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개수 전·후 하천공간의 생태기능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Ecological Function before and after River Improvemen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4, 2014년, pp.397 - 409  

홍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김지성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신형섭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김규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거 자연하천에서 개수 후 현재 정비하천으로 변화된 하천공간의 생태기능을 비교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생태기능 평가는 하도 중심의 물리구조와 하천공간의 생태연결성으로 구성하였고, 각각 4개와 2개 평가항목을 토대로 평가기준에 따라 정량화 하였다. 평가방법의 적용은 하천개수 전인 1918년과 대규모 하천개수사업이 종료된 현재의 만경강 하천공간에 204개 격자와 7개 하도구간을 설정하고 GIS 분석기능을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물리구조와 생태연결성은 각각 평균 2등급에서 4등급, 2등급에서 3등급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구조의 주된 악화 원인은 직강화와 그에 따른 하천 횡단구조물의 건설에 의한 것으로 파악되었고, 생태연결성 악화는 도로와 철도 등에 의한 선적 단절요인이 토지이용에 의한 면적 단절요인보다 비교적 더 크게 작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생태기능이 높은 격자들을 기준으로 하천공간을 살펴볼 때, 1918년의 생태 연결성은 하천을 축으로 분포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나, 2007년은 제방 축조와 도시화된 지역의 증가로 산포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ssessment scheme has been developed to evaluate the ecological function of rivers which were changed by the river improvement project. The evaluating factors are composed of physical structure in river channels and ecological connectivity in river areas, and each value of the f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하천개수 전·후의 광범위한 하천공간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내용이 본 연구의 주된 초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하지만 본 연구의 비교평가 대상인 개수사업 이전 자료는 1918년 근세 한국오만분지일 지형도, 조선하천조사서 등으로 매우 제한적이다. 따라서 하천공간의 생태기능 평가를 위한 항목과 기준은 기존 연구의 평가항목을 토대로, 하천 개수사업 이전의 가용 자료에서 추출 가능한 물리구조로 제한하고자 한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내지 구역을 포함한 하천공간을 진단하고자 하였고, 현재의 하천이 치수적 문제점이 없다는 전제하에 생태적 기능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목표의 지향점은 과거 자연하천(Reference channel)을 모델로함으로써 향후 복원의 잠재적 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현재하천에 비해 개수전 과거하천의 자료는 상대적으로 취약할 수밖에 없으며, 일부하천을 제외하면 가용한 자료는 근대 지형도, 조선하천조사서, 하천공사연보 등으로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 본 연구는 과거 자연하천에서 개수 후 현재의 정비하천으로 변화된 하천공간의 생태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즉 하천공간의 생태기능은 연속적이면서 풍부한 생물서식처 제공으로부터 발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약 90년 이전의 과거 자연하천에서 현재 정비하천으로 변화된 하천공간의 생태기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하천공간의 생태기능을 하도 중심의 서식처 물리구조와 제내지를 포함한 공간의 생태연결 기능으로 구분하였고, 각각 4개와 2개 인자의 정량적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향후 축소 또는 소실된 하천공간의 복원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하도 중심의 물리구조와 제내지를 포함한 생태연결성을 진단할 수 있는 생태기능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평가의 목적은 하천 개수사업 이전과 이후 시점에 대해 하천공간의 생태기능을 비교함으로써 향후 하천관리 방향을 설정하고, 하천복원 수단을 판단하고 결정하는 데 있다.
  • (2003)의 연구사례에서 활용되었으며, 생물의 횡적, 종적이동에 관한 물리적 방해물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횡단구조물의 자연성 평가를 위하여 평상시 물이 월류할 수 있는 정도(월류부 상대폭)를 평가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과거 횡단구조물의 경우, 제원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횡단구조물 단차에 의한 단절 정도는 유사한 것으로 가정한 것이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내지 구역을 포함한 하천공간을 진단하고자 하였고, 현재의 하천이 치수적 문제점이 없다는 전제하에 생태적 기능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목표의 지향점은 과거 자연하천(Reference channel)을 모델로함으로써 향후 복원의 잠재적 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향후 축소 또는 소실된 하천공간의 복원이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하도 중심의 물리구조와 제내지를 포함한 생태연결성을 진단할 수 있는 생태기능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평가의 목적은 하천 개수사업 이전과 이후 시점에 대해 하천공간의 생태기능을 비교함으로써 향후 하천관리 방향을 설정하고, 하천복원 수단을 판단하고 결정하는 데 있다. 기존 하천환경 평가사례를 살펴보면, 자료수집 단계에서 지형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토지피복도 등 영상자료의 활용과 함께 생물 (식생 등), 지형(종횡단면 등), 현장사진, 하상구조(하상재료 등) 등 현장조사를 필요로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횡단구조물의 자연성 평가를 위하여 평상시 물이 월류할 수 있는 정도(월류부 상대폭)를 평가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이는 과거 횡단구조물의 경우, 제원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횡단구조물 단차에 의한 단절 정도는 유사한 것으로 가정한 것이다. 하도주변 인접토지이용 또한 사행도와 같이 대부분의 연구사례에서 제시하고 있으며, 하천주변은 홍수터, 즉 하천 흐름과 연계된 서식공간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공간이란 무엇인가? 자연하천에서 하천공간은 종·횡적으로 수리·수문학적 영향을 받는다. 하천공간은 하천 물리구조의 범위 설정이 모호한 상태에 머물고 있으나 Song and Yoon (2008)은 하천, 호소의 수면을 포함하여 그 주변의 하천부지, 섬, 댐, 제방 등을 포괄한 하천을 주체로 하는 수체 중심의 공간으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하천은 지형학적 구조에 따라 수체와 더불어 홍수터 등 종·횡적으로 다양한 형상과 범위를 갖는다.
하천공간이 제공하는 것은? 또한 국내 하천공간 개념과 관련된 하천구역, 홍수관리구역, 수변구역, 친수구역 등은 법과 제도로 규정되어 하천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홍수터, 수변벨 트, 구하도, 습지와 같은 하천공간은 수문학적 완충역할을 통하여 홍수와 가뭄을 조절하고 생물의 서식공간을 제공 한다. 특히 하천공간은 하천의 물리구조 및 수역과 육지의 종·횡적 생태 연결성을 강화시켜주는 공간으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 하천개수사업으로 인해 나타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은? 이러한 하천개수사업과 경지정리사업은 하천의 물리구조를 변화시켰으며, 다양한 토지 이용은 종·횡적 하천공간의 생태 연결성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방안은 과거 자연하천 상태의 하천공간을 모두 확보하고 이를 원자연상태로 복원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제내 지를 포함한 하천공간은 과밀한 토지점용과 개발로 인해 많은 토지를 매입하고 충분히 확보하기는 쉽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germeier, P.L., and Karr, J.R. (1994). "Biological Integrity Versus Biological Diversity as Policy Directives." Bioscience, Vol. 44, pp. 690-697. 

  2. Bae, S.H. (2007). "Urban Change Analysis using 1:50,000 Topographical Map which is Produced to 1910's." J. of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KAGIS, Vol. 10, No. 3, pp. 93-103. 

  3. Cho, S.W. (2007). "Changes in the Role and Meaning of Man-Kyeong River." J.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KRG, Vol. 13, No. 2, pp. 187-200. 

  4. Cho, Y.H. (1997). "A Study on Evaluation Method of Stream Naturalness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Stream Corridors."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LA, Vol. 25, No. 2, pp. 73-82. 

  5. Collier. K.J., and McColl, R.H.S. (1992). Assessing the Natural Value of New Zealand Rivers. River Connservation Manage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195-211. 

  6. Fry, J., Steinerm, F.R., and Green, D.M. (1994). "Riparian evaluation and site assessment in Arizona."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 28, pp. 179-199. 

  7. Hong, I., Kang, J.G., and Yeo, H.K. (2012b). "A Study on the Channel Planform Change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Topographic Map in the Mangyoung River."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2, pp. 127-136. 

  8. Hong, I., Kang, J.G., Kang, S.J., and Yeo, H.K. (2012a). "Functional Assessment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 Mangyoung River." J. of Korea Society Civil Engineers, KSCE, Vol. 32, No. 4B, pp. 213-220. 

  9. Kang, H.S., and Park, M.Y. (2012). "Analysis of Ecological Fragmentation Improvement Effect from the Riverine Restoration." J. of Korea Society Civil Engineers, KSCE, Vol. 32, No. 6B, pp. 387-397. 

  10. Kang, H.S., Lee, Y.S., and Jeon, S.H. (2011).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Ecologically Fragmented Section for Restoration of the Riverine Ecobelt." J. of Korea Society Civil Engineers, KSCE, Vol. 31, No. 4, pp. 383-391. 

  11. KICT. (2005).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River Restoration Techniques.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05-069. 

  12. Kim, D.C., Lee, J., and Park, I.S. (2000). "An evaluation of stream naturalness for Close-to-nature stream restoration-In case of Suwon stream." J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ILA, Vol. 27, No. 5, pp. 138-149. 

  13. Lee, S.H. (2000). "Application of River Assessment for the Anyang-chun to Nature-close Urban Stream." Sangmyung University Industr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Vol. 9. pp. 90-103. 

  14. Leopold, L.B. (1972). "Landscape Aesthetics." In G. Bell and J. Tyrwhitt(ed), Human Identity in the Urban Environment, Harmondsworth. England, Penguin Books, pp. 89-105. 

  15. MLIT. (1976). Mangyeong River Restoration Master Pl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public of Korea. 

  16. MLIT. (2010). History of River Investigation in Modern Korea 192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public of Korea. 

  17. NRA. (1993). Landscape Assessment, Conservation Technical Handbook 2, National River Authority. 

  18. Otto, A. (1995). Rheinland-Pfalz Aktion Blau, Gewaerentwicklung in Rheinland-Pfalz. Ministerium fur Umwelt und Forsten. 

  19. Park, B.C., Shin, Y.C., and Suh, A.S. (2002). "An Application and Case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River Naturalness using GIS-The special reference to Musim-cheon river in Cheongju City-" J. of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KAGIS, Vol. 5, No. 1, pp. 48-57. 

  20. Park, B.J., Sung, Y.D., and Kang, T.H. (2003).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Stream Naturalness for Stream Corridor."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6, No. 6, pp. 92-103. 

  21. Park, J.W., and Ma, H.S. (2003). "Evaluation of Stream Naturalness and Vegetation of Yangje Stream" J. Agriculture & Life Sciences, Vol. 37, No. 2, pp. 57-70. 

  22. Song, J.I., and Yoon, S.I. (2008).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Technique of River Zones for River Space Management."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KRIHS, Vol. 59, pp. 61-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