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능력향상에 적용된 작업치료 중재에 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about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Applied to the Improvement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Dementia Patients 원문보기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v.2 no.1, 2014년, pp.35 - 45  

곽성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작업치료학과) ,  나현준 (왈레스기념 침례병원 작업치료실) ,  강신욱 (경북전문대학교 작업치료과) ,  남주현 (경주 청하요양병원 작업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nalyzes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s to improv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in dementia patients and the instruments used to verify their effects through a systematic review and attempts to use the results as preliminary data in selecting further interventions and in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치매 환자에게 적용된 일상생활활동 향상에 적용된 작업치료 중재 대한 기술과 사용된 도구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향상을 목표로 한 작업치료 중재에 대한 효과와 사용된 도구를 알아본 것에 의미를 부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국내 학회지만을 대상으로 하여 국·내외 전체적인 동향을 파악하지 못했다.
  • 본 연구는 치매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향상에 적용된 작업치료 중재와 사용된 도구를 확인하여 임상에서의 치매환자 중재법의 계획 및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Son et al.은 4명의 경증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전산화 인지프로그램 중 주의집중력 프로그램을 적용한 집중력 훈련이 기억력과 일상생활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20). 레하컴(Rehacom)은 치매, 뇌출혈, 뇌종양, 중풍, 사고로 인한 뇌의 손상 등 뇌의 기질적 병변 발생 후 생긴 뇌에 기능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 Ro et al.은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스노즐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일상생활활동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21). 스노즐렌은 다감각자극으로도 불리며, 시각, 청각, 촉각, 전정감각, 고유수용성감각, 후각, 미각 등 다양한 감각을 경험할 수 있도록 대상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환경적 접근법이다(Pagliano, 1999).
  • . 이 연구에서는 보드게임을 통해 획득하는 문제해결력과 전략의 사용과 계획, 의사소통이 향상을 가져온다는 연구를 근거로 하였다18․19). 보드게임을 이용한 작업치료 중재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Allen Cognitive Level Screen(ACLS)과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FIM)의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중재 효과는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은 아니지만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무엇보다 치매 중재가 일상생활활동으로 이어지는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치매환자의 일상생활 활동 능력향상에 적용된 작업치료 중재효과와 사용된 도구에 대해 정리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작업치료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작업치료사는 병원과 요양시설, 권역치매 센터, 지역치매 센터와 같은 다양한 장소에서 치매 환자의 재활치료를 담당하고 있다. 치매 작업치료의 목표는 치매로 인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한 클라이언트의 “그 인간다움”을 회복하고, 자립을 위한 모든 형태의 지원에 있다9).
잔존능력의 향상과 기능을 유지하며 가능한 독립적인 삶을 위한 비 약물적 중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치매 치료에 일반적으로 쓰이는 약물치료는 아직 일시적인 효과가 있을 뿐 완치를 기대할 수 없다5). 따라서 잔존능력의 향상과 기능을 유지하며 가능한 독립적인 삶을 위한 비 약물적 중재가 필요하다6).
치매란 무엇인가? 치매는 원인에 따라 알쯔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혈관성 치매(vascular dementia)와 알코올성 치매 등 80여 가지의 원인들로 나누어진다3). 치매는 뇌 기능 부전에 의해 기억과 인식 그리고 성품의 변화와 다른 신체기능에서의 장애를 초래하는 뇌의 비가역적 퇴행이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4). 치매로 인해 인지기능의 저하, 배회, 우울의 문제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과제들을 수행하는데 제한을 가져온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1). Senior Survey. www.mw.go.kr.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2). The prevalence of dementia research. www.mw.go.kr. 

  3. Kim, YS. A Study on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Improvement of Cognitive Function of the Dementia Elderly Patients.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1999;19(3);167-179. 

  4. Padilla, R.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for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ementias.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11;65(5);487-9. 

  5. Grasel E, Wiltfag J, Kornhuber J. Non-drug therapies for dementia: An overview of the current situation with regard to proof of effectiveness.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2003;15;115-125. 

  6. Pulsford, D. Therapeutic activities for people with dementia: What, why... and why no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7;26;704-709. 

  7. Park, KY.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Individuals with Dementia: A Qualitative Meta-analysis.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2009;3(2);22-32.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2012). Local Health Act Enforcement Rules. www.mw.go.kr. 

  9. Lee KM, Kim YH, Nam HC. Senior jobs Therapeutics. Seoul: YoungMoon Publisher, 2006. 

  10. Dooley NR, Hinojosa J.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their family caregivers: Brie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04; 58(5); 561-569. 

  11. Ashworth JB, Reuden DB, Benton LA. Functionnal profiles of healthy older persons. Age and Ageing, 1994;23(1); 34-39. 

  12. Davis LA, Hoppes S, Thompson D.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assessment of people with dementia: A pilot study.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03;57(4); 396-402. 

  13. Nygard L, Bernspang B, Fisher A, Winblad B. Comparing Motor and process ability of Persons With suspected dementia in home and clinic setting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995;48; 689-696. 

  14. Dooley NR, Hinojosa J.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their family caregivers: Brief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 Official Publication of the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04;58(5); 561-56. 

  15. Park SH, Yang YA. A Systematic Review about Intervention of Dementia Patient of Cognitio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2011;5(2);9-15. 

  16. Park SH, Yoo JY, Park SJ, et al. A Systematic Review about Evaluating Screening Instruments of Dementia Patient of Cognitive.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2009;3(2);73-82. 

  17. Paik YR. The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y Program using a Board Games for the Cogni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in Mild Dementia Case.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and Dementia, 2012;6(1);27-39. 

  18. Olive G. Mathematics. New York: The Macmillan, 1973. 

  19. Krulik S.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 A Hanbook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oston, 2001. 

  20. Son JH, Park SY, Kim JK. Enhancing Activity Daily Living and Memory of Older Adults with Mild Dementia Through a Graded Attention Training.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for The Aged nad Demantia, 2013;7(1);1-14. 

  21. Ro HL, Hwang KC, Kam JA. Effects of Intentional Snoezelen Progra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Cognitive Functions of the Demented Elderl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1;50(3);393-394. 

  22. Lee NL, Kim SK. The Effect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on Memory training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Society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2013;2(1);5-20. 

  23. Lee SA, Kim HJ. The Compare of Effects of a Day-to-Day Living Program for Patients with Dementia in the Community-Pilot Study.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3;33(3);367-646. 

  24. Jung WM, Lee DY, Yoo SH, et al. Focused effects of a Group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 Focused Occupational Therapy Intervention Process Model.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arpy, 2008;16(4);1-17. 

  25. Kim CM, Kim JH. The Effect of the Dementia Elderly Persons on the Cognitive Function, ADL and Balance-Performing Ability the Group Therapeutic Exercise Progr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arpy, 2012;19(4);27-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