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소기억을 통한 문화경관의 층위 해석 - 형용사를 사용하여 -
An Interpretation of the Cultural Landscape by Using Adjectives on Place Memory of Local People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2, 2014년, pp.10 - 18  

박재민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김무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문화경관을 바라보는 새로운 도구인 장소기억과 형용사를 이용하여 경관의 숨겨진 구조와 특징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반표준화 인터뷰를 사용하였으며 생애사적인 관점에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산업화 시기를 거쳐 탈산업화 시기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 근대 산업도시 장항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가 바라보고 있는 경관은 정지하거나 고정된 것이 아닌 시간의 흐름 속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해 왔으며, 장항의 경우 산업화, 한국전쟁과 탈산업화에 의해 크게 구분되었고 그 속에는 수많은 기억의 층위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소수자와 개인의 집단기억은 사라지고, 지역의 산업발전을 상징하는 이미지만이 드러나고 있었다. 특히 일부 경관 이미지는 왜곡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소에 관한의 계보를 통해 그 위치와 이유를 밝혀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억을 통한 경관 읽기의 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형용사를 사용하여 구체화하였다. 더불어 우리가 바라보고 있는 경관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은 모습의 경관인지를 한번 의심해 볼 필요가 있음을 이야기하고자 하였으며, 경관의 생산자인 설계자와 계획가로서 또 다른 왜곡된 기억을 재생산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nterprets the hidden structure, layers and figures into cultural landscape, invisible landscape, by using landscape adjectives based on Place Memory of locals. Methods for obtaining local landscape information are through semi-standardized interview and autobiographical questionnaires.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우리가 바라보며 인식하고 있는 도시 경관은 일반적으로 인식하듯이 정지되어 고정된 아름다운(beauty) 이미지만이 아닌, 시간의 흐름 속에서 동적으로 변화하는 일상적 이미지(vernacular landscape)임을 살피고, 우리가 인식한 경관은 하나의 이미지가 아닌 지층(strata)과 같이 수많은 층위에 의해 형성된 것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장소기억 속 층위의 구조를 살핌으로써, 우리가 당연시하며 인식하고 있는 경관 이미지의 일부는 사실 어떤 이유와 힘(power)에 의해 왜곡되거나 변형되었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문화경관 이론 속에서 문화경관을 바라보는(way of seeing) 새로운 시선인 장소기억 개념을 적용한 것이며, 그 구체적 연구 대상으로서 한국의 대표적 근대 산업경관인 ‘장항’ 다룬 것이다.
  • 본 연구는 인터뷰 과정을 통해 추출된 형용사를 이용하여 경관의 특징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인터뷰는 2012년 3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총 19회 진행하였다(Table 1 참조).
  • 본 연구는 최근 문화경관 연구에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장소기억 개념에 기초하여 지역주민의 장소기억을 인터뷰로 추출하였고, 그 속에 담겨있는 형용사를 사용하여 장항 근대 산업경관을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 달리 형용사를 범주화하지 않아, 보다 자발적이고 폭넓은 형용사를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인터뷰 과정을 통해 보다 미시적이고 계보적인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었다.
  • 이에 ‘굉장한’, ‘발전한’, ‘배고픈’ 등 구체적인 상태를 드러내는 형용사만이 아닌 ‘좋은’, ‘괜찮은’ 등과 같이 다소 일반적이고 추상적인 형용사를 함께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형용사의 특성(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설명)을 이용하여 전후 구술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그 형용사가 지시하고 설명하는 경관의 특성을 해석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의 기억 속에 투영되어 있던 장소기억을 인터뷰로 추출한 후, 대상과 현상을 설명하는 특징을 가진 형용사를 이용하여 변화하는 경관(dynamic landscape)의 특성과 경관의 층위(layered landscape)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가 바라보며 인식하고 있는 도시 경관은 일반적으로 인식하듯이 정지되어 고정된 아름다운(beauty) 이미지만이 아닌, 시간의 흐름 속에서 동적으로 변화하는 일상적 이미지(vernacular landscape)임을 살피고, 우리가 인식한 경관은 하나의 이미지가 아닌 지층(strata)과 같이 수많은 층위에 의해 형성된 것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장소기억 속 층위의 구조를 살핌으로써, 우리가 당연시하며 인식하고 있는 경관 이미지의 일부는 사실 어떤 이유와 힘(power)에 의해 왜곡되거나 변형되었음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주민의 기억 속에 투영되어 있던 장소기억을 인터뷰로 추출한 후, 대상과 현상을 설명하는 특징을 가진 형용사를 이용하여 변화하는 경관(dynamic landscape)의 특성과 경관의 층위(layered landscape)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가 바라보며 인식하고 있는 도시 경관은 일반적으로 인식하듯이 정지되어 고정된 아름다운(beauty) 이미지만이 아닌, 시간의 흐름 속에서 동적으로 변화하는 일상적 이미지(vernacular landscape)임을 살피고, 우리가 인식한 경관은 하나의 이미지가 아닌 지층(strata)과 같이 수많은 층위에 의해 형성된 것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소기억의 예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장소기억이란 장소에 남아있는 기억을 의미하며, 이는 ‘장소에 남겨진 물리적 흔적과 아우라’, ‘장소에 관한 집단기억’ 그리고 기억의 재현체인 ‘기념물’로 구분할 수 있다(Park, 2013b). 예를 들어, ‘파르테논’, 익산 ‘미륵사지 터’라는 특정 장소를 바라보는 것만으로 정신적인 힘과 아우라를 경험할 수 있으며, ‘마을숲’, ‘정자목’, ‘소금창고’ 등의 장소 주변 지역민과 노동자의 구술을 통해 과거의 경관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반면, 정치가, 정책가와 디자이너들은 상징화된 과거의 일부 기억을 선택하여 기념물이나 가로, 광장 등으로 재현하곤 한다.
경관형태학의 연구는 어떠한 비판을 받아왔는가? 20세기 초 풍경식 회화와 정원에서 영향을 받은 Sauer(1925)와 Schlüter(1906)는 문화경관 개념을 제시하였고, 눈 앞에 보이는 가시적 현상과 이미지를 연구하는 경관형태학(morphology)으로 발전시켰다. 하지만 경관형태학의 연구는 주로 가시적 경관에 한정됨으로써 그 이면에 담겨진 내재적 의미, 상호침투성, 동적인 경관 특성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Cosgrove, 1984; Hong, 2009; Yoon, 2009; Hwang, 2011). 이후 문화경관 이론은 사회이론과 결합하며 새로운 장을 마련하게 되었는데, 대표적으로 Cosgrove는 경관을 상징화된 문화적 이미지라고 정의하며 바라보는 방식(way of seeing)으로 설명하였고, 이후 경관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이 등장하며, 텍스트경관(landscape as text), 상징경관(iconography), 문화정치(landscape as politic) 등으로 발전하였다(Cosgrove, 1985; Cosgrove and Daniels, 1989; Duncan, 1988; Yeoh, 1992; Jin, 2005).
장항은 어떤 도시인가? 연구대상지인 장항은 충청남도 서천군에 위치하고 있으며(Figure 2 참조), 면적은 18.8km2, 인구는 13,481명(Janghang-eup, 2010)으로, 일제강점기 충청도, 경기도와 강원도 일부 지역의 미곡 수탈과 반출, 군사자금을 확보하기 위하여 건설된 근대 초기 한국의 대표적 근대 산업도시이다. 1920년대 토지매립을 시작으로 1931년 경남철도의 부설, 1932년 장항항 개항, 1936년 장항제련소가 완공되며, 산업도시로의 면모가 마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ssmann, J.(1992) Das Kulturelle Gedachtnis: Schrift, Erinnerung und Politische Identitat in fruhen Hochkulturen. Munich: Verlag C.H. Beck. 

  2. Ban, Y. U., T. H. Lee., J. I. Baek. and M. A. Kim.(2012) Selecting representative landscape adjectives in accordance with landscape units and space types.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5(2): 95-101. 

  3. Bender, B.(2002) Time and landscape. Current Anthropology 43: 103-112. 

  4. Cosgrove, D.(1984) Social Formation and Symbolic Landscape. London: Croom Helm. 

  5. Cosgrove, D.(1985) Prospect, perspective and the evolution of the landscape idea.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10(1): 45-62. 

  6. Cosgrove, D. and S. Daniels(1989) The Iconography of Landscap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Duncan, J.(1988) (Re)reading the landscape, environment and planning. Society and Space 6(2): 117-126. 

  8. Halbwachs, M.(1941) Etode de momoire collective. Universitaires de France: Paris. 

  9. Heath, P. R.(2005) A new theory on place memory. Australian Journal of Parapsychology 5(1): 40-58. 

  10. Hwang, K. W.(2011) Interpretation Landscape.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1. Hong, K. S.(2009) The thick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region through the vistas of landscape and memory.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21(1): 46-94. 

  12. Im, S. B. and J. H. Shin(1996)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landscape impact assessment.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2(9): 153-160. 

  13. Jackson, J. B.(1984) Discovering the Vernacular Landscap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4. Janghang-eup(1997) History and Culture on Janghang. Chungchungnamdo: Janghang-eup. 

  15. Janghang-eup(2010) History and Culture on Janghang Beside Guemriver and West Sea. Chungchungnamdo: Janghang-eup. 

  16. Jeon, J. H.(2009) Place memories of the urban backlane: In case of the Pimat-gol of Jongno, Seoul.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4(6): 779-796. 

  17. Jin, J. H(2005) ${(e)}$ -interview : Denis E. Cosgrove: Landscape and imaginative geography. Planning and Policy 290: 85-95. 

  18. Joo, S. H. and S. B. Im(2003) A study on the landscape adjectives for urban landscap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 1-10. 

  19. Jung, Y. M. and J. S. Byeon(2005) The analysis of the image of Kongju City based on citizen - Image positioning by adjectives of city and landmar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3): 18-30. 

  20. Kwon, Y. G., S. B. Im and Y. H. Jung(2011)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Insa-dong street's sense of place. 46(2): 139-151. 

  21. LG Metal(1997) History of LG Metal. Seoul: LG. 

  22. Nora, P.(1984) Les lieux de memoire: La Republique. Paris: Gallimard. 

  23. Park, H. W. and L. Leydesdorff(2004) Understanding and using of KrKwic for Korean contents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24. Park, J. M.(2007) Researching Process Planning of Modern Industrial Heritage of Jang-hang. MA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5. Park, J. M. and J. S. Sung(2012a) A study on the definition changing of industrial heritage.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21(1): 65-72. 

  26. Park, J. M. and J. S. Sung(2012b) A study on the industrial heritage in Jang hang.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46(2): 107-120. 

  27. Park, J. M.(2013a) An interpretation of cultural landscape through layered images of place memory: Korea's Janghang industrial city from 1920 to 2010. 8th Singapore Graduate Forum on Southeast Asian Studies. 

  28. Park, J. M.(2013b) 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of Modern Industrial Landscape through Place Memory.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9. Sauer, C. O.(1925) The Morphology of Landscape.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cations in Geography. 

  30. Schama, S.(1995) Landscape and Memory. New York: Vintage Books. 

  31. Schluter, O.(1906) Die ziele der geographie des Menschen. Munchen und Berlin. 

  32. Squire, L. R.(1992) Declarative and nondeclarative memory: Multiple brain systems supporting learning and memory.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4(3): 11. 

  33. Taylor, K.(2008) Landscape and memory: Cultural landscapes, intangible values and some thoughts on Asia. 16th ICOMOS General Assembly and International Symposium: 'Finding the spirit of place-between the tangible and the intangible', 29 Sep-4 Oct 2008, Quebec, Canada. 

  34. Teo, P., B. S. A. Yeoh, O. G. Ling and K. P. Y. Lai(2004) Changing landscape of Singapore. Singapore: The Mc Graw Hill education. 

  35. Tulving, E.(1999) Episodic and Semantic Memory. MIT Encyclopedia of the Cognitive. Sciences. Ed. Robert Wilson and Frank C. Keil. Cambridge: MIT Press, pp. 278-80. 

  36. UNESCO(2005)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Paris: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37. Yeoh, B. S. A.(1992) Street names in colonial Singapore. Geographical Review 82: 313-22. 

  38. Yoon, H. K.(2009) The development of cultural geography and the recent research trends in English speaking regions.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21(1): 13-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