol.53, No.2, pp.48-65, 1989. 

  40. 김재휘, 김용환, "인터넷광고의 침입성과 관여가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제60권, pp.7-35, 2003. 

  41. C. H. Cho, J. G. Lee, and M. Tharp, "Different Forced Exposure Levels to Banner Advertisement,"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41, No.4, pp.45-57, 2001. 

  42. L. F. Alwitt and P. R. Prabhaker, "Identifying Who Dislikes Television Advertising: Not by Demographics Alon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34, No.6, pp.17-29, 1994. 

  43. 이경렬, "텔레비전 방송광고회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들에 관한 연구: 인지적 회피, 기계적 회피, 그리고 물리적 회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제12권, 제2호, pp.165-189, 2001. 

  44. 홍종필, "매체 유형에 따른 소비자의 광고회피 양상과 광고회피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0권, 제5호, pp.181-212, 2008. 

  45. C. H. Cho and H. J. Cheon, "Why Do People Avoid Advertising on the Internet?," Journal of Advertising, Vol.33, No.4, pp.89-97, 2004. 

  46. 김완석, 권윤숙, "광고태도가 상표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대한 상표친숙도의 영향," 광고연구, 제34권, 제3호, pp.31-49, 1997. 

  47. 정충영, 최이규, SPSSWIN을 이용한 통계분석, 무역경영사,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