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원 환자용 초기 영양검색도구의 타당도 검증
Validation of initial nutrition screening tool for hospitalized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4, 2019년, pp.332 - 341  

김혜숙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  이선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  김혜숙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권오란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영양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입원환자의 초기영양평가를 위해 개발된 영양검색도구의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입원 후 24시간이내 동일한대상자에게 PG-SGA와 개별면담을 시행 후 그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CKUNRS와 PG-SGAS 두 그룹 모두 나이는 고위험군이 평균 연령보다 높았고, BMI, 혈청 알부민헤모글로빈은 영양불량이 심할수록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CKUNRS와 PG-SGA를 비교 분석한 영양 평가결과 전체 686명 중 영양불량 위험 환자는 각각 107명(15.6%)과 380명 (44.6%)으로 조사되었다.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98.7% (96.8 ~ 99.5)와 33.3% (28.1 ~ 39.0)로 나타났으며, 두 도구 간 유사성 kappa 지수는 0.34로 CKUNRS는 PG-SGA를 기준으로 어느 정도 타당한 검색도구로 검증되었다. 결론적으로, CKUNRS를 PG-SGA와 같은 공인된 영양검색도구와 비교한 결과 민감도와 유사성 면에서는 어느 정도 타당한 수준의 영양검색도구인 것으로 판정되었으나, 특이도가 높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초기입원 영양평가로 효과적인 영양검색도구를 위하여 재원기간, 합병증 유무, 사망률, 환자의 질병 예후와 관련된 유용성은 검증되지 않아 이에 관련하여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보다 정확한 영양불량 환자의 검색을 위해서는 간호사의 입원환자 초기 평가 및 재평가 부분에서 누락 가능성이 있는 체중변화, 소화기계장애, 식욕상태, 저작곤란, 연하곤란 등의 정확한 기록을 할 수 있도록 간호사정 기록자의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효과적인 초기 영양관리를 위해서는 향후 CKUNRS의 영양검색 기준에 대한 수정보완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oor nutrition in hospitalized patients is closely linked to an increased risk of infection, which can result in complications affecting mortality, as well as increased length of hospital stay and hospital costs. Therefore, adequate nutritional support is essential to manage the nutritio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대부분 우리나라의 많은 종합병원에서는 영양상태를 최대한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영양검색 도구를 병원의 특성에 맞게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신속하면서도 비용면에서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영양판정 및 영양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본 연구는 C대학병원에서 입원 환자를 위해 사용하고 있는 영양검색 도구인 CKUNRS (Catholic Kwandong University Nutritional Risk Screening)를 PG-SGA와 비교 분석하여 CKUNRS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입원환자의 초기영양평가를 위해 개발된 영양검색도구의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입원 후 24시간이내 동일한대상자에게 PG-SGA와 개별면담을 시행 후 그 결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CKUNRS와 PG-SGAS 두 그룹 모두 나이는 고위험군이 평균 연령보다 높았고, BMI, 혈청 알부민과 헤모글로빈은 영양불량이 심할수록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천 소재의 한 대학병원에서 사용되고 있는 영양검색도구 (CKUNRS)를 공인된 영양검색 및 판정 도구인 PG-SGA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CKUNRS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CKUNR와 PG-SGA를 이용한 영양검색 결과 영양상태가 불량할수록 평균연령이 높고, BMI가 유의적으로 낮으며, 혈중 알부민과 혈중 헤모글로빈 모두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불량이란? 영양불량에는 영양소의 부족으로 인한 영양결핍과 영양소의 과다섭취로 인한 영양과잉이 모두 포함된다. 또한1~2가지의 영양소가 부족하여 문제가 되는 영양불균형 역시 영양불량의 범주에 속한다.
입원환자 영양불량에 대해 정확한 평가와 대처가 중요한 까닭은? 입원환자 영양불량은 재원일수, 재입원율 및 환자의 병원비용 부담 증가, 그리고 사망률 및 합병증 발생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어 정확한 평가와 대처가 중요하다 [3-6]. 영양불량은 근육의 힘이 호흡기능에 영향을 미치고 흉부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며 심장기능을 저하시키는 것과 연관된다 [7,8].
입원 24시간 이내에 영양검색 (Nutrition screening)을 수행하는 것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의료기관인증 조사기준에서도 입원환자의 초기영양평가 수행여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입원 24시간 이내에 영양검색 (Nutrition screening)을 수행하는 것을 평가 기준으로 하고 있다 [15]. 입원환자의 초기 영양평가를 위한 영양검색은 영양위험요인의 기준을 환자의 정보와 비교하여 영양적 문제를 가진 환자를 분류해 내는 것을목적으로 하며, 단시간에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도구이다. 따라서 의료기관에서 영양검색은 영양판정의 전단계로 사용되며 영양관리계획을 요하는 환자들의 우선순위를 정할 때 이용되는 비용 효과적인 방법이다 [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Rha M. Effects of clinical outcome of hospitalized patients by means of nutritional status [dissertation]. Seoul:Seoul National University; 2006. 

  2. Manual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8 3 

  3. Clin Nutr Correia 22 3 235 2003 10.1016/S0261-5614(02)00215-7 

  4. Clin Nutr Norman 27 1 5 2008 10.1016/j.clnu.2007.10.007 

  5. Nutrition Allison 16 7-8 590 2000 10.1016/S0899-9007(00)00368-3 

  6. JAMA Sullivan 281 21 2013 1999 10.1001/jama.281.21.2013 

  7. Am Heart J Heymsfield 95 5 584 1978 10.1016/0002-8703(78)90300-9 

  8. Am J Clin Nutr Pichard 79 4 613 2004 10.1093/ajcn/79.4.613 

  9. Korean J Nutr Han 42 2 119 2009 10.4163/kjn.2009.42.2.119 

  10. JPEN J Parenter Enteral Nutr Reilly 12 4 371 1988 10.1177/0148607188012004371 

  11. Ann Surg Windsor 208 2 209 1988 10.1097/00000658-198808000-00013 

  12. Nutr Clin Pract Dougherty 10 1 26 1995 10.1177/011542659501000126 

  13. Eur J Clin Nutr Bauer 56 8 779 2002 10.1038/sj.ejcn.1601412 

  14. J Korean Soc Parenter Enter Nutr Kim 2 1 6 2009 

  15. 2014 Guidelines for hospital evaluation program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16. J Korean Diet Assoc Kim 5 1 48 1999 10.5124/jkma.1999.42.1.48 

  17. Nutrition Ferguson 15 6 458 1999 10.1016/S0899-9007(99)00084-2 

  18. Clin Nutr Kyle 25 3 409 2006 10.1016/j.clnu.2005.11.001 

  19. Clin Nutr Kondrup 22 3 321 2003 10.1016/S0261-5614(02)00214-5 

  20. Clin Nutr Ockenga 24 6 913 2005 10.1016/j.clnu.2005.05.019 

  21. J Nutr Health Aging Guigoz 10 6 466 2006 

  22. Am J Clin Nutr Kruizenga 82 5 1082 2005 10.1093/ajcn/82.5.1082 

  23. Nutrition Ruiz-Lopez 19 9 767 2003 10.1016/S0899-9007(03)00125-4 

  24. Clin Nutr Persson 18 2 71 1999 10.1016/S0261-5614(99)80054-5 

  25. Biometrics Landis 33 1 159 1977 10.2307/2529310 

  26. Clin Nutr Kondrup 22 4 415 2003 10.1016/S0261-5614(03)00098-0 

  27. Br J Nutr Almeida 109 2 322 2013 10.1017/S0007114512001134 

  28. Korean J Nutr Lee 43 2 189 2010 10.4163/kjn.2010.43.2.189 

  29. Clin Nutr Guerra 36 5 1326 2017 10.1016/j.clnu.2016.08.022 

  30. Clin Nutr Agarwal 31 1 41 2012 10.1016/j.clnu.2011.08.002 

  31. Clin Nutr Almeida 31 2 206 2012 10.1016/j.clnu.2011.10.003 

  32. Clin Nutr Pirlich 25 4 563 2006 10.1016/j.clnu.2006.03.005 

  33. J Nutr Health Yun 47 2 124 2014 10.4163/jnh.2014.47.2.124 

  34. The world health report 2002: reducing risks, promoting healthy lif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35. Korean J Nutr Lee 42 7 631 2009 10.4163/kjn.2009.42.7.631 

  36. J Korean Soc Study Obes Sim 10 2 147 2001 

  37.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World Health Organization Western Pacific Region 2000 

  38. E Spen Eur E J Clin Nutr Metab van Venrooij 2 2 21 2007 10.1016/j.eclnm.2007.03.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