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2주간의 슬링운동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자의 근체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12Weeks Sling Exercise on the Change of Muscular Body Type in Patients wit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3, 2014년, pp.317 - 323  

백순기 (중원대학교 스포츠건강의학과) ,  이종복 (부천대학교 재활스포츠과) ,  정해천 (공주대학교 체육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슬링운동이 근골격계질환자들의 근체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D광역시 H산업체 근로자 2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10명)과 대조군(10명)으로 나누어, 12주간 실험군에게 슬링운동 적용 전 후의 근체형을 비교분석하였다. 통계프로그램은 SPSS 18.0 을 이용하였고, 12주간 슬링운동 전 후의 집단 간 비교는 대응 t-test를 이용하였다. 12주간 슬링운동을 실시한 결과, 실험군(10명)의 흉부, 요부 및 배부에서 모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대조군(10명)에서는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12주간의 슬링운동이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자들의 근체형 변화에 도움을 주는 의미 있는 운동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has a purpose of providing base data to prevent musculoskeletal disorders, by analyzing the changes in muscle body due to sling exercises, of the industrial laborers wit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20 volunteers who applied for musculosk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슬링운동이 근골격계질환자들의 근체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12주간 슬링운동 전․후의 근체형을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 본 연구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이 있는 산업체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슬링운동에 따른 근체형의 변화[Fig. 1] 를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12주간의 슬링운동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 이 연구는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이 있는 산업체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슬링운동에 따른 근체형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서 근골격계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이 연구는 직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이 있는 산업체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12주간 슬링운동 전․후에 따른 근체형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논의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MI 25 이상인 남성 비율 추세는? 우리나라 국민건강통계 조사에 의하면 BMI 25 이상인 남성이 1998년 25.1%, 2001년 31.8%, 2010년 36.3%로 증가하고 있으며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율은 남자의 경우 2005년 33.3%에서 2010년 25.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이란? 특히, 반복 작업에 종사하는 작업자의 수가 늘어나면서 작업과 관련하여 누적외상성질환(Cumulative Traumatic Disorder, CTD)이나,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등으로 불리우는 새로운 질환이 증가되었다. 작업 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은 특정 신체 부위 및 근육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하여 신체 내부에 미세한 손상이 발생하여 신체에 나타나는 만성적인 건강장해를 말한다[4].
슬링 운동으로 통증을 지속적으로 경감시키는 것 외에 얻는 효과는? 또한, 슬링운동을 실시하는 동안 불안정한 지면을 제공하게 되면 신경근 전달계(neuron muscular system)를 자극하여 근육의 동시수축은 배로 증가하게 되고 감각운동훈련(sensory-motor training)도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통증으로 인해 억제된 근육들의 동적, 정적 수축 및 재활성화 시키는 효과도 있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tatistics Korea(2010). Obesity and Exercise Regular moderate rate. Statistics Korea. 

  2. Gyeong Hui Yun(2000). Study on the Health Promotion Needs in Company Employee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3. Myeon Ja Wang, Sun Ja Jo, Yoo Hyang Jo, In Hyae Park, Jung Uen Go(2012). Community health nursing, Hyeonmunsa. 

  4. Yo Chang Kim, Chang Ho Bae(2006).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Job Stress in Heavy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1(4), 108-113. 

  5. Ministry of Labor(2011). Status of industrial disasters. 2011. 

  6.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NIOSH). (1997).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e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neck, uper, extremity, and low back, NIOSH publ. No, 97-141. 

  7. Bahk JW, Roh S. Relationship Between Self-reported Symptom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Korean J Occup Environ Med 2007;19(2)156-163(Korean). 

  8. Kirkesola, G. (2001). Sling exercise therapy(S-E-T):a toalconcept for exercise and active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J Korean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7(1), 87-106. 

  9. Vikne, J., Oedegaard, A., Laerum, E., Ihlebaek, C. ,Kirkesola, G. (2007). A rand omized study ofnew sling exercise treatment vs traditional physioth erapy for patients with chronic whiplash-associated disorders with unsettled compensation claims. J Rehabil Med, 39(3), 252-259. 

  10. Chung Hyeon Oh(2010). The effect of the sling exercise on the change of muscular body typ in bowling player. Hany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11. Bin Sul Moung(2013), Sling exercise in patients with rotator cuff repair muscle thickness and function and range of motion to promote the effect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12. Dong Rour Lee, Jong Soon Kim, Min Young Song(2009). The Changes of The Shoulder Function and Quantitative Radiographic Measurements in Hemiplegic Patients by Sling Exerc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13. Seon hyeon Gim(2010). Effect of Sling Exercise Program on the Body of Junior High School Girls with Idiopathic Scoliosis. Hansh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14. Hae Jin Park(2012). How Sling-Exercise Affects Flexibility, Balancing ability, Body type and Pain with Patients with Chronic Lumbar Pain.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15. Verhagen, E.,Van Der, Beek, A., Twisk,, J., Bouter, L., Bahr, R., Van Mechelen, W. (2004). The Effect of a Proprioceptive Balance Boar Training Program for the Prevention of Ankle Sprains: A Prospective Controlled Trial.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32(6), 1385-1393. 

  16. www.grmt.com : Product introduction of Green Moire Tech. 

  17. Kirkesola, B. S. (2001). A concept for exercise and active treatment of musculoskeletal disordars. Set article. Norway. 

  18. Ga Young Jeong(2012). A Study of the Effects of the Back Care through Stone Therapy on College Women's Muscle & Body Shape Changes. Kwangju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19. Ui Min Jeong(2011). Effect of 12 Weeks' Waist Strengthen Combined Exercise Program in balanced ability and pelvic tilt of the elderly women. Suw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Master's Thesis. 

  20. Chan Hoi Kim, Chung Hyun Oh, Pyung Won Lee(2011). The effect of the sling exercise on the change of muscular body type in bowling player,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Korea, 20(2), 751-762. 

  21. Bu Young Choe, Seung Hui Seo, Mi Ok Choe(2009). The Study for Muscular Body Type Change after Back Meridian Massage of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Journal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5(4), 1214-12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