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선택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온라인수업 제도화 방안
Providing High School Students with Online Instruction for Optional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3, 2014년, pp.500 - 508  

정영식 (전주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고등학교에서는 교원 및 교실 부족 등으로 인해 학생들이 원하는 선택 과목을 수강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수업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내용을 연구하였다.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온라인수업의 개념과 모형을 연구하였다. 둘째, 교육통계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과목별 개설 현황과 수능 응시 현황 자료를 비교하여 과목별 수요를 예측하였다. 셋째, 온라인수업을 고등학교에 정착시키기 위해서 초중등교육법과 동법 시행령,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고시),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 지침(훈령)에 대한 개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관련 법령과 고시, 훈령에 대한 개정 방안은 온라인 수업 관계자, 시도교육청 담당자, 현장 교사로 구성된 전문가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관련 법률과 지침의 개정 범위를 제시하였고, 온라인 수업에 대한 근거와 학사 운영 및 교육과정 운영 방안 제시, 온라인 수업에 참여할 교원의 자격과 배치 기준, 예산 확보 근거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a lack of teachers and available classrooms, high school students are not able to take the elective courses of their choic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ith online instruction, I have used the following methods: First, I conducted a literature study to examine the concepts and models of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수업을 실제적으로 운영하는 데 필요한 학사 운영 및 교육과정 운영 방법, 교원의 배치 기준과 예산 확보 방안 등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근거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초중등교육법과 초중등교육법시행령(법률), 고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고시),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 지침(훈령)에 대한 개정 방안을 마련하였다.
  • 온라인수업이 고등학교에 정착되기 위해서는 초중등교육법과 동법 시행령, 훈령, 고시 이외에도 시도교육청의 규칙과 지침 등을 수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정 대상을 온라인수업의 근거, 학사 운영, 교육과정, 교원, 예산 등으로 구분한 후 해당 내용을 반영하기 위한 개정 대상을 [표 4]에 제시하였다. 시․도교육청의 운영지침은 시도교육청의 교육 여건과 예산 등이 서로 달라 하나의 안을 제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개정 범위만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교육과정을 어떻게 편성하고 있는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는 공통 교육과정으로,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는 선택 교육과정으로 편성하고 있다. 특히 선택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기초 영역 학습 강화와 진로 및 적성 등을 감안한 적정 학습이 가능하도록 기초, 탐구, 체육·예술, 생활·교양 등 4개의 교과 영역으로 구분하고, 필수 이수 단위를 제시하고 있다[1].
선택 교육과정은 어떻게 구분되어 있나?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는 공통 교육과정으로,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는 선택 교육과정으로 편성하고 있다. 특히 선택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기초 영역 학습 강화와 진로 및 적성 등을 감안한 적정 학습이 가능하도록 기초, 탐구, 체육·예술, 생활·교양 등 4개의 교과 영역으로 구분하고, 필수 이수 단위를 제시하고 있다[1].
7차 교육과정 이후에 시행되어 온 선택 교육과정의 문제점은? 첫째, 선택에 대한 뚜렷한 지침이나 선택의 결과로서 무엇이 어떻게 학생들에게 교육적으로 유익한지에 대한 입장이 정리되어 있지 않다는 점 때문에 실행에서 많은 혼란과 어려움을 안고 있다[3]. 둘째, 학생 선택의 폭은 대폭 확대시켰지만 그에 필요한 교원 수급 문제 및 시설 확충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시행되어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이 실질적으로 보장되고 있지 않았다[4][5]. 예를 들면, 인문 사회 과정의 경우 학생의 선택권보다는 교사의 수급을 고려하여 역사, 지리, 일반사회, 윤리 과목이 균등하게 편성되었다[6]. 셋째, 학습 개념이 희미해지기 쉬운 과목만 선택하거나 수능 관련 과목만 선택하는 문제, 교과에 편성만 해놓고 실제 수업은 수능에 출제되는 교과를 수업하는 교육과정의 비정상적 운영 문제, 선택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과원 교사 문제 등 교육 현장에 많은 논쟁을 야기하였다[5]. 넷째, 시․도교육청에서 편성․운영할 과정별 필수과목의 개설이 지역적 형편에 의해 학생들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 특히, 소규모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선택권 보장이 어려워 도․농간의 교육적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는 소지를 안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4호, 2013. 

  2. 강현석, 주동범, 김창후,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학지사, 2004. 

  3. 홍후조, 교육과정 개설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국가 수준 교육과정 기준의 변화와 질 관리 방안의 개선을 중심으로, 국가교육과정기준개선연구팀, 2002. 

  4. 이대성,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학교 교육과정 편성의 쟁점과 과제: 고등학교 사회과목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pp.69-88, 2011. 

  5. 김희만,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의 실태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6. 송석원, 2009 교육과정 개정 이후의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편성의 쟁점과 과제,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7. R. E. Yager, New trends in scienc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1996. 

  8. 정광희, 조석희, 소경희, 권순한, 김주아, 일반계 고교운영체제 다양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9. 한국일보, 씁쓸한 대박 열풍, 수능 아랍어 벼락치기, 한국일보 2012.11.2.일자. 

  10. 유태공, 고등학교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 연구: 학생의 경험과 인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1.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 2000 연구 개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체제 구조안, 1996. 

  12. 허희옥, 미래학교 지원을 위한 교수학습활동 개발 시리즈 I: 21세기 학습자 및 교수자 역량 모델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13. 김혜숙, 박현정, 서정희, 교육에서의 ICT 효과 분석: PISA 2006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8. 

  14. 송인섭, "학습자 중심의 21세기 패러다임: 방법과 전망", 교육심리연구, 제22권, 제4호, pp.881-896, 2008. 

  15. OECD, Information technology outlook, Paris: OECD, 2006. 

  16. 정광훈, 2012년도 온라인수업 운영 가이드라인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2. 

  17. 정영식, 박종필, 정순원, "초중등교육에서의 온라인 수업 도입을 위한 국내외 제도 분석", 2012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하계 학술발표논문지, 제17권, 제1호, pp.109-115, 2012. 

  18. http://www.cyber.hs.kr 

  19. 강원도교육청, 강원도 고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2012. 

  20. 충청남도교육연구정보원, 2012년도 꿈빛나래학교 운영 계획(안), 2012. 

  21. 정영식, 안성훈, "사이버교육을 통한 희소선택과목 콘텐츠 개발 및 운영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6호, pp.444-455,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