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비계획적 발관 예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적용효과
Study on an Unplanned Extubation Prevention Program (UEPP) for Intubated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3, 2014년, pp.331 - 338  

강경자 (제주대학교 간호학과) ,  유미 (남서울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내과계 중환자실에 입원한 기관삽관 환자의 비계획적 발관 예방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비계획적 발관율을 감소시키고 간호사들이 실무에서 비계획적 발관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기간은 사전기간이 2008년 5월부터 2009년 4월이었고, 프로그램 적용기간은 2009년 5월부터 2010년 4월로 각각 1년씩이었다. 기간 내 조사 대상 총 삽관환자는 사전시기와 중재 시기에 각각 330명, 332명이었으며, 이들 중 비계획적 발관을 경험한 사전 29사례와 적용기간 23사례에 대해 발관경험 환자와 담당간호사의 발관 관련 제 특성을 추가적으로 살펴보았다. 통계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였다. 비계획적 발관을 경험한 환자와 간호사의 제 특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없었으나 두 시기에 신규 간호사의 진입비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39). 기관내관 삽입 1000일당 비계획적 발관율은 신규 간호사 진입이 많았음에도 적용 기간의 평균이 8.8을 보여 사전 관찰시기의 평균 발관율 12.3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t=-2.333, p=.040)하였으므로 본 연구의 결과는 중환자실 삽관환자의 비계획적 발관예방 활동을 통해 환자 안전에 기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planned extubation prevention program (UEPP)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intubated patients hospitalized in a medical intensive care unit (ICU). The number of unplanned extubation was 29 during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23 cases during the prevention intervention program. The general fe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program for ICU staff includes the importance of monitoring [8, 10], analysis of factors that influence UE [18], and practice hours on a restraint usage education program [14]. The change in the UE rate from the implementation of prevention program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UE rate was investigated during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period from May 1, 2008 to April 30, 2009 and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vention program from May 1, 2009 to April 30, 2010 with the intubated patients hospitalized in an ICU in the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of a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K Province, Korea.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 previous UE prevention program, and to develop and apply a new program to intubated patients hospitalized in ICU. Through the experience of applying the program to the actual ICU site, the features of the patients and nurses before and after UE were analyzed, and the effect of the prevention program on the UE rate was investigated.
  • Therefore, in this study, we analyzed various UE-causing factors and developed and discussed an integrated UE prevention program for ICU nurses by investigating the environmental features of the ICU including the patients, and verified the applicability of the prevention program in an actual ICU, in order to help ICU nurses to carry out their nursing work.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O. D. Listello, C. N. Seessler, Unplanned extubation: Clinical predictors for reintubation. Chest, Vol. 105, No. 5, pp. 1496-1503. 1994. 

  2. M. J. Grap, C. Glass, M. O. Lindamonnd, Factors related to unplanned extubation of endotracheal tubes. Critical Care Nurse, Vol. 15, No. 2, pp. 57-65. 1995. 

  3. S. H. Yeh, L. N. Lee, T. H. Ho, M. C. Chiang, L. W. Lin, Implications of nursing care in the occurrence and consequences of unplanned extubation in adult intensive care unit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Vol. 41, No. 3, pp. 255-262, 2004. 

  4. D. P. Coppolo, J. J. May, Self-extubation: A 12-month experience. Chest, Vol. 98, No. 1, pp. 165-169, 1990. 

  5. J. J. Lee, K. M. Lee, Y. B. Lee, B. M. In, D. J. Um, R. Chol, Unplanned extubation and factors affecting reintubation in ICU patients.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Vol. 11, No. 2, pp. 179-183, 1996. 

  6. B. N. Koo, S. O. Koh, T. D. Kwon, Predictors for reintubations after unplanned endotracheal extubation in multidisciplinary intensive care unit. Korean Journal of Critical Care Medicine, Vol. 18, No. 1, pp. 20-25, 2003. 

  7. J. S. Krinsley, J. E. Barone, The drive to survive: Unplanned extubation in the ICU. Chest, Vol. 128, No. 2, pp. 560-566, 2005. 

  8. U. Beckmann, D. M. Gillies, Factors associated with reintubation in intensive care; An analysis of causes and outcomes. Chest, Vol. 12, No. 2, pp. 538-542, 2001. 

  9. Y. K. Choi, K. S. Kim,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 of unplanned endoracheal extubation in ICUs. Quality Improvement in Health Care, Vol. 9, No. 1, pp. 74-89, 2002. 

  10. K. M. Birkett, K. A. Southerland, G. D. Leslie, Reporting unplanned extubation.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Vol. 21, No. 2, pp. 65-75, 2005. 

  11. J. S. Kim, The management of unplanned extubation prevention for intubated patients.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6, pp.1-8. 2005. 

  12. E. H. Choi, H. J. Kim, M. H. Park, J. Y. Lee, The comparision of the unplanned extubation according to the method for fixing the endotracheal Tube. Journal of Korea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2, No. 2, pp. 7-16, 2006. 

  13. J. S. Kim, E. S. Lee, J. H. Park, Effects on unplanned extubation, oral mucosa, and facial skin integrity of new method to secure endotracheal tube. Journal of Korea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 15, No. 3, pp. 49-59, 2009. 

  14. J. M. Yeo, M. H. Pak, Effects of on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on the UE of restrai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6, No. 3, pp. 532-541, 2006. 

  15. Y. H. Kim, Y. S. Jeong, J. H. Park, S. H. Yoon, The effects of nurse education on physical restraint use in the ICU.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Vol. 55, No. 5, pp. 590-595, 2008. 

  16. K. J. Song, E. O. Kwon, E. J. Jeong, H. J. Shin, O. H. Park, E. H. Shin, The effect on unplanned extubation preven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 4, pp. 23-32, 2003. 

  17. A. L. Richmond, D. L. Jarog, V. M. Hanson, Unplanned extubation in adult critical care. Critical Care Nurse, Vol. 24, No. 1, pp. 32-37, 2004 

  18. A. R. Huizing, J. P. Hamers, M. J. Gulpers, M. P. Berger, Short-term effects of an educational intervention on physical restraint use: A cluster randomized trial. BMC Geriatrics, Vol. 6, pp. 17. 2006. 

  19. P. Kiekkas, D. Aretha, E. Panteil, G. I. Baltopoulos, K. S. Filos, Unplanned extubation in critically ill adults: Clinical review. Nursing in Critical Care, Vol. 18, No. 3, pp. 123-134, 2013. 

  20. P. S. da Silva, M. C. Fonseca, Unplanned endotracheal extubations in the intensive care unit: Systematic review, critical appraisal, and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Anesthesia and Analgesia, Vol. 114, No. 5, pp. 1003-1014, 2012. 

  21. L. A. Despins, Patient safety and collaboration of the intensive care unit team. Critical Care Nurse, Vol. 29, No. 2, pp. 85-92,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