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개발의 방향: Drake 모형의 적용 가능성 탐색
An Exploration of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Gifted: The Applicability of the Drake Model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4 no.2, 2014년, pp.217 - 241  

이경진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  노일순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학문중심 통합교육과정 관점으로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문중심 통합교육과정 관점의 대표적인 모형인 Drake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캐나다 온타리오 주의 통합교육과정을 분석하고,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에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온타리오 주의 사례는 학교 교육과정 내에 '큰 아이디어(Big Idea)'를 중심으로 통합교육과정을 개설하여 선택된 전공과정의 심화뿐만 아니라 타 학문과의 통합시도, 미래 문제의 해결을 위한 통합 적용 등의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교과과정 내에서 또는 개인별 심화연구까지 통합을 통한 연구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 Drake 모형에 기반한 온타리오 주의 통합교육과정을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 개발에도 적용 가능한지를 살펴보기 위해 온타리오 주의 '정보학 개론' 과목을 국내 과학영재학교의 유사과목인 '정보과학' 과목에 적용해 본 결과, Drake 모형의 탐색 망, KDB 우산, 최종 과제 만들기 단계를 차별화하면 과학영재학교에서 현재 운영 중인 과목에도 충분히 적용 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영재들이 학습해야 할 학습 목표, 이해를 보여줄 평가계획, 타학문 또는 실세계 문제와의 통합 경험제공 등을 고려해야 하고 이를 위해 통합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사 협의체를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for the Gifted students in the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perspective. To this end, the study analysed the Ontario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based on a Drake's Integration Model which is typ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교육과정이 가져야 하는 특성은 무엇인가? 이러한 점에서 보자면,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을 통해 영재의 간학문적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어야 하고 영재의 다각적인 관심과 집중력을 발휘하여 심도 있는 주제에 대한 독창 적인 아이디어를 생산해 낼 수 있는 학습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영재의 지적 활동의 중요성을 충분히 강조하고, 의미의 다양성을 강조해야 하며, 심화된 내용과 고차원적인 사고 기능을 자극하고 학문적 차원에서 개인적 삶의 차원까지 전이가 일어날 수 있어야 한다.
영재교육이란 무엇인가?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이 어떠한 특징을 가져야 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먼저 영재의 특성과 영재교육과정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영재교육진흥법 제2조에 의하면 영재란 “재능이 뛰어난 사람으로서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하여 특별한 교육이 필요한 사람”이고, 영재교육이란 “영재를 대상으로 각 개인의 능력과 소질에 맞는 내용과 방법으로 실시하는 교육”이다. 법에 명시된 영재의 정의 중 재능이 뛰어나다는 것은 여러 의미를 지닌다.
영재란 무엇인가? 영재를 위한 통합교육과정이 어떠한 특징을 가져야 하는지를 탐색하기 위해 먼저 영재의 특성과 영재교육과정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우리나라 영재교육진흥법 제2조에 의하면 영재란 “재능이 뛰어난 사람으로서 타고난 잠재력을 계발하기 위하여 특별한 교육이 필요한 사람”이고, 영재교육이란 “영재를 대상으로 각 개인의 능력과 소질에 맞는 내용과 방법으로 실시하는 교육”이다. 법에 명시된 영재의 정의 중 재능이 뛰어나다는 것은 여러 의미를 지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 김경자 (2010). 초등학년 통합교육과정의 의미 분석과 개선 방향 탐색. 초등교육연구,23(2), 121-151. 

  3. 김경자, 온정덕 (2011). 이해중심 교육과정. 서울: 교육아카데미. 

  4. 맹희주 (2013). 융합영재교육의 발전 과제와 연구 방향에 대한 논의. 영재교육연구, 23(6),981-1001. 

  5. 성은현, 송인섭, 문은식, 하주현, 한수연 (2010). 융합형 영재교육프로그램 개발.보급, 교육-과학과 예술의 만남 중등편-.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6. 우정희, 유미현 (2013). 영재 융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초등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융.통합 유형 사례 분석. 과학영재교육, 5(2), 82-95. 

  7. 이경진, 김경자 (2012). 통합교육과정 접근으로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의미와 실천 가능성 탐색. 초등교육연구, 25(3), 219-245. 

  8. 이신동, 홍종선 (2008). 영재통합교육과정 모형 개발을 위한 이론적 탐색. 영재와 영재교육, 7(2), 39-73. 

  9. 이영만, 홍영기 (2006). 초등통합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10. 이재분, 서예원, 정영옥, 강병직, 이미경 (2012). 초.중등 영재학급 및 영재교육원의 융합인재교육(STEAM) 적용 방안 연구(RR2012-0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1. 이재호 (2011). 융합형 영재교육기관 설립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5(3),459-467. 

  12. 이재호 (2012). 융합형 영재교육기관의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6(1), 123-130. 

  13. 전우천 (2012). 창의적인 인재양성을 위한 정보영재 교육과정의 현황 및 개선방안 연구. 정보과학회지, 30(3), 17-23. 

  14. 정현철, 채유정, 류춘렬 (2012). 과학고 및 영재고 Research and Education(R&E) 운영 현황 및 실태 분석. 영재교육연구, 22(3), 597-617. 

  15. 최병연 (2013). 창의성 신장 기법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PBL)에서 초등영재의 학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12(1), 163-188. 

  16. 최태호, 박명옥 (2011). 융합형 영재교육의 가능성 모색, 영재교육연구, 21(3), 683-702. 

  17. 한국교육개발원 (2012). 제2기 영재교육 담당교원 융합인재교육(STEAM) 심화연수 합숙연수 자료집.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8. 한국과학영재학교 2013 학교교육계획 (2013). 고려문화사. 

  19. 2013 서울과학고등학교 학교교육계획 (2013). 성균문화사. 

  20. 2013학년도 학교교육계획서 (2013년). 경기과학고등학교. 

  21. 온타리오 주 교육청 홈페이지. http://www.edu.gov.on.ca/eng/ (검색일: 2013.11. 4). 

  22. 오타와 카톨릭 지역학교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ocsb.ca/ (검색일: 2013.11. 4) 

  23. 토론토 지역학교위원회 홈페이지. http://www.tdsb.on.ca/ (검색일: 2013. 11. 4) 

  24. Drake, S. M. (1991). How Our Team Dissolved the Boundaries. Educational Leadership, 49(2), 21-22. 

  25. Drake, S. M. (2007). Creating standards-based integrated curriculum. Thousand Oaks, CA:Corwin press. 

  26. Drake, S. M. (2013). 통합교육과정 개발과 평가의 기초 [유제순, 장인한 역]. 파주: 교육과학사. (원본출간년도: 2007). 

  27. Fogarty, R. (1991). The Mindful School: How to integrate the curricula. Pallantine, IL: Skylight. 

  28. Grossman, P., Wineburg, S., & Beers, S. (2000). When theory meets practice in the world of school. In S. Wineburg & P. Grossman. (Eds.),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Challenges to implementation (pp. 1-16).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9. Kliebard, H. M. (1995). The struggle for the American curriculum 1893-1958. (2nd ed.). New York: Routledge. 

  30. Mansilla, V. B., Miller, W. C., & Gardner, H. (2000). On disciplinary lenses and interdisciplinary work. In S. Wineburg & P. Grossman, (Eds.),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Challenges to implementation (pp. 17-38).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1. McTighe, J., & Wiggins, G. (2004). Understanding by design: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book.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2.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2002). The Ontario Curriculum Grades 11 and 12:Interdisciplinary Studies. Toronto,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33. Public and Catholic District School Board Writing Partnerships. (2003). Interdisciplinary Studies: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tudies. Ontario: Public and Catholic District School Board. 

  34. Tanner, L. N. (1997). Dewey's laboratory school: Lessons for today.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5. Van Tassel-Baska, J. (1998). Excellence in educating gifted and talented learners, (3rd ed.). Denver, CO: Love Publishing Company. 

  36. Van Tassel-Baska, J., & Stambaugh, T. (2006). Comprehensive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 (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37. Ward, V. (1961). Educating the gifted: An axiomatic approach. Columbus, OH: Merril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