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매 단계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차이 비교
Comparison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Differences with Dementia Stag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12, 2017년, pp.557 - 563  

장종식 (극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와 시설에 거주중인 치매환자들의 단계에 따라 기본적 일상생활수행,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을 파악하여 임상현장에 근거를 제시하고 치매환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전국에 소재한 요양원, 주간보호센터, 지역사회, 보건소, 요양병원, 요양원, 광역치매지원센터 등 15개의 기관에서 실시하였으며, 2015년 10월 1일 ~ 2015년 11월 20일까지 지역사회거주 치매환자 100명, 시설거주 치매환자 100명을 평가하였다. 모든 자료는 연구자와 평가방법에 대해 충분한 교육을 받은 평가자들이 ADCS-ADL, S-IADL, S-ADL, MMSE-K를 직접 평가하였다. 치매환자의 단계별 일상생활수행수준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사후검정과 시각적 그래프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거주형태와 치매단계에 따른 분석은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지역사회거주 치매환자와 시설거주 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수준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과 기본적 일상생활수행의 모든 항목이 중등도 치매단계에서 차이를 보였으며(p<.01), 사후검정결과 최경도, 경도와 중등도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치매거주 형태별로 일상생활수행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모든 단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향후 진행되는 치매연구에서는 효과의 지표로써 일상생활수행평가의 적용 시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보다는 수단적 일상생활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obtain information about the ADL and I-ADL functions of people with dementia living in the community and nursing care facilities regarding their dementia stages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occupational therapists working in dementia care centers. The information was collected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치매 환자들의 이러한 일상생활수행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치매환자의 적절한 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으나 국내 이러한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와 시설에 거주중인 치매환자들의 단계에 따라 기본적 일상생활수행,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을 파악하여 임상현장에 일상생활 중재의 필요성과 관련한 근거를 제시하고 치매환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본적 일상생활수행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은 각각 무엇인가? 일상생활수행이란 기본적 일상생활수행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으로 분류되는데 기본적 일상생활수행은 대소변 조절, 화장실 사용, 개인위생, 식사하기, 옷 입기 등과 같은 신체적 기능이 중심이 된 활동을 의미하고[6],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은 전화사용, 음식 장만, 물건 구입,가정 돌보기, 돈 관리 및 재정 관리, 약 복용 등 복잡한 기능을 포함한다[7-8]. 치매환자의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은 문화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후기까지도 대체로 유지되는 반면에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은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술들로 구성되어 초기부터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9].
일상생활수행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일상생활수행이란 기본적 일상생활수행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으로 분류되는데 기본적 일상생활수행은 대소변 조절, 화장실 사용, 개인위생, 식사하기, 옷 입기 등과 같은 신체적 기능이 중심이 된 활동을 의미하고[6],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은 전화사용, 음식 장만, 물건 구입,가정 돌보기, 돈 관리 및 재정 관리, 약 복용 등 복잡한 기능을 포함한다[7-8]. 치매환자의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은 문화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후기까지도 대체로 유지되는 반면에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은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술들로 구성되어 초기부터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9].
치매환자에게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평가가 독립성을 측정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일상생활수행이란 기본적 일상생활수행과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으로 분류되는데 기본적 일상생활수행은 대소변 조절, 화장실 사용, 개인위생, 식사하기, 옷 입기 등과 같은 신체적 기능이 중심이 된 활동을 의미하고[6],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은 전화사용, 음식 장만, 물건 구입,가정 돌보기, 돈 관리 및 재정 관리, 약 복용 등 복잡한 기능을 포함한다[7-8]. 치매환자의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은 문화적인 영향을 받지 않고 후기까지도 대체로 유지되는 반면에 수단적 일상생활수행은 사회생활에 필요한 기술들로 구성되어 초기부터 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9]. 치매환자에게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평가는 독립성을 측정하게 되어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중요한지표로 사용된다[1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Statistics Korea. Present condition with view of the world and korea. Seoul, South of Korea: Statistics Korea, 2015. 

  2.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2012 dementia prevalence rate Survey. Seoul, South of Korea: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2012.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omprehensive plan of nation dementia management.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4. S. G. Min, Phychiatry. Seoul, South of Korea: ilchokak, 2015. 

  5. R. A. Hansen, G. Gartlehner, K. N. Lohr, D. Kaufer, "Functional outcomes of drug treatment in alzheimer's diseas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Drugs & Aging, vol. 24, no. 2, pp. 155-67, 2007. DOI: https://doi.org/10.2165/00002512-200724020-00007 

  6. F. I. Mahoney, D. W. Barthel, "Functional evaluation: The barthel index", Maryland State Medical Journal, vol. 14, pp. 61-65, 1965. DOI: https://doi.org/10.1037/t02366-000 

  7. A. K. Desai, G. T. Grossberg, D. N. Sheth,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dementia: clinical relevance, methods of assessment and effects of treatment", CNS Drugs, vol. 18, no. 13, pp. 853-875, 2004. DOI: https://doi.org/10.2165/00023210-200418130-00003 

  8. D. A. Gold, "Anexamination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sessment in older adults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Neuropsychology, vol. 34, no. 1, pp. 11-34, 2012. DOI: https://doi.org/10.1080/13803395.2011.614598 

  9. H. H. Dodge, T. Kadowaki, T. Hayakawa, M. Yamakawa, A. Sekikawa, H. Ueshima, "Cognitive impairment as a strong predictor of incident disability in specific ADL-IADL tasks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s: The azuchi study", The Gerontologist, vol. 45, no. 2, pp. 222-230, 2005. DOI: https://doi.org/10.1093/geront/45.2.222 

  10. J. D. Lepeleirea, B. Aertgeertsa, I. Umbacha, P. Pattyna, F. Tamsina, L. Nestora, F. Krekelbergha, "The diagnostic value of IADL evaluation in the detection of dementia in general practice", Aging & Mental Health, vol. 8, no. 1, pp. 52-57, 2004. DOI: https://doi.org/10.1080/13607860310001613338 

  11. E. H. Rubin, J. C. Morris, E. A. Grant, T. Vendegna, "Very mild senile dementia of the Alzheimer type I", Clinical assessment. Archives of Neurology, vol. 46, no. 4, pp. 379-382, 1989. DOI: https://doi.org/10.1001/archneur.1989.00520400033016 

  12. P. Barberger-Gateau, C. Fabrigoule, I. Rouch, L. Letenneur, J. F, Dartigues, "Neuropsychological correlates of self-reported performance i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prediction of dementia", Journal of Gerontology Psychological Sciences & Social Sciences, vol. 54, no. 5, pp. 293-303, 1999. DOI: https://doi.org/10.1093/geronb/54B.5.P293 

  13. M. Schmitter-Edgecombe, E. Woo, D. R. Greeley, "Characterizing multiple memory deficits and their relation to everyday functioning in individual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psychology, vol. 23, no. 2, pp. 168-177. 2009. DOI: https://doi.org/10.1037/a0014186 

  14. S. H. Kim, H. R. Yang, Y. J. Choi, H. J. Kang, K. G. Choi, J. H. Jeong, "Predictive factors for declin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Alzheimer's disease dementia with more than 2 follow-up", Dementia and Neurocognitive Disordoers, vol. 12, no. 4, pp. 100-106, 2013. DOI: https://doi.org/10.12779/dnd.2013.12.4.100 

  15. K. B. Kim, H. K. Lee, S. R. Sok,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rsing needs of the elderly in nursing h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ol. 20, no. 1, pp. 1-11, 2009. DOI: https://doi.org/10.4040/jkan.2009.39.1.1 

  16. D. Galasko, D. Bennet, M. Sano, C. Ernesto, R. Thomas, M. Grundman, S. Ferris, "An inventory to assess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clinical trials in alzheimer's disease", Alzheimer Disease and Associated Disorder, vol. 11, no. 2, pp. 33-39, 1997. DOI: https://doi.org/10.1097/00002093-199700112-00005 

  17. H. H. Hong, M. O. Gu, "Feeding difficult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of elder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vol. 16, no. 2, pp. 1240-1252, 2015. 

  18. H. M. Ku, J. H. Kim, H. S. Lee, H. J. Ko, E. J. Kwon, S. Jo, D. Y. Kim,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oul-Activities of Daily living(S-ADL)", Journal of Korean Geriatrics Society, vol. 8, no. 4, pp. 206-214, 2004. 

  19. T. H. Kim, J. H. Jhoo, J. H. Park, J. L. Kim, S. W. Moon, I. H. Choo, D. W. Lee, J. C. Yoon, Y. J. Do, S. B. Lee, M. D. Kim, K. W. Kim, "Korean version of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and it's short form", Journal of Phychiatry investigation, vol. 7, no. 2, pp. 102-108, 2010. 

  20. U. J. Park, "Trends analysis of characteristics in patient with dementia",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vol. 18, no. 1, pp. 202-209,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