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고에 대한 경험
Experiences of Patient Safety Accidents in General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2, 2019년, pp.139 - 147  

이미준 (강북삼성병원 헬스케어팀) ,  강희경 (제주한라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에서 환자의 안전사고에 대한 간호사의 경험을 확인하고 이해하기 위함이다.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병원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안전사고를 경험한 7명의 간호사가 일상생활에서 겪는 경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환자안전사고의 경험은 7가지 필수 주제와 24가지 속성으로 도출되었다. 7가지 필수 주제는 "예상하지 못한 경험을 하게 됨", "소홀하게 생각해 놓침", "당면하는 불안감", "홀로 감당해야 하는 어려움", "직장을 떠나게 됨", "분쟁에 휘말리게 됨", "성숙한 간호사가 되어감"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병원에서 환자의 안전사고에 대한 정책 수립에 기여할 것이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환자안전사고 예방에 실질적 개선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understand nurses' experience on patient safety accidents in general hospital.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daily life of seven nurses who had experienced nursing safety accidents directly or indirectly in general hospitals. The nurses' expe...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간호인력 수급에 대한 문제가 한층 더 심각해지고 있는 현 의료환경 하에서 안전사고의 확산과 이에 따른 간호사 이직률 간의 연결 고리를 찾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환자안전사고에 대해 간호사가 겪는 생생하고 현실적인 경험을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안전사고를 통해 간호사가 겪는 심리적 상황과 경험에 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어느 때보다 더욱 바쁘고 복잡하게 변하는 최근의 의료환경에서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동시에 간호사도 안전한 환경에서 전문가로써의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안전사고 예방책과 대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시각의 변화를 제공할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안전사고를 통해 간호사가 겪는 심리적 상황과 경험에 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어느 때보다 더욱 바쁘고 복잡하게 변하는 최근의 의료환경에서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동시에 간호사도 안전한 환경에서 전문가로써의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안전사고 예방책과 대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시각의 변화를 제공할 것이다. 환자안전사고가 더이상 간호사 개인에 대한 문책으로 다루어질 이슈가 아니라 병원의 구조적 환경에서 그 사고의 원인이 있다는 시각에서 출발하여 이의 해결책을 찾도록 하는데 본 연구가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환자안전사고에 대한 직접ㆍ간접적 경험에 대해 심층면담과 관찰을 시행하여 간호사가 경험한 종합병원내 안전사고의 "범주와 속성 및 의미 있는 진술"을 도출하기위한 질적연구이다.
  •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종합병원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사고의 경험에 대해 심층면담과 관찰을 통해 종합병원내 안전사고의 속성 및 주제를 도출하여 간호사의 환자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 연구기간 동안 연구자는 주된 연구의 도구라는 사실을 지속적으로 상기하였다. 연구자 자신이 연구과정과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연구참여자와 서로 존경과 신뢰관계의 유지와 편견을 배제하고 융화되지 않도록 냉철한 인식을 유지하면서 연구자로서 객관적 확보를 위한 노력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확대되면서 나타난 부작용은 무엇인가? 최근 감염으로 부터 환자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으로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확대되어 환자의 사소한 요구까지 모두 간호사의 업무가 되어 오히려 업무비중은 늘고 더불어 환자안전사고 유발이 증가되는 위험도 확대되었다. 하지만 환자안전사고 발생이 의료환경과 시스템적 문제라는 것이 공론화되지 못한 채 간호사는 과중한업무와 스트레스로 환자 곁을 지키지 못하고 떠날 수밖에 없다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이에 간호사가 임상에서 안심하고 환자간호에 집중할 수 있도록 환자의 안전사고 예방과 사고에서 간호사 당사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환자 안전사고는 무엇이 포함되는가? 최근 환자안전사고는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우리나라도 2016년 7월부터 보건의료서비스의 제공과정에서 환자의 안전에 위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사고를 관리하기 위해 환자안전법을 제정하였다[1]. 환자 안전사고는 병원에서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사고(accidents), 실수(mistakes), 오류(errors), 과오(malpractices), 상해(injuries), 손상(damages) 등을 포함한다[2]. 환자안전사고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는 1991년에 대규모로 시행된 하버드연구(Harvard Medical Practice Study)로 이에 따르면 뉴욕 주(State of New York) 병원에서 1984년 1년간 의료사고로 입원 환자의 약 4.
의료사고발생 환자 중 사망의 상당수의 원인은 무엇으로 짐작되는가? 4%로 사망자 가운데 1만 7천여 명(43.5%)의 경우가 예방이 가능했던 것[9]으로 의료사고 중 상당수는 병원 시스템과 안전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문제로 발생한다는 것이 확인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Patient Safety Law. 2018 [cited 2018 Mar 10]. Available from:http://www.law.go.kr/%EB%B2%95%EB%A0%B9/%ED %99%98%EC%9E%90%EC%95%88%EC%A0%84%EB% B2%95/(13113) 

  2.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0 National Healthcare Quality Report, 2635-2645. 

  3. T. A. Brennan. L. L. Leape. N. M. Laird. L. Hebert. A. R. Localio. A. G. Lawthers. et al. (1991). Incidence of adverse events and negligence in hospitalized patients. Results of the Harvard Medical Practice Study I.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24(6), 370-376. DOI : 10.1056/nejm199102073240604 

  4. E. J. Thomas, D. M. Studdert, H. R. Burstin, E. J. Orav, T. Zeena & E. J. Williams. et al. (2000). Incidence and types of adverse events and negligent care in Utah and Colorado. Medical Care. 38(3), 261-271 

  5. Institute of Medicine. (2000).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6. National Practitioner Data Bank. (2012) Annual Report [Internet]. Rockville: Health Resources and Services Administration. 2014 [cited 2014 Mar 10]. Available from: http://www.npdb.hrsa.gov/AnnualReport. 

  7. Supreme Court of Japan. Japan's Medical Litigation Data [Internet]. Tokyo: Supreme Court of Japan. 2015 [cited 2014 Mar 10]. Available from: http://www.courts.go.jp/english/publications/index.html. 

  8. S. I. Lee. (2012 May 22). Policy Task for Quality of Care and Patient Safety. Proceedings of the 50th Korean Society of Health Policy and Administration Conference. Academy of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3, 41-55. 

  9. J. E. Kim., M. A. Kang., K. E. An & Y. H. Sung. (2007).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3), 69-179. 

  10. T. K. Lee., E. Y. Kim & N. H. Kim. (2014). A Phenomenological Study on Nurses' Experiences of Accidents in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 35-47. 

  11. E. K. Lee., C. H. Jung & H. J. Jeon. (2010). Experiences of Nurses in Medication Error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1(2), 94-105. 

  12. E. K. Yoo. (1993). Qualitative Methodology and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4), 713-725. 

  13. E. K. Yoo. (2005). Ethnographic Research and Ethnographic Research Method. Seoul: Hyunmoonsa. 223-272. 

  14. M. Sandelowski.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N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3), 27-37. 

  15. J. P. Spradley. (2006). Participant Observation. Seoul: Sigmapress. 

  16. E. Petrova. (2010). Nurses' perceptions of medication errors in Malta. Nursing Standard. 24(33), 41-48. DOI : 10.7748/ns2010.04.24.33.41.c7717 

  17. A. B. Schelbred & R. Nord. (2007). Nurses' experiences of drug administration err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0(3), 317-324. DOI : 10.1111/j.1365-2648.2007.04437.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