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동진동을 융합한 슬링운동이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ssive Vibration Convergence Sling Exercise on the Balance and Gait of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 2020년, pp.57 - 63  

장현진 (우암병원) ,  박치복 (전남과학대학교 물리치료과) ,  김병근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동진동을 융합한 슬링운동이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1회 35분 주3회 6준간 실시하였다. 슬링운동 실험군과 대조군 각각 8명으로 나누었다. 균형과 보행을 측정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중재 후 군간 비교에서 눈 뜨고 서기와 눈 감고 서기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중재 전후 눈 뜨고 서기, 눈 감고 서기, 안정성 한계, 보행 속도에서 군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진동슬링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 많은 대상자와 다양한 주파수, 효과적인 운동기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ling exercise convergence with passive vibration on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One time 35 minutes three times a week for six weeks. The sling exercis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divided into eight members. Bal...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진동을 이용한 슬링운동이 근골격계 환자에게는 적용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 졌지만, 뇌졸중환자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동진동을 결합한 슬링운동이 뇌졸중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 보행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보행속도를 측정하였다. 보행속도에서 집단 간 변화를 알아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시기 간 차이값을 알아본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슬링을 기반한 운동 프로그램의 특성은 무엇인가? 최근 운동 프로그램에서 슬링을 기반으로 하는 운동이 생겨나고 있는 추세이다[8,9]. 슬링운동은 흔들리는 줄과 보조도구들을 이용하여 중력을 최소화시켜 열린사슬 운동이나 닫힌사슬 운동을 구현하므로 수동적 또는 능동적인 운동을 통해 신체적 장애를 개선하고 기능 향상을 얻어내고자 하는 치료 접근 방법이다[10,11].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이란 뇌혈관의 출혈 또는 허혈로 뇌 기능이 저하되고, 신경계 기능장애로 운동조절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질환이다[1]. 뇌졸중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편마비로, 몸의 한쪽 측면 근육의 힘이 부분 또는 전체 손실되는 운동장애가 발생한다[2].
편마비의 특징은 무엇인가? 뇌졸중이란 뇌혈관의 출혈 또는 허혈로 뇌 기능이 저하되고, 신경계 기능장애로 운동조절에 어려움이 발생하는 질환이다[1]. 뇌졸중의 가장 흔한 합병증은 편마비로, 몸의 한쪽 측면 근육의 힘이 부분 또는 전체 손실되는 운동장애가 발생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R. Dickstein, S. Shefi, E. Marcovitz & Y. Villa. (200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oluntarily activated trunk flexor and extensor muscles in post-stroke hemiparetic subjects. Clinical Neurophysiology, 115(4), 790-796. DOI : 10.1016/j.clinph.2003.11.018 

  2. Z. Najafi, F. Rezaeitalab, M. Yaghubi & Z. S. Manzari. (2018). The effect of biofeedback on the motor - muscular situation in rehabilitation of stroke patients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Caring Sciences, 7(2), 89-93. DOI : 10.15171/jcs.2018.014 

  3. Y. S. Oh & Y. K. Woo. (2016). The Effects of Backward Walking Training With Inclined Treadmill on the Gait in Chronic Stroke Patients. Korean Research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3(3), 1-10. DOI : 10.12674/ptk.2016.23.3.001 

  4. S. M. Son. (2014). Effects of Constrained-Weight Shifting Train on Postural Balance and Gait Parameter and Muscle Activation of Patients with Hemiplegia in Standing Posture. 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Gyeongbuk. 

  5. W. Choi, G. Lee & S. Lee. (2017). Effect of the cognitive-motor dual-task using auditory cue on balance of surviviors with chronic stroke: A pilot study. Clinical Rehabilitation, 29(8), 763-770. DOI : 10.1177/0269215514556093 

  6. R. Cabanas-Valdes, C. Bagur-Calafat, M. Girabent-Farres, F. M. Caballero-Gomez, M. Hernandez-Valino & G. Urrutia Cuchi. (2016). The effect of additional core stability exercises on improving dynamic sitting balance and trunk control for subacute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Clinical Rehabilitation, 30(10), 1024-1033. DOI : 10.1177/0269215515609414 

  7. M. Y. Eom, S. H. Chung & T. S. Ko. (2013). Effects of Bridging Exercise on Different Support Surfaces on the Transverse Abdomini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5(10), 1343-1346. DOI : 10.1589/jpts.25.1343 

  8. S. Maeo, T. Chou, M. Yamamoto & H. Kanehisa. (2014). Muscular activities during sling and ground-based push-up exercise. BMC Research Notes, 7(1), 1-7. DOI : 10.1186/1756-0500-7-192. 

  9. C. P. Moldovan, M. E. Marinone & A. Staack. (2015). Transvaginal retropubic sling systems: Efficacy and patient accept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Women's Health, 7, 227-237. DOI : 10.2147/IJWH.S59265 

  10. E. M. Noh & J. Y. Ko. (2012). The Effects of Sling Exercise on Gross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Motor Development Dis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Medicine & Therapy Science 4(1), 32-35. 

  11. M. H. Park, J. H. Yu, J. H. Hong, J. S. Kim, S. W. Jung & D. Y. Lee. (2016). Effect of core muscle thickness and static or dynamic balance on prone bridge exercise with sling by shoulder joint angle in healthy adul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8(3), 945-950. DOI : 10.1589/jpts.28.945 

  12. J. S. Oh, J. S. Park, S. Y. Kim & O. Y. Kwon. (2003).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During a Push -Up on a Suspension Sling and a Fixed Support.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y, 10(3), 29-40. 

  13. S. J. Park. (2010). The Effects of Trunk and Pelvic Stabilization Exercise Using a Sling on Functional Improvement in Chronic Stroke Patient. Master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Gyeonggido. 

  14. A. J. Gwon. (2017). The Effects of Vibration and Side-lying Hip Abduction on Pain, Disability, Strength and Balance in Individuals with Low Back Pain. Master dissertation. Daejeon University, Daejeon. 

  15. J. Rittweger. (2010). Vibration as an exercise modality: How it may work, and what its potential might be.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8(5), 877-904. DOI : 10.1007/s00421-009-1303-3 

  16. D. J. Cochrane, K. W. Coley, H. J. Pritchard & M. J. Barnes. (2015). Vibration exercise as a warm-up modality for deadlift power outut. Journal of Strength and Conditioning, 29(4), 1033-1039. DOI : 10.1519/JSC.0000000000000738 

  17. D. J. Cochrane, M. J. Black & M. J. Barnes. (2014). Does acute side-alternating vibration exercise enhance ballistic upper-body power?. International Journal of Sports Medicine, 35(12), 1006-1011. DOI : 10.1055/s-0034-1372642 

  18. Y. Choi & H. Kang. (2013). The effects of sling exercise using vibration on trunk muscle activities of healthy adul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5(10), 1291-1294. DOI : 10.1589/jpts.25.1291 

  19. K. J. Hwang. (2018). Effect of sling-based vibration exercise on muscle activity,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Doctoral dissertation. Daegu Catholic University, Gyeongbuk. 

  20. S. Y. Kim. (2012). Sling Exercise Technique. Seoul : Panmuneducation. 

  21. D. H. Seong, S. D. Yoon, S. H. Kim, J. S. Jang, S. H. Lee & G. D. Park. (2017). The Effect of Sling Exercise an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Foot Pressure and Range of Motion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Case Study.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6(5), 1335-1343. 

  22. D. R. Lee, J. S. Kim & M. Y. Song. (2009). The Changes of The Shoulder Function and Quantitative Radiographic Measurements in Hemiplegic Patients by Sling Exercis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4(4), 231-240. 

  23. K. S. Jung & Y. J. Chun. (2012). Effects of the Support Surface Condition on Muscle Activity of Trunk Muscles during Weight Shifting Exercis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4(5), 300-305. 

  24. S. C. Lee, T. H. Kim, H. S. Cynn & J. S. Roh. (2010). The Influence of Unstability of Supporting Surface on Trunk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ies During Bridging Exercise Combined with Core-Stabilization exercise. Korean Academy Of University Trained Physical Therapy, 17(1), 17-25. 

  25. J. M. Song & S. M. Kim. (2010). The Effect of Trunk Stability Exercise on Balance and Gait in Stroke Patients.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5(30), 32-35. 

  26. C. S. Song. (2011). Correlat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and Smart Balance Master System for Chronic Hemiparetic Stroke. Korea Academy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2(12), 5741-5747. DOI : 10.5762/KAIS.2011.12.12.5741 

  27. J. Y. Lee, S. Y. Kim, J. S. Yu, D. G. Kim & E. K. Kang. (2017). Effects of sling exercise on postural sway in post-stroke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9(8), 1368-1371. DOI : 10.1589 /jpts.29.1368 

  28. J. H. Kim. (2013). The Effects of Whole Body Vibration Exercise on Balance and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in Stroke Patient.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25(5), 266-272. 

  29. J. S. Lee & H. G. Lee. (2014). Effects of Sling Exercise Therapy on Trunk Muscle Activation and Balance in Chronic Hemiplegic Patients.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6(5), 655-659. DOI : 10.1589/jpts.26.655 

  30. E. Mikolajewska. (2013). The value of the NDT-Bobath method in post-stroke gait training. Advances in Clinical and Experimental Medicine, 22(2), 261-272. 

  31. H. Y. Hsiao, V. L. Gray, R. A. Creath, S. A. Binder-Macleod & M. W. Rogers. (2017). Control of lateral weight transfer is associated with walking speed in individuals post-stroke. Journal of Biomechanics, 60, 72-78. DOI : 10.1016/j.jbiomech.2017.06.021 

  32. J. H. Park. (2011). Effect of Trunk Stabilization Exercises Using Sling on Balance and Gait in Patients with Hemiplegia. Master dissertation. Daegu University, Gyeongbuk. 

  33. S. Shin, T. Kim & W. Yoo. (2013). Effects of Various Gait Speeds on the Latissimus Dorsi and Gluteus Maximus Muscles Associated with the Posterior Oblique Sling System. Journal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5(11), 1391-1392. DOI : 10.1589/jpts.25.1391 

  34. N. G. Kang. (2019). The Effect of Sling Exercise on Gluteus Muscle Strength and Gait Velocity with History of Chronic Low Back Pain. Master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Gyeongnam.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