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친환경 계획요소가 초고층 복합주거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Elements on Residential satisfaction Level of the High-Rise Residential Complex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3, 2014년, pp.438 - 450  

황중만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  이주형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개발경영.교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주택유형의 변화와 친환경 주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계획요소의 정량적 검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초고층 복합주거의 경우 친환경계획요소에 대한 정리와 실제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한 만족도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고층 친환경계획요소를 단지, 건물내부, 설비 및 유지관리로 구분하여 실제 거주자를 대상으로 중요도와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거주만족도(만족도, 충성도, 선호도)와 친환경계획요소의 영향 관계를 PLS 구조방정식을 통해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단지 친환경 계획요소의 개선은 만족도를 충족시켜 실제 거주자의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건물내부의 친환경 계획요소의 증가는 실제 거주자의 만족도와 선호도를 모두 충족시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설비/유지관리의 친환경 계획요소는 실제 주민의 선호요인으로 도출되었으나 만족도에 대한 가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atistical analyzing of environmental-friendly planning elements is getting important because it is getting concerned with the change of residential types and environmental friendly housing. However, in terms of the high-rise residential complex, paper about green building rating system and 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실제로 입주민이 친환경 계획요소를 이용한뒤 느끼는 만족도와 선호도 충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서는 선행연구가 부족하며, 실제로 어떠한부문이 충성도에 대해서 작용하는지 연구가 미흡하다. 따라서 조작적 가설을 하나씩 설정하고 구조모형을 설정 및 검증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때문에 다음 [표 2]와 같이 앞서 분석의 틀에서 설정하였던 지표서와 마찬가지로 친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부문과 거주 만족도 측면에서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초고층 복합주거의 실제 거주민을 대상으로 친환경계획요소에 대한 인식을 규명하고,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단지, 건물내부, 설비 및 유지관리 부문으로 구분하여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친환경 계획요소 간 거주 만족도에 대한 영향 관계를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검토하여 보다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초고층 복합주거의 개발에 있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친환경 계획요소의 부문적 개선 방안 및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단지, 건물내부, 설비/유지관리 부문으로구분된 친환경 계획요소를 세분하고, 거주에 대한 태도인 선호도, 만족도, 충성도와 구조를 이루는지 파악하여 친환경 초고층 복합주거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실제 거주민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는 것에 의의가있다.
  • 본 연구는 초고층 복합주거의 친환경계획요소를 단지, 건물내부, 설비 및 유지관리 부문으로 구분하여 실제 거주자들이 어떤 계획요소들을 중요하게 생각하고있으며, 각 부문별 친환경 계획요소가 거주 만족도(만족도, 충성도, 선호도)와 어떠한 영향 관계 및 구조를가지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계획요소가 초고층 복합주거의 거주 만족도인 만족도, 선호도, 충성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통해 설정된 체계를 바탕으로 설문을 설계하였다.
  • 또한 환경친화적 초고층 건물은 비인간성과 비자연성을 극복하려는 건축 흐름과 지구자원 보존과 에너지문제로 에너지 절약형 건축의 확산에 따른 생태 건축적경향의 흐름에서 그 개념을 유추해 볼 수 있다[4]. 이러한 친환경 건축과 복합주거 건물의 개념을 바탕으로 본연구는 선행연구를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 특히 본 연구의 대상인 초고층 복합주거는 개인 프라이버시의 강조로 인해 자료구득의 어려움이 존재했다.이로 인해 적은 표본 수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지표 간 영향관계 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 둘째, 부문별 친환경계획요소들에 대해 실제 거주자들이 어떤 계획요소들을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또한 거주 만족도(만족도, 충성도, 선호도)가 친환경 계획요소와 어떠한 영향 관계 및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PLS 구조방정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향후 초고층 복합주거의 계획에 있어 친환경 계획요소를 고려한 초고층 복합주거의 계획요소적용과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초고층 복합주거의 친환경 계획요소를 단지, 건물내부, 설비 및 유지관리 부문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둘째, 부문별 친환경계획요소들에 대해 실제 거주자들이 어떤 계획요소들을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 또한 거주 만족도(만족도, 충성도, 선호도)가 친환경 계획요소와 어떠한 영향 관계 및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PLS 구조방정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 하지만 향후 친환경계획요소에 대한 고려는 일반공동주택 뿐 아니라 초고층 복합주거의 부문에서도 마찬가지로 필수적인 요소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초고층 복합주거의 실제 거주민을 대상으로 친환경계획요소에 대한 인식을 규명하고,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단지, 건물내부, 설비 및 유지관리 부문으로 구분하여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친환경 계획요소 간 거주 만족도에 대한 영향 관계를 PLS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검토하여 보다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적 건축에 대한 연구는 언제, 어디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가? 친환경적 건축은 1970년대 유럽, 미국 등지에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환경친화에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면서 생태주거단지,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지속가능한 정주지 등의 용어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최근 주거영역에서 친환경 개발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공동주택 시장의 패러다임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최근 주거영역에서도 이러한 친환경 개발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공동주택 시장의 패러다임 또한 변화하고 있다. 과거 공동주택의 경우 부대복리시설 및편의시설, 교통의 편리성, 조경 등 단지환경이 잘 갖추어진 주거시설을 중심으로 공급되어졌으나 거주자의친환경에 대한 관심과 지속가능한 주거환경을 선호하게 되면서 친환경 공동주택의 건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주상복합이란 무엇인가? 이러한 기법은 새로운 주거 유형인 복합주거에도 적용되고 있다. 주상복합은 한 건물에서 주거와 상업, 업무, 호텔, 문화, 위락 등 3가지 이상의 상이한 기능이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 복합용도의건축물로 도심이나 부도심에 위치한 건물을 말한다. 그러므로 초고층 복합주거는 이러한 복합용도 개발의 개념에서 출발하여 주거 기능이 주요 기능이 되고, 부가기능으로 편리성과 쾌적한 생활환경 창출을 목적으로상업 및 기타 서로 다른 기능이 유기적으로 연결 및 상호 연관되어 경제적 승수효과를 발휘하도록 고도로 집약된 아파트라 정의내릴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이교선, 친환경 인증 계획요소가 공동주택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 조성익, "아트리움형 초고층 건물의 친환경 계획 요소에 관한 연구", 건축친환경설비학회, 제5권, 제3호, 2011. 

  3. 강병환, 공동주택 에너지 절약을 위한 친환경 건축물인증기준의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4. 김자경, "친환경 인증제도를 통한 국내 초고층 주거건축의 친환경성 평가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제8권, 제2호, 2008. 

  5. 이송현, 황연숙, "친환경인증아파트의 실외공간에 적용된 친환경 계획요소 사례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89권, 제1호, 2006. 

  6. 신명숙, 조명은, "친환경 아파트 단지 거주자들의 친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제22권, 제8호, 2006. 

  7. 유성정, 친환경건축물 인증지표와 거주만족도의 비교분석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8. 박명규,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 평가항목 분석 및 중요도 조사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9. 노만상, 공동주택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0. 김자경, 남경숙, "서울시 초고층 주거 건축의 특성 및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9권, 제2호, 2008. 

  11. 박성연, 류종혁, 박영기, "건축계획적 측면의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에 관한 거주후평가", 건축학회, 제23권, 제9호, 2007. 

  12. 조형진, 거주후 평가에 의한 초고층 아파트의 유지관리 개선방안,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3. 박성준,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가 인근지역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14. 민로사,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인접지역 주민들의 선호도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5. 정병두, 김철수,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공동주택 외부공간의 만족도 분석", 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42권, 제7호, 2007. 

  16. 이교선, 신동관, 이우종, "친환경 인증 계획요소가 공동주택 거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국토.도시계획학회, 제46권, 제5호, 2011. 

  17. 강순주, 이수현,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제42호, 제6호, 2004. 

  18. 김명용, 초고층 건축물의 공간적 분포와 입지적 특성분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9. W. W. Chin,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Vol.295, No.2, 1998. 

  20. A. Rai, R. Patnayakuni, and N. Seth, "Firm Performance Impacts of Digitally Enabled Supply Chain Integration Capabilities," MIS Quarterly, Vol.30, No.2, 2006. 

  21. 박은영,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한국콘텐츠학회지, 제9권, 제10호, 2009. 

  22. 유일, 김소라,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대학졸업예정자들의 구직의도 영향요인 및 인과구조 분석",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3권, 제11호, 2013. 

  23. 유재갑, 대학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강의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4. C. R. Fornell and D. F. Larcker, "Stur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No.3, 1981. 

  25. 송호창, 테크노파크 기업지원성과 관리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성과영향요인 분석,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26. D. Barclay, R. Thompson, and C. Higgins, "The partial least squares(PLS) approach to causal modeling," personal computer adoption and useasan illustration. Technology Studies, Vol.2, No.2, 1981. 

  27. R. Patnayakuni, A. Rai, and N. Seth, "Relational Antecedents of Information Flow Integration for Supply Chain Coordination,"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23, No.1,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