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국내 치과공포 관련 요인에 대한 설명적 문헌고찰(2004-2012)
Descriptive literature review on dental fear in Korea(2004-2012)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4 no.2, 2014년, pp.251 - 259  

전보혜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verall research trend and change in dental fear during 9 years(2004-2012) and to identify the major outcomes and future directions to research. Methods : Descript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r dental fear in Korea. The research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치과공포를 주제로 요인 분석된 KCI에 등재 완료된 총 18편의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관련 연구의 전반적 동향을 확인하고 치과공포감의 관련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치과공포를 주제로 요인 분석된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치과공포와 불안에 관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치과공포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학문적 기반과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 그러나 이러한 꾸준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치과치료와 관련된 공포감은 여전히 존재하며 치과의사에게는 원활하고 효율적인 치료를 진행하는데 방해 요인이 되고, 환자와 적절한 관계를 형성하는데 지장을 초래함으로써 치과치료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15).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한 치과공포를 주제로 요인 분석된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치과공포 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좀 더 효율적으로 발전해 나가는데 필요한 학문적 기반과 기초자료가 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과공포의 요인은 무엇인가? 중복집계를 허용하여 본 연구의 고찰 대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공포․불안 측정도구는 DFS(Dental Fear Survey, 치과공포척도)로 나타났다[Table 6]. DFS는 2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치과공포의 요인을 (1)진료회피요인, (2)생리적 반응요인, (3)치과진료 자극유발요인의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조사된 14개의 연구 중 13개가 위의세 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때 포함시킨 문항은 두 가지 타입을 나타났다[Table 6].
일반인들에게 치과 방문을 기피하는 주요인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국민이 예방을 목적으로 치과를 방문해본 경험이 있는 국민은 13%이고 국민 10명 중 4명은 지난 1년간 단 한 차례도 치과를 내원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었고, 그 이유는 치과치료에 대한 공포감 때문이라고 하였다5). 치과를 방문한 환자에게 편안함을 주고자 치과계는 꾸준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고, 치료술식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치과 치료에 대한 불안과 고통은 일반인들에게 치과 방문을 기피하는 주요인이며, 진료적인 차원에서도 원활하고 효율적인 치료를 방해 한다. 또한 지나친 긴장과 걱정은 치료 동안에 심한 불안과 동통을 경험할 가능성을 높이게 된다6).
치과공포감을 조절할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따라서 치과치료와 관련된 공포는 치과치료의 계획과 진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환자와 의사의 관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치과치료 전에 환자의 불안과 공포 수준을 평가하고 이해하려는 의료진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문 등21)은 치과치료에 대한 경험이 일부 환자들에게 불안을 생성하게 할 수 있지만, 치과 의사의 태도나 노력에 의해 이러한 공포감은 충분히 조절될 수 있다고 하였다. 환자에게 성공적으로 치과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치과의사의 학문적인 지식과 치료경험뿐 아니라 환자가 갖게 되는 심리적 불안감을 감소시켜 주는 것이 중요시 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Kim, JB, Choi YJ, Bac DI, Sin SC.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4th ed. Seoul: KMS Pub INC; 2005: 255-325. 

  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9 year Korean National Oral Health Survey.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104. 

  3. Kang BW, Kwak JS, Kwon SJ, Kwon HS, Kim MJ, Kim SJ, et al. Public oral health. Seoul: KMS Pub INC; 2010: 44-6. 

  4. Kang BW, Kim KS, Kang HK, Ku IH, Kwon HM, Kim SS, et al.. Contemporary preventive dentistry 4th ed. Seoul: Koonja Pub INC; 2012: 29-30. 

  5. Seminar Review. 2004: 194(9). 

  6. Kim KS, Im JS. The psychology of dental patient. Seoul: Gunja publisher; 1995; 45-84. 

  7. Milgrom P, Fiset L, Melnick S, Weinstein P. The prevalence and practice management consequences of dental fear in a major US city. J Am Dent Assoc 1988; 116(6): 641-7. 

  8. Lautch H. Dental phobia. Br J Psychiatry 1971; 119: 151-8. 

  9. Hagglin C, Berggren U, Hakeberg M, Ahlqwist M. Dental anxiety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in Sweden: a study of oral state, utilisation of dental services and concomitant factors. Gerodontology 1996; 13(1): 25-34. 

  10. Park SY, Han DU. Dental fear and anxiety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Assoc Oral Hyg 2010; 34(2): 282-90. 

  11. Choi JS, Kim KK. Relationships between dental fear and dental services utilization with respect to oral health promotion.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 2006; 23(4): 47-65. 

  12. Kim JY, Hong SS, Jeong SH, Choi YH, Song KB. Analysis of the related factors, validity of CFSS-DS for dental fea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gu city.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5; 29(2): 131-40. 

  13. Choi JS, Kim JS. Analysis of dental fear and related factors using dental fear survey among 13 to 18 tear olds. J Korean Acad Pediatric Dent 2008; 35(1): 118-26. 

  14. Hong SH, Oh JS. A relevant factor analysis on dental treatment fear in some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4): 741-9. 

  15. Kang HG, Go MY. An epidemiologic study on the anxiety level of dental outpatients in response to dental procedure.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icine 1992; 17(1): 19-29. 

  16. Sim YS, Gim AH, An SY. Dental fear and anxiety of juveniles in some areas of Gyeonggi probince. J Korean Assoc Pedi Dent 2011; 38(4): 362-7. http://dx.doi.org/10.5933/JKAPD. 2011.38.4.362. 

  17. Yoon HS, Park JH.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oral health recognition and dental fear in dental clinic patients. J Korean Cont Soci 2012; 12(6): 371-9. http://dx.doi.org/10.5392/JKCA. 2012.12.06.371. 

  18. Kim SH. Relationship between dental caries experience and oral health cognition, dental treatment fear. J Korean Soci Dent Hyg 2012; 14(4): 223-31. 

  19. Oh AY, Kim JY, Lee HS, Choi TH, Song KB.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fear and OHRQoL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a metropolitan area. J Korean Assoc Dent Hyg 2011; 35(1): 93-101. 

  20. Cha JD, Kim JY.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erament and dental fear. J Dent Hyg Sci 2009; 9(5): 539-43. 

  21. Park SY, Han DU. Dental fear and anxiety levels of middle school students. J Korean Assoc Oral Hyg 2010; 34(2): 282-90. 

  22. Kwon SJ, Choi YJ. Impact of the type of dental treatment on the dental fear of adolescents in South Gyeongsang province. J Korean Cont Soci 2010; 10(2): 277-85. 

  23. Choi SS, Kim JY, Song KB, Lee SK. Analysis of the related factors of dental fear among teenagers in private dental clinics. J Korean Assoc Pedi Dent 2004; 28(4): 495-503. 

  24. Hong SH, Oh JS. A relevant factor analysis on dental treatment fear in some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Assoc Dent Hyg Edu 2012; 12(4): 741-9. 

  25. Choi SS, Song KB, Kim HG. Effect of dental treatment fear and distrust of dentists with dental caries experie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city, Korea. J Dent Hyg Sci 2011; 11(4): 367-73. 

  26. Lee HY, Na MH, Lee YH. Analysis of related factors for dental fear. J Korean Assoc Dent Hyg Edu 2012; 12(1): 57-65. 

  27. Jung MH, Jun SH. Patients who visit to dental clinic utilization behavior, dental fear and oral and maxillofacial pain. J Korean Assoc Dent Hyg 2009; 9(3): 367-74. 

  28. Hwang HR, Cho YS, Bae HS. Factors associated with high dental anxiety by the modified dental anxiety scale in dental patients and students. J Korean Assoc Oral Hyg 2011; 35(2): 145-54. 

  29. Ryu HG.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economic stress and state-trait anxiety on the periodontal disease. J Dent Hyg Sci 2012; 12(6): 583-90. 

  30. Hwang HR, Choi HN, Cho YS. Association between dental fear and anxious thoughts and tendencies and dental experience of dental patients. J Dent Hyg Sci 2011; 11(1): 15-21. 

  31. Park SY, Won YS. Influences of previous pain experiences during dental treatment on dental fear. J Korean Soci Health Service Management 2012; 6(1): 141-51. 

  32. Choi JS, Kim KK. Relationships between dental fear and dental services utilization with respect to oral health promotion. J Korean Soci Health Edu Prom 2006; 23(4): 47-65. 

  33. Choi JS, Kim JS. Analysis of dental fear and its related factors using dental rear survey among 13-to 18 year olds. J Korean Assoc Pedi Dent 2008; 35(1): 118-26. 

  34. Choi SS. The effect of factors dental treatment fear of level middle-school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0; 10(4): 585-93. 

  35. Lee JM, Jang SO. Dental fear cause and oral health care behavior in the dental hygiene clinic cli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0; 10(4): 705-15. 

  36. Kleinknecht RA, Thomdisk RM, McGlynn FD, Harkavy J. Factor analysis of the dental fear survey with cross-validation. J Am Dent Assoc 1984; 59-61. 

  37. Humphris G, Morrison T, Lindsay S. The modified dental anxiety scale: validation and United Kingdom norms. Community Dent Health 1995; 12(3): 143-50. 

  38. Erten H, Akarslan Z. Bodrumlu E. Dental fear and anxiety levels of patients attending a dental clinic. Quintessence Int 2006; 37: 304-10. 

  39. Moon PS, Hur YW, Kim DE, Lee KH. Effect of dental experience on attitude of children toward the dentist and dental treatment. J Korean Acad Pediatric Dent 1996; 23(2): 461-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