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환자의 초기영양평가를 위한 단순영양검색도구 개발 및 도구 간 신뢰도 검증
Development of a simplified malnutrition screening tool for hospitalized patients and evaluation of its inter-methods reliabilit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7 no.2, 2014년, pp.124 - 133  

윤옥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대학원 임상보건학과 임상영양전공) ,  이규휘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박윤정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입원환자의 전자의무기록에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지표들을 중심으로 초기영양평가를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한 영양검색도구를 개발하고, 새로 개발한 영양검색도구에 대한 신뢰도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입원환자 903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및 개별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PGSGA를 기준으로 양호군과 영양불량군을 나누었다. 1)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양호군과 영양불량군으로 범주화하기 위한 최종 영양평가지표로 연령, BMI, 혈중 알부민, 혈중 콜레스테롤, 총단백질, 헤마토크리트, 체중변화, 섭취변화여부가 선정하였다. 특히 체중변화, 섭취변화여부의 경우는 예/아니오의 주관적 단답식 조사로 간단히 이루어졌다. 2) SMST의 영양평가결과 총 903명 중에서 양호군은 620명 (68.7%), 영양불량군은 283명 (31.3%)으로 나타났으며, 양호군과 영양불량군사이에 연령, 혈중 알부민, 총임파구수, BMI,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리트, 총단백질, 혈중 콜레스테롤, 재원기간 모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3) SMST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PGSGA와 NRS2002와의 민감도, 특이도, 카파비를 통한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SM-ST는 PGSGA와 민감도 94.4%, 특이도 88.4%, 카파비 0.747로 'Substantial agreement'하며 (p < 0.001), NRS2002와 민감도 96.1%, 특이도 79.5%, 카파비 0.505로 'Moderate agreement' (p < 0.00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새로운 초기영양검색 도구인 SMST의 영양평가지표는 의무기록 및 단답형의 질문으로 이루어져, 신속하고 간단한 초기영양평가가 가능하다. 특히 기존에 개인면담을 통해 시간적, 인력적 요구가 높은 영양도구들에 비해, 입원당시 기본적 신체계측과 함께 단답형으로 이뤄진 체중변화 및 식이섭취변화 여부가 기록될 경우 추가될 경우 추가조사 없는 의무기록으로 평가가 가능하다. SMST는 PGSGA, NRS2002와 높은 일치도를 보여 기존에 타당도가 높다고 알려진 두 영양검색 도구와 도구간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하지만 SMST는 합병증의 유무, 사망률, 재입원률, 병원비용 등 환자의 예후와 관련한 연관성 및 보편적 대상자에서의 유용성은 검증되지 않았으므로, 이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for development of a simplified malnutrition screening tool (SMST) for hospitalized patients using readily available laboratory and patient information and for evaluation of its reliability compared to well-established tools, such as PGSGA and NRS-2002. Meth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병원 실정에 적합하도록 입원환자의 초기 영양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단순도구를 개발하고 기존의 표준도구와 비교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새로운 초기영양검색도구(SMST)는 신체계측, 혈액검사를 포함한 전자의무기록과 간단한 문답형의 조사결과에 기반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개발되었다.
  • 본 연구는 입원환자의 전자의무기록에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는 지표들을 중심으로 초기영양평가를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한 영양검색도구를 개발하고, 새로 개발한 영양검색도구에 대한 신뢰도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입원환자 903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 및 개별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PGSGA를 기준으로 양호군과 영양불량군을 나누었다.
  • 따라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영양평가도구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양도구 개발의 일환으로 입원시 기본적으로 조사되는 생화학적 후보 지표들과 의무기록, 그리고 두 가지 간단한 문답형의 조사만을 포함한 변수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평가가 가능한 영양판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한 영양검색도구를 표준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PGSGA, NRS2002와 비교하여 개발된 새로운 영양검색도구의 신뢰도를 비교하도록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Mueller C, Compher C, Ellen DM; American Society for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A.S.P.E.N.) Board of Directors. A.S. P.E.N. clinical guidelines: Nutrition screening, assessment, and intervention in adults. JPEN J Parenter Enteral Nutr 2011; 35 (1): 16-24. 

  2. Agarwal E, Ferguson M, Banks M, Bauer J, Capra S, Isenring E.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intake of acute care patients: results from the Nutrition Care Day Survey 2010. Clin Nutr 2012; 31(1): 41-47. 

  3. Almeida AI, Correia M, Camilo M, Ravasco P. Nutritional risk screening in surgery: valid, feasible, easy! Clin Nutr 2012; 31(2): 206-211. 

  4. Kyle UG, Kossovsky MP, Karsegard VL, Pichard C. Comparison of tools for nutritional assessment and screening at hospital admission: a population study. Clin Nutr 2006; 25(3): 409-417. 

  5. Pirlich M, Schutz T, Norman K, Gastell S, Lubke HJ, Bischoff SC, Bolder U, Frieling T, Guldenzoph H, Hahn K, Jauch KW, Schindler K, Stein J, Volkert D, Weimann A, Werner H, Wolf C, Zurcher G, Bauer P, Lochs H. The German hospital malnutrition study. Clin Nutr 2006; 25(4): 563-572. 

  6. Charlton K, Nichols C, Bowden S, Milosavljevic M, Lambert K, Barone L, Mason M, Batterham M. Poor nutritional status of older subacute patients predicts clinical outcomes and mortality at 18 months of follow-up. Eur J Clin Nutr 2012; 66(11): 1224-1228. 

  7. Lim SL, Ong KC, Chan YH, Loke WC, Ferguson M, Daniels L. Malnutrition and its impact on cost of hospitalization, length of stay, readmission and 3-year mortality. Clin Nutr 2012; 31(3): 345-350. 

  8. Alvarez-Hernandez J, Planas Vila M, Leon-Sanz M, Garcia de Lorenzo A, Celaya-Perez S, Garcia-Lorda P, Araujo K, Sarto Guerri B; PREDyCES researchers. Prevalence and costs of malnutrition in hospitalized patients; the PREDyCES Study. Nutr Hosp 2012; 27(4): 1049-1059. 

  9. Kuppinger D, Hartl WH, Bertok M, Hoffmann JM, Cederbaum J, Kuchenhoff H, Jauch KW, Rittler P. Nutritional screening for risk prediction in patients scheduled for abdominal operations. Br J Surg 2012; 99(5): 728-737. 

  10. Ottery FD. Rethinking nutritional support of the cancer patient: the new field of nutritional oncology. Semin Oncol 1994; 21(6): 770-778. 

  11. Detsky AS, McLaughlin JR, Baker JP, Johnston N, Whittaker S, Mendelson RA, Jeejeebhoy KN. What is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JPEN J Parenter Enteral Nutr 1987; 11(1): 8-13. 

  12. Detsky AS, Baker JP, Mendelson RA, Wolman SL, Wesson DE, Jeejeebhoy KN. Evaluating the accuracy of nutritional assessment techniques applied to hospitalized patients: methodology and comparisons. JPEN J Parenter Enteral Nutr 1984; 8(2): 153-159. 

  13. Baker JP, Detsky AS, Wesson DE, Wolman SL, Stewart S, Whitewell J, Langer B, Jeejeebhoy KN. Nutritional assessment: a comparison of clinical judgement and objective measurements. N Engl J Med 1982; 306(16): 969-972. 

  14. Mullen JL, Buzby GP, Waldman MT, Gertner MH, Hobbs CL, Rosato EF. Prediction of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by preoperative nutritional assessment. Surg Forum 1979; 30: 80-82. 

  15. Bauer J, Capra S, Ferguson M. Use of the scored Patient-Generated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PG-SGA) as a nutrition assessment tool in patients with cancer. Eur J Clin Nutr 2002; 56(8): 779-785. 

  16. Kondrup J, Rasmussen HH, Hamberg O, Stanga Z; Ad Hoc ESPEN Working Group. Nutritional risk screening (NRS 2002): a new method based on an analysis of controlled clinical trials. Clin Nutr 2003; 22(3): 321-336. 

  17. Streja E, Kovesdy CP, Molnar MZ, Norris KC, Greenland S, Nis senson AR, Kopple JD, Kalantar-Zadeh K. Role of nutritional status and inflammation in higher survival of African American and Hispanic hemodialysis patients. Am J Kidney Dis 2011; 57 (6): 883-893. 

  18. Han JS, Lee SM, Chung HK, Ahn HS, Lee SM.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utritional Risk Screening Tool (NRST) for hospitalized patients. Korean J Nutr 2009; 42(2): 119-127. 

  19. Kim S, Kim S, Sohn C. Development of nutrition screening index for hospitalized pati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6; 11(6): 779-784. 

  20. Kim JY, Wie GA, Cho YA, Kim SY, Kim SM, Son KH, Park SJ, Nam BH, Joung H.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utrition screening tool for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Clin Nutr 2011; 30(6): 724-729. 

  21. Lee JS, Cho MR, Lee GJ. Validation of the developed nutritional screening tool for hospital Patients. Korean J Nutr 2010; 43(2): 189-196. 

  22. Kim SY, Yeom HS, Park YM, Chung SH, Shin AR, Han HS, Park DJ. Comparison of tools for nutritional risk screening at hospital admission. J Korean Soc Parent Enter Nutr 2009; 2(1): 6-12. 

  23. Akpele L, Bailey JL. Nutrition counseling impacts serum albumin levels. J Ren Nutr 2004; 14(3): 143-148. 

  24. Thorsdottir I, Jonsson PV, Asgeirsdottir AE, Hjaltadottir I, Bjornsson S, Ramel A. Fast and simple screening for nutritional status in hospitalized, elderly people. J Hum Nutr Diet 2005; 18(1): 53-60. 

  25. Federation of American Societies for Experimental Biology, Life Sciences Research Office. Nutrition monitoring in the United States: an update report on nutrition monitoring. Prepared for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and the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DHHS Publication No. (PHS) 89- 1255.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89. 

  26. Sauberlich HE, Dowdy RP, Skala JH. Laboratory tests for the assessments of nutritional statues. Cleveland (OH): CRC Press;1974. 

  27. Delgado-Rodriguez M, Medina-Cuadros M, Gomez-Ortega A, Martinez-Gallego G, Mariscal-Ortiz M, Martinez-Gonzalez MA, Sillero-Arenas M. Cholesterol and serum albumin levels as predictors of cross infection, death, and length of hospital stay. Arch Surg 2002; 137(7): 805-812. 

  28. Brugler L, Stankovic AK, Schlefer M, Bernstein L. A simplified nutrition screen for hospitalized patients using readily available laboratory and patient information. Nutrition 2005; 21(6): 650-658. 

  29. Kondrup J, Allison SP, Elia M, Vellas B, Plauth M; Educational and Clinical Practice Committee, European Society of Parenteral and Enteral Nutrition (ESPEN). ESPEN guidelines for nutrition screening 2002. Clin Nutr 2003; 22(4): 415-421. 

  30. Smith RC, Ledgard JP, Doig G, Chesher D, Smith SF. An effective automated nutrition screen for hospitalized patients. Nutrition 2009; 25(3): 309-315. 

  31. Velasco C, Garcia E, Rodriguez V, Frias L, Garriga R, Alvarez J, Garcia-Peris P, Leon M. Comparison of four nutritional screening tools to detect nutritional risk in hospitalized patients: a multicentre study. Eur J Clin Nutr 2011; 65(2): 269-274. 

  32. Laky B, Janda M, Kondalsamy-Chennakesavan S, Cleghorn G, Obermair A. Pretreatment malnutrition and quality of life - association with prolonged length of hospital stay among patients with gynecological cancer: a cohort study. BMC Cancer 2010; 10: 232. 

  33. Youden WJ. Index for rating diagnostic tests. Cancer 1950; 3(1): 32-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