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화에 나타난 재(災)의 양상과 미적도야
The Aspect of Disaster and Aesthetic Cultivation in Fil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3, 2014년, pp.166 - 175  

한영균 (성균관대학교 동양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재난이 우리 인간의 삶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특이하게도 이와 같은 재난이 다양한 예술 활동 중 미디어 예술에서는 작가의 창조적 자극 또는 그 계기로 작동한 사례가 적지 않다는 점에 유의해 볼 필요가 있다. 예술을 통해 재난에 주목하는 이유는 우리의 삶과 미의식에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영화 "더 임파서블"과 "해운대"에서 보여 지는 수재(水災)의 양상과 그것으로 인해 발현되는 사람들의 미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통교육에서 '도야'는 주로 인격을 도야하는 것으로 '몸과 마음을 자기 스스로 닦아 성찰하고 수양한다.'는 자기 교육의 의미로 흔히 사용되었고, 서구 근대교육에서의 '도야'는 인간에게 주어진 고유한 사명으로 파악되며 각각의 인간이 자신의 개별성, 즉 인격을 점진적으로 뚜렷이 드러내는 것을 의미한다. '미'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이미 내재되어 있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칸트의 미의 분석 또한 마음속의 유쾌함이라는 특수한 성질에서 시작되었다. '미'라는 것은 사람들의 마음속에 안개와 같이 늘 깊이 존재하는 이유로 잘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사람들은 예술이라는 매개를 통해 '미'에 접근하려는 시도를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사람들은 여러 사건과 경험을 하게 되는 것으로 미에 도달하는 미적도야를 이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egative influence by disaster on human's life could be so tremendous. I like to give attention to the disaster, considerable many cases, that disaster was used as stimulation or motivation for artist's creativity, especially in the film among various art activities. The reason I focus on disa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야의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자. 전통교육에서 도야라는 말은 주로 인격을 도야하는 것으로 ‘몸과 마음을 자기 스스로 닦아 성찰하고 수양한다.
  • 미적 놀이(유희)가 이성과 감성을 통합시키는 역할을 한다면 그 다음은 실천의 문제였다. 미적 놀이를 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 본 논문은 먼저 災를 주제로 한 영화 “해운대”와 “더 임파서블”을 대상으로 재난의 예술화와 그 유형을 살펴보고, 재난 예술이 어떻게 인간의 심리적(미적) 상태와 美의 실천, 즉 미적도야에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함으로써 지금의 사회문제, 현실과 허구사이를 진동하는 미적 의식에 접근하고자 한다.
  • 영화 속의 재난을 다루기 전에 우선 대중적인 상업영화도 예술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해 가볍게 이야기해보자. 영화는 가벼운 오락물이라는 통념을 넘어 예술성과 상업성이 조화되고 결합되기에 가장 적절한 형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수 신화의 모티프에 의하면 물은 무슨 상징인가? 물이 흐르는 곳에 문명이 서고 생명이 자라듯 물은 생명력을 상징하기도 하지만, 홍수 신화의 모티프에 의하면 물은 재앙의 상징이기도 하다. 이러한 물의 이중적 이미지는 인용문에서도 잘 나타나는데, 복희와 여와남매도 결국 물과 이중적 관계를 맺는다.
건설교통부 기술안전국에서 정의한 국가적 차원에서 재난이란 무엇인가? 재난이라 함은 국민의 생명 · 신체 및 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으로 인적재난 · 자연재난· 국가기반 재난을 말한다[5].”
災란? 災는 인간이 예상하지 못한 시기에 원하지 않는 일이 일어나서 그 사건이 인간의 삶에 어떤 형태로든 고난과 고통을 주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재난은 국가나한 개인에게 고통을 주는 모든 사건들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孟子" 公孫丑上, 4章, 太甲曰, 天作孼, 猶可違, 自作孼, 不可活. 

  2. 자크 오몽, 영화미학, 이용주 역, 동문선, p.21, 2003. 

  3. 정재서, 이야기 동양신화, 황금부엉이, pp.56-59, 2004. 

  4. 김언종, 한자의 뿌리 2, 문학 동네, pp.790-791, 2001. 

  5. 건설교통부, 건설교통재난대책편람, 건설교통부 기술안전국 안전정책과, p.3, 2004. 

  6. "東國李相國集", 제2권,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 DB) 해당 자료의 한국고전번역원의 번역을 참고 하였다.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7. 서형범, "홍수의 서사화를 통해 본 재난서사의 의미", 한국현대문학연구, 제36집, p.79, 2012. 

  8. "歷代名?記, 卷一", 夫?者,成敎化, 助人倫, 窮神變, 測幽微, 與六籍同功, 四時?運, 發於天然, 非繇 書?譜作由, 下同 述作. 

  9. "禮記", 德成而上 藝成而下. 

  10. 이소영, 인물화의 사의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44, 2006. 

  11. 이중톈, 곽수경 역, 이중톈 미학강의, 김영사, p.103, 2009. 

  12. 이화식, "실러에 근거한 미적 교육 방안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제32호, p.31, 2012. 

  13. 김문한, 예술과 윤리의식, 소학사, p.185, 2003. 

  14. 프리드리히 실러, 안인희 역,미학 편지 -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실러의 미학 이론, 휴머니스트 출판 그룹, p.122, 2012. 

  15. 이화식, "실러에 근거한 미적 교육 방안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제32호, p.33, 2012. 

  16. 프리드리히 실러, 안인희 역, 미학 편지 - 인간의 미적 교육에 관한 실러의 미학 이론, 휴머니스트 출판 그룹, p.123, 2012. 

  17. 이화식, "실러에 근거한 미적 교육 방안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제32호, p.33, 2012. 

  18. 박성봉, 대중예술의 미학, 동연, p.128, 1995. 

  19. 박성봉, 대중예술의 미학, 동연, pp.128-129, 1995. 

  20. 왕필, 노자주, 2장, 美者, 人心之所樂進也. 

  21. 정혜정, 서산 휴정의 삼가귀감에 나타난 심성 이해와 마음도야, 치유와 도야, 마음의 실천적 이해 공동체,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 연구소, p.254, 2013. 

  22. 정영근, "도야 개념의 현대 교육적 의미", 인문과학연구, 제14호, p.3, 2004. 

  23. 정영근, "도야 개념의 현대 교육적 의미", 인문과학연구, 제14호, pp.3-4, 2004. 

  24. 김백만, "성명학(姓名學)에 대한 인식", 새국어생활, 제1권, 제1호. p.116, 1991. 

  25. Alain, Systeme des Beaux - Arts, Gallimard, "le sentiment du beau," p.10, 1926. 

  26. 이화식, "실러에 근거한 미적 교육 방안 연구", 미술교육연구논총, 제32호, p.43, 2012.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