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록학 실천주의(Archival Activism)의 과제와 전망 월가점령운동 기록화 사례를 중심으로
The Prospects and Challenges of Archival Activism : Focusing on the Documentation Case of Occupy Wall Street Movement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42, 2014년, pp.213 - 243  

이현정 (한국기록관리학교육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기록학계에는 배제된 소수의 기록화와 사회정의 실현이라는 관점에서 공동체, 일상, 정치사회적 운동, 인권 등에 대한 다양한 기록화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록학 실천주의는 근래 들어 새로이 형성되었다기보다 이미 1960년대 후반부터 학문적 사회적 영향에 따라 변모되어왔다. 최근의 기록학 실천주의는 디지털 환경과 맞물려 기관, 지역을 넘어서 전세계적, 주류/비주류를 아우르는 모양새로 다방면에서 진행중이다. 일어나지 말았어야 할 4.16참사는 우리나라 기록공동체에게도 여러 과제를 안겨주었다. 증거, 치유의 기록에 대한 성찰적 접근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 글은 월가점령운동의 기록화 사례를 통해 동시대 기록화에 대한 과제에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록학 실천주의의 개념, 그 기원과 의미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월가점령운동의 기록화 활동 사례를 통해 기록학 실천주의를 수행하는 기록전문직의 역할에 대한 함의를 찾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n the field of archival science, a variety of documentation issues about community, everyday life, political and social movement and human rights are under discussion focusing on minorities' documentation and implementation of social justice. Those issues are especially focused on docum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논문에서 이들을 구분한 것은 워킹그룹에 포함되었다고 하나 코어팀과 자문, 조직팀간 일정한 긴장관계가 유지되고 있었는데, 그것은 운동 기록화와 보존방식에 대한 방향에 서로 의견이 다르기 때문이다. 독립적으로 기록을 유지하는 것을 계속적으로 노력한 코어팀과 일찍이 운영, 자원 등의 문제로 다른 방법을 모색한 자문, 지원단체를 구별하여 본고는 분석해보고자 한다.
  • 이들에게 오픈 소스란 단지 소프트웨어의 개념이기보다 지적 재산권을 고집하지 않고 다수가 참여하여 공동의 창조물을 만들어가는 활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카이브를 독점, 배제를 비롯한 정치적 수단으로서가 아니라 폭넓은 시민의 경험을 공유, 다양한 내러티브를 용인하고 이를 기록화 하는 것이 목표였으며, 이를 독립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아카이브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를 위한 예산확보 등에 실패42)함으로써 종국에 워킹그룹과 계속적으로 협력하였던 뉴욕대 타미먼트 라이브러리(Tamiment Library)에 점령운동의 핵심기록을 기증하는 것으로 마무리 되었다.
  • 사회 전체의 문서화 과정에 주목하도록 한 햄의 촉구는 1980년대 다큐멘테이션 전략으로 실행되었다. 아카이브가 사회에 대한 기록을 포괄적으로 보유해야 하는 책임을 실천하기 위한 이러한 전략은 90년대 초반까지 당대 사회가 기억해야 할 대상을 선정하고 단일기관 차원이 아닌 다기관 협력적 수집을 통해 다양한 기록을 수집하는 것이 목표였다.
  • 유력한 소수세력의 이해만 대변한다는 외부적 비판과 자성에서 출발한 실천주의는 대다수 사회구성원들의 기록을 보존하여 사회에 대한 좀더 완전한 기록전통을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여기에는 비주류에 대한 공평한 기록화를 표방하면서도 소외된 사람들의 목소리를 전체로 포괄하는 통합적 전체화를 지향한 것이다.53) 그러나 1990년대 후반부터 기록학 실천주의는 좀더 적극적인 형태로 변모하게 된다.
  • 그의 개념은 사실 여러 사람의 동의를 얻기에는 너무 추상적이다. 오픈소스로 만들어진 자립적이고 분산적 온라인 관계망 아카이브들이 아나키비스트들에 의해 관리되면서 생산자와 이용자와의 협력을 통해 수집물이 목록화되고 활용되어지도록 하는 것, 그 가운데 운동의 내러티브가 계속 이어지고 새롭게 재해석되어 운동의 의미를 살려가는 것이 그의 목표이다. 이것은 OWS 운동을 승계하는 또 다른 대안운동 속에서도 그 본질을 계속 이어나가는 것이며 끊임없는 의미의 재구축 과정이 되는 것이다.
  •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아키비즘은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대두된 개념이다. 유력한 소수세력의 이해만 대변한다는 외부적 비판과 자성에서 출발한 실천주의는 대다수 사회구성원들의 기록을 보존하여 사회에 대한 좀더 완전한 기록전통을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여기에는 비주류에 대한 공평한 기록화를 표방하면서도 소외된 사람들의 목소리를 전체로 포괄하는 통합적 전체화를 지향한 것이다.
  • 이 글은 2011년 미국에서 발생하여 전세계적 반향을 일으켰던 월가점령운동의 기록화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우리 기록학계가 처해있는 동시대 기록화에 대한 과제에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아키비즘의 개념, 기원과 의미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월가점령운동의 기록화 활동 사례를 통해 아키비즘을 수행하는 기록전문직의 역할에 대한 함의를 찾고자 한다. 현재 우리는 기록전문직으로서 사회운동에 참여하여 역할을 수행하는 것에 대해 정당성을 부여할 자의식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일 수도 있다.
  • 이 글은 2011년 미국에서 발생하여 전세계적 반향을 일으켰던 월가점령운동의 기록화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현재 우리 기록학계가 처해있는 동시대 기록화에 대한 과제에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먼저 아키비즘의 개념, 기원과 의미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월가점령운동의 기록화 활동 사례를 통해 아키비즘을 수행하는 기록전문직의 역할에 대한 함의를 찾고자 한다.
  • 점령운동 아카이빙의 사례는 이러한 기록학 실천주의의 과거 · 현재 · 미래의 모습이 모두 투영되어 있다. 제도적 기억기관의 아카이빙의 접근방식은 대상화된 보존기록의 공평성, 균형성의 추구를 목적으로 삼았다. 이들이 언론에 발표한 성명서를 보면 “스미소니언박물관 계열의 미국역사박물관은 미국 민주주의 정신을 시민들이 정치 집회, 데모와 시위를 통해 자신의 관점을 표현하는 방법을 포함하여 미국 정치과정을 문서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해오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키비즘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아키비즘은 SAA를 중심으로 신진 아키비스트들16)에 의해 협회 내의 엘리트주의와 비민주적 조직 운영, 수집의 다양성(흑인, 소수민족, 여성, 노동자의 기록)의 필요, 베트남 전쟁에 대한 국가 공적자금 사용의 비판17) 등 주로 60년대 사회문제의 축소판으로서 SAA의 개혁과 수집문제에 대한 논의로 시작되었다.
기록학 실천주의의 기원이라 거론되는 것은? 흔히 기록학 실천주의의 기원으로 거론되고 있는 진(Howard Zinn)의 연설18)은 이러한 내부의 자각과 맞물려 이루어진 것이다. 300여명이 운집한 1970년 SAA 연례회의의 ‘아키비스트와 신좌파’ 세션에서 진은 “지배층 중심의 기록에서 보통사람들의 기록을 모아 역사를 새롭게 쓰는 것을 제안하고 아키비스트는 전문가의 중립성이란 거짓에서 벗어나 현재 우리 사회가 부정하는 평화·평등·정의라는 인간적 가치를 활성화시켜야 한다”고 주장19)하였다.
기록학 실천주의의 본령은? 아키비즘의 본령은 사회 다방면의 활동을 다원화하여 구성한다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일상, 공동체, 마을아카이빙 등 여러 방면의 연구가 우리나라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