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 목심칠기 木芯漆器의 제작기법 연구
Production Techniques for Goryeo Wooden Lacquerware 원문보기

박물관보존과학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v.15, 2014년, pp.78 - 95  

이용희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박수진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윤은영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 ,  정혜진 (국립경주박물관 보존과학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칠기 6점을 대상으로 엑스선 X-ray 촬영과 현미경 조사, SEM-EDS 분석 등 과학적인 조사를 실시하여 고려시대 칠기의 재질 및 제작기법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조사 결과 칠제합 덕수 4123을 제외한 나머지 고려시대의 칠기 유물은 목심 木心 표면에 직물 織物을 입혀 옻칠을 한 목심저피칠기 木芯紵皮漆器 양식으로 만들어졌음이 밝혀졌다. 화형합과 송엽형합의 목심은 뚜껑의 천판 天板 이나 몸체 바닥판의 외각에 두께가 얇은 띠 모양의 목재를 돌려 감아 기벽을 만들었다. 또한 꽃모양 칠제배 덕수 4124는 권태 捲胎 양식 樣式과 유사하게 띠 모양의 목재를 나선형으로 감아올려 기벽을 형성한 후 바닥을 판재로 막고 굽을 달아 칠기 잔의 형태를 만든 것으로 나타났다. 현미경을 이용한 광학적 조사에서는 목재나 직물심 위에 골분 骨粉을 혼합한 골회 骨灰 옻칠을 먼저 하고, 그 위에 다시 옻칠을 중첩하여 바르는 칠기법이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SEM-EDS 및 μ-XRF 미소부 형광X-ray 분석 결과 꽃모양 칠제배 덕수 4124 표면에는 진사 辰砂: HgS를 섞은 주칠 朱漆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뚜껑에 반점 무늬가 있는 송엽형 칠제합 덕수 4190은 석황 石黃: As2S3을 섞은 황색 칠을 도장하고 그 위에 연매 煙煤를 혼합한 흑색칠로 불규칙한 반점을 찍어 독특한 무늬를 표현한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 칠제합의 측면에 발라진 주칠에는 진사와 연단 鉛丹: Pb3O4을 혼합한 옻칠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xamine the materials, production techniques, and key features of Goryeo wooden lacquerwares, scientific analysis was conducted on six relevant lacquerware items. All of the items, except for a lacquered bowl duksu 4123, were found to have been made by first covering the surface of the wood wit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려시대 묘에서 출토된 것으로 추정되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화장용 칠제합 등 고려시대의 목심칠기 6점을 대상으로 엑스선 X-ray, 이하 X-ray 투과 촬영, 칠도막 단면의 현미경 조사, SEM-EDS 및 μ-XRF 분석 등 과학적 조사 분석을 실시하여 목심의 구조와 제작 기법, 직물심 織物心 의 존재 여부, 칠의 층상 구조 및 골회 骨灰 의 혼합물, 채색옻칠에 사용된 안료 등 고려시대 칠기의 재질과 제작기법상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는 고려시대 칠기인 칠제합, 칠제배, 칠제향합이 칠기법 측면에서 어떤 공통점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가? 칠기법의 측면에서 보면 골분을 혼합한 골회 옻칠로 직물의 눈매를 메운 뒤에 그 위에 순수한 옻칠을 여러 번 칠하여 마감하는 방법이 공통적으로 확인되었다. 직물심이 없이 목심 표면에 곧바로 옻칠을 한 칠제합 덕수 4123 의 경우에도 골분이 혼합된 골회 옻칠을 먼저 한 뒤 그 위에 다시 옻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목심저피칠기 양식의 특징은? 조사 결과 주발 모양의 칠제합 덕수 4123 을 제외한 나머지 화형과 송엽형의 칠기합, 칠제배 등은 목심저피칠기 木心紵皮漆器 양식인 것으로 목심 표면에 직물을 입히고 골회와 옻칠을 순차적으로 도장한 것이 확인되었다.
화형합과 송엽형합의 목심 조형 방법은? 칠기의 뼈대가 되는 목심은 주발형 칠제합 덕수 4123 의 경우 여느 것과 달리 녹로를 이용해 깎은 것이고, 화형합과 송엽형합은 뚜껑의 천판 또는 몸체의 바닥판을 먼저 만들고 그 외각 테두리에 띠 모양의 목재를 돌려 붙여 합의 모양을 만든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 꽃모양의 칠제배 덕수 4124 는 띠 모양의 가는 목재를 나선형으로 감아올리고 바닥의 구멍을 판재로 막고 굽을 달아 기본적인 잔의 형태를 조형한 것으로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