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화'에서 '생의료화'로: 정신장애의 사례
From 'Medicalization' to 'Biomedicalization': the Case of Mental Disorder 원문보기

科學技術學硏究 =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v.14 no.1, 2014년, pp.3 - 33  

김환석 (국민대.사회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난 40여 년 동안 의료에 대한 사회과학의 지배적 관점은 '의료화' 이론이었는데, 이는 비의학적 현상으로 취급되던 문제(예: 동성애, 알코올중독, 비만 등)를 질병으로 재정의하여 의학적 개입의 영역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의료전문가의 권력이 확대되는 사회적 과정을 가리켰다. 그런데 1980년대 중반 이후 의료 분야에서 생물과학과 정보기술의 확산에 따른 급속한 기술과학적 변화와 이와 연관된 생명경제 등 새로운 사회적 배치의 출현은 최근 '생의료화' 이론이라는 새로운 사회과학적 관점을 대두되게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현대 의료에 대한 사회학적 및 과학기술학적 이해를 심화시키기 위한 기본 작업의 하나로서 의료화 이론과 생의료화 이론을 비교하고 그 장 단점을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또한 이 중에서 어떤 이론이 더 적실성이 있는가를 정신장애의 사례를 통해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 적어도 정신장애의 경우에 의료화는 19세기 초부터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온 것이 확실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20세기 말부터 현재까지는 생의료화 이론에서 주장하는 다섯 가지의 핵심적 과정들도 대체로 관찰되며 실현되고 있는 것으로(정신장애에 대한 위험 감시의 기술을 제외하곤) 보인다. 이것은 의료화가 지속적으로 관철은 되어 왔지만, 단지 의료적 영역의 양적 확대가 아니라 생의료화 이론에서 주장하는 질적 변형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의료화의 개념이 비록 오늘날에도 타당하고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적절하고 충분하게 포착되지 않는 새로운 현상들을 생의료화의 개념이 포착할 수 있게 만든다고 인정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the last forty years, the dominant perspective of social science on medicine has been the medicalization theory. It indicates the social process of expanding power of medical professionals by (re)defining the problems which were treated as non-medical phenomena(e.g. homosexuality, alcoholism, 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화 이론(medicalization theory)은 어떤 역할을 해왔는가? 현대 사회에서 의료에 대한 대표적 사회학 이론은 의료화 이론(medicalization theory)이다. 이 이론은 1970년대 초에 처음 나타나 지난 40여 년 동안 의료의 사회적 의미와 역할을 탐구하는 데 있어 지대한 공헌을 해왔다. 비단 그것은 의료사회학뿐만이 아니라 의료인류학, 의학사, 의학 자체, 생명윤리 등의 다양한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의료화 이론의 지대한 영향력을 가리키는 지표중 하나로서, 2014년 6월 20일자로 구글 검색엔진에서 ‘의료화’라는 단어를 쳐 보니까 무려 532,000개의 사이트가 검색이 되는 것을 들 수 있다.
생의료화 이론이 최근 주목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런데 2000년대에 접어들어 의료화 이론이 의료의 사회문화적 영향과 변화된 의료 현실의 이해에 불충분하다는 비판적 인식이 고조되면서 나타난 다양한 이론들 중에서, 최근 생의료화 이론(biomedicalization theory)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생의료화 이론은 푸코의 생명정치 개념으로부터 영감을 받았을뿐 아니라, 현대 의료의 변화를 일으키는 핵심적 요인으로서 새로운 기술과학과 이에 연관된 사회적 배치를 주목하기 때문에 과학기술학(STS)에도 많은 함의를 지니고 있다.
생물학적 시민권의 예로 세월호 피해자들은 어떠하다고 여겨지는가? 이와 같이 대규모의 재난과 안전 사고로 인해 신체적․정신적 피해를 입은 사람들의 실제 상태와 집합적 정체성의 형성과정은 생의료화 시대의 중요한 연구과제가 될 수 있다. 세월호 사고로 인해 사망이나 부상 등 신체적 피해를 입은 사람들의 경우는 비교적 눈에 잘 띄고 피해 정도를 측정 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국가에 대하여 보상을 요구하기도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다. 하지만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등 정신적 피해는 실제로 고통이 심각할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눈에 잘 안 띄고 측정하기도 힘들기 때문에 제대로 치유되거나 보상을 요구하기도 힘들 것이라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