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도의 자생식물의 근권에서 분리한 원핵 미생물의 다양성 분석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Rhizosphere Microorganisms Isolated from the Soil around the Roots of Three Plants Native to the Dokdo Island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4 no.4 = no.168, 2014년, pp.461 - 466  

김예은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윤혁준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유영현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김현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서영교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김미애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우주리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남윤종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이리나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이경민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송진하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진영주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김종국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서영배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독도에 자생하는 3종의 해안식물 해국(Aster sphathulifolius), 땅채송화(Sedum oryzifolium), 갯까치수영(Lysimachia mauritiana)을 연구 재료로 사용하였다. 각 식물에서 근권세균을 각 9주씩 분리하고, 동정하여 이들 세균의 다양성을 조사하고 근권 토양의 세균 집단 조성을 분석하였다.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계통학적으로 총 4문 19종의 근권세균이 분리, 동정, 확인되었다. 또한 본 실험을 통하여 독도 자생식물 근권 균주의 최적 생육 환경이 확인되었다. S. oryzifolium는 Rhodobacterales목, Micrococcales목, Corynebacteriales목, Flavobacteriales목, Oceanospirillales목, Bacillales목의 세균 균주가 확인되었으며, 자생식물 L. mauritiana에서는 Micrococcales목, Flavobacteriales목, Rhizobiales목, Oceanospirillales목, Rhodobacterales목, Bacillales목의 세균균주가 확인되었다. 자생식물 A. sphathulifolius에서는 Flavobacteriales목, Rhizobiales목, Corynebacteriales목, Micrococcales목, Alteromonadales목 및 Bacillales목의 균주가 분리, 동정,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3종의 자생식물에서 방선균문(Actinobacteria)과 프로테오박테리아문(Proteobacteria)에 속하는 근권세균이 많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plant species, Aster sphathulifolius, Sedum oryzifolium, and Lysimachia mauritiana, native to the Dokdo Islands in South Korea, were examined for rhizosphere microorganisms by using 16S rDNA sequences. Nine species of rhizosphere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from the three native plant spec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미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탄소원, 질소원, 온도, 산소, pH 및 염농도 등이 있다. 그 중에서 본 분리 균주의 생육에 미치는 pH 또는 염류(NaCl)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자생식물 S.
  • 후)그의의를">그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도에 자생하는 해안식물 A. sphathulifolius, L. mauritiana, S. oryzifolium의 근권 세균을 분리하고, 동정하였고 이들 세균의 다양성을 조사하고 근권 토양의 세균 집단 조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도를 구성하는 암석은 무엇인가? 동해 중남부의 울릉군 죽변면으로부터 217 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화산섬인 독도(Dokdo Island)는, 독특한 생태환경을 유지하기 때문에 2000년 9월 5일자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으며[19], 난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전형적인 해양성 기후 지역이며[5, 7, 23], 연평균 기온 12℃를 나타내고, 연중 계속적으로 내리는 비나 눈 때문에 연평균 85%의 습도가 유지되고 있다[1, 11]. 한 덩어리의 화산섬인 독도는 파랑에 의한 해식작용으로 인해 해저산의 해면 위의 부위가 동도와 서도를 포함한 여러 작은 섬들로 구성 되어 있고, 화산암, 안산암 그리고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이 40℃ 이상의 급사면을 갖기 때문에 토양층이 넓게 발달되지 못하고 30 cm 이하의 얕은 토양층을 이루고 있고, 토양의 특성이 건조하고 염분함량이 높은 특징 때문에[5, 7] 육지에서와 같이 많은 종류의 식물군락이 형성되지는 못하였으나 48종의 식물이 자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9, 10, 15, 17, 23].
독도는 무엇인가? 동해 중남부의 울릉군 죽변면으로부터 217 k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화산섬인 독도(Dokdo Island)는, 독특한 생태환경을 유지하기 때문에 2000년 9월 5일자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으며[19], 난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 전형적인 해양성 기후 지역이며[5, 7, 23], 연평균 기온 12℃를 나타내고, 연중 계속적으로 내리는 비나 눈 때문에 연평균 85%의 습도가 유지되고 있다[1, 11]. 한 덩어리의 화산섬인 독도는 파랑에 의한 해식작용으로 인해 해저산의 해면 위의 부위가 동도와 서도를 포함한 여러 작은 섬들로 구성 되어 있고, 화산암, 안산암 그리고 현무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토양발달이 없거나 미약한 독도의 전역에 나타나고 있는 우점종은? 토양발달이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은 암벽에서 주로 해국(Aster sphathulifolius), 갯까치수영(Lysimachia mauritiana), 땅 채송화(Sedum oryzifolium) 등이 우점종으로 출현하고 있다. 이들 종은 토양발달이 없거나 미약한 독도의 전역에 나타나는 전형적인 군락으로 바위가 노출되어 있는 지역에 발달한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ang, K. I., Kim, Y. B., Suk, M. S. and Byun, S. K. 2002. Hydrography around Dokdo. Ocean Polar Res 24, 369-389. 

  2. Fierer, N. and Jackson, R. B. 2006. The diversity and biogeography of soil bacterial communities. Proc Natl Acad Sci USA 103, 626-631. 

  3. Ham, M. S., Park, Y. M., Sung, H. R., Sumayo, M., Ryul, C. M., Park, S. H. and Ghim, S. Y. 2009. Characterization of rhizobacteria isolated from family solanaceae plants in Dokdo Island.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110-117. 

  4. Hill, T. C., Walsh, K. A., Harris, J. A. and Moffett, B. F. 2003. Using ecological diversity measures with bacterial communities. FEMS Microbiol Ecol 43, 1-11. 

  5. Hwang, S. K. and Jeon, Y. G. 2003. Eruption cycles and volcanic form of the Dokdo volcano, Korea. Econ Environ Geol 36, 527-536. 

  6. Jeon, S. A., Sung, H. R., Park, Y. M., Park, J. H. and Ghim, S. Y. 2009. Analysis of endospore-forming bacteria or nitrogen-fixing bacteria community isolated from plants rhizosphere in Dokdo Island.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7, 189-196. 

  7. Jeon, Y. G. 2005. The regional geomorphology of Dokdo (Volcanic Island). Korean J Reg Geol 11, 12-28. 

  8. Kim, C. H., Park, J. W., Lee, M. H. and Park, C. H. 2013. Detailed bathymetry and submarine terraces in the coastal area of the Dokdo volcano in the Ulleung Basin, the East Sea (Sea of Japan). J Coastl Res 65, 523-528. 

  9. Kim, M. H., Oh, Y. J., Kim, C. S., Han, M. S., Lee, H. T. and Na, Y. E. 2007. The flora and vegetation distribution in Dokdo. Korean J Environ Agric 26, 85-93. 

  10. Lee, D. H., Cho, S. H. and Park, J. H. 2007. The analysis of vascular plant species composition in Dokdo Island. Korean J Plant Taxon 37, 545-563. 

  11. Lee, D. I. 1995. Atomshperic background values at Dokdo Island, Korea. Korean J Fish Aquat Sci 28. 

  12. Mani, A., Arga, C. A., Jane, D., Nithyalakshmy, R., Kaveh, E. and Ehsan, M. 2012. Carbohydrate degrading bacteria closely associated with Tetraselmis indica: influence on algal growth. Aquat Biol 15, 61-71. 

  13. Miyashita, N. T., Iwanaga, H., Charles, S., Diway, B., Sabang, J., and Chong, L. 2013. Soil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five tropical forests in Malaysia and one temperate forest in Japan revealed by pyrosequencing analyses of 16S rRNA gene sequence variation. Genes Genet Syst 88, 93-103. 

  14. Nacke, H., Thurmer, A., Wollherr, A., Will, C., Hodac, L., Herold, N., Schoning, I., Schrumpf, M., and Daniel, R. 2011. Pyrosequencing-based assessment o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long different management types in German forest and grassland soils. PLoS One 6, e17000. 

  15. Park, S. J., Song, I. G., Park, S. J. and Lim, D. O. 2010. The flora and vegetation of Dokdo Island in Ulleung-gun, Gyeongsanbuk-do. Korean J Env Eco 24, 264-278. 

  16. Persello-Cartieaux, F., Nussaume, L. and Robaglia, C. 2003. Tales from the underground: Molecular plant-rhizobacteria interactions. Plant Cell Environ 26, 189-199. 

  17. Research Institute for Ullengdo & Dokdo Islands. 2008. pp. 166-221, The plant of Dokdo Island. Nature of Dokdo island.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ress. Daegu, Korea. 

  18. Roesch, L. F., Fulthorpe, R. R., Riva, A., Casella, G., Hadwin, A. K., Kent, A. D., Daroub, S. H., Camargo, F. A., Farmerie, W. G., and Triplett, E. W. 2007. Pyrosequencing enumerates and contrasts soil microbial diversity. ISME J 1, 283-290. 

  19. Shin, H. T., Park, S. J., Kang, K. H. and Yoo, J. H. 2004.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 and conservation strategy in Ulnung island (II)-flora and management in Dokdo island, South Korea. Korean J Env Eco 18, 221-230. 

  20. Singh, D., Shi, L. and Adams, J. M. 2013. Bacterial diversity in the mountains of South-West China: Climate dominates over soil parameters. J Microbiol 51, 439-447. 

  21. Singh, D., Takahashi, K., Kim, M., Chun, J., and Adams, J. M. 2012. A hump-backed trend in bacterial diversity with elevation of Mount Fuji, Japan. Microb Ecol 63, 429-437. 

  22. Sohn, Y. K. 1995. Geology of Tok Island, Korea: eruptive and depositional processes of a shoaling to emergent island volcano. Bull Volcanol 56, 660-674. 

  23. Sun, B. Y., Sul, M. R., Im, J. A., Kim, C. H. and Kim, T. J. 2002. Evolution of endemic vascular plants of Ulleungdo and Dokdo in Korea- floristic and cytotaxonomic characteristic of vascular flora of Dokdo. Korean J Plant Taxon 32, 143-158. 

  24. Tang, Y. W., Von, G. A., Waddington, M. G., Hopkins, M. K., Smith, D. H., Li, H., Kolbert, C. P., Montgomery, S. O. and Persing, D. H. 2000. Identification of coryneform bacterial isolates by ribosomal DNA sequence analysis. J Clin Microbiol 38, 1676-1678. 

  25. Woo, P. C., Lau, S. K., Teng, H. and Yuen, K. Y. 2008. Then and now: use of 16S rDNA gene sequencing for bacterial identification and discovery of novel bacteria in clinical microbiology laboratories. Clin Microbiol Infect 14, 908-9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