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채나물의 관능적 특성에 근거한 소비자 기호도 유도 인자 분석
Sensory Properties and Drivers of Liking Sanchae namul (seasoned dish with wild edible green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0 no.2, 2014년, pp.200 - 211  

양정은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  이지현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  김다윤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  최은옥 (인하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라나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four kinds of wild vegetables (samnamul, miyeokchwi, daraesoon and bangpung namul), which were prepared through three different soaking methods: SBS (soaking both before and after boiling), BS (soaking only after boiling) and B (n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나물, 미역취, 다래순 방풍나물의 전처리 방법을 달리하여 각각의 관능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산채나물에 대한 기호도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능적 특성들을 파악하고, 향후 산채나물을 이용한 향토 음식 개발 및 상품화를 위한 방안 마련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4 종류의 나물을 대상으로 전 처리 방법을 달리하여 총 8 종류의 산채나물 시료들을 제조한 후, 이들의 관능적 특성들을 파악하였고, 20~70대의 고른 연령 분포의 남녀 115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검사를 수행하여 소비자 기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들을 규명하였다.
  • 뒷맛 특성에서도 맛 특성과 조직감 특성과 같은 양상을 나타내는 걸 볼 수 있었는데. 아린 맛 특성이 높게 나타난 Miyeokchwi_B 시료에서 떫은 뒷맛 특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는 쓴맛과도 같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주성분 분석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나물, 미역취, 다래순 방풍나물의 전처리 방법을 달리하여 각각의 관능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소비자들의 기호도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산채나물에 대한 기호도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능적 특성들을 파악하고, 향후 산채나물을 이용한 향토 음식 개발 및 상품화를 위한 방안 마련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채나물이란? 산채나물은 사람에 의해 개량 육성되어 논밭에서 재배 되고 있는 농작물과는 달리 자연 그대로 산야에 자생하는 식물 중, 식용이 가능한 식물을 말한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식물 자원 480종이 식용으로 이용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는데, 실제적으로 기호성이 좋고 식품적 가치가 높은 산채나물은 약 90여 종으로 보고 있으며, 지역적으로 전국에 고루 분포하고 있다(Ahn SY 등 2009).
식품적 가치가 높은 산채나물은 약 몇 종인가? 산채나물은 사람에 의해 개량 육성되어 논밭에서 재배 되고 있는 농작물과는 달리 자연 그대로 산야에 자생하는 식물 중, 식용이 가능한 식물을 말한다.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식물 자원 480종이 식용으로 이용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는데, 실제적으로 기호성이 좋고 식품적 가치가 높은 산채나물은 약 90여 종으로 보고 있으며, 지역적으로 전국에 고루 분포하고 있다(Ahn SY 등 2009). 산채 식물들은 오래전부터 국민들에게 부식이나 구황작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 왔으며(Cho JS 1993), 지금까지도 특유의 맛과 향, 약효, 식생활 습관, 계절감 등의 다양한 이유로 계속해서 이용되고 있다.
건강식품 및 자연식품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가한 이유는? 하지만 급속한 경제발전에 따른 소득증대로 국민들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었고, 육류 섭취량의 증가와 교통, 통신 수단의 발달로 인한 활동량 감소는 생활 습관병으로 알려져 있는 비만과 고지혈증, 동맥경화증, 고혈압 및 당뇨병 등과 같은 대사증후군의 발병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키고 있다. 그에 따라 건강식품 및 자연식품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증가하면서 비타민류, 무기질 및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들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산채 식물에 대한 수요도 함께 급증하고 있다(Cho EJ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SY, Kim JH, Choi SJ, Kim YJ. 2009.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cultivation of wild vegetable crops. Korean J Hortic Sci Technol 27(S):36-36 

  2. Ares G, Barreiro C, Deliza F, Gimenez A, Gambaro A. 2010. Application of a check-all-that-apply question to the development of chocolate milk desserts. J Sens Stud 25(s1):67-86 

  3. Choi JG. 2001. Korean Greens and Flowers used for medicinal purposes. Hannamu multimedia Co., Seoul, Korea. pp 14-30 

  4. Cho EJ. 2000. A survey on the usage of wild grasses. Korean J Dieary Culture 15(1):59-68 

  5. Cho JS. 1993. Food material science. Noon Woon Dang, Seoul, Korea. p 267 

  6. Choi JS, Kim HR, Kim YS, Ji SM, Back SH, Park HJ, Shin SM, Kim SA, Shon JW. 2011. Terminology dictionary of the traditional indigenous food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Gyeonggido, Suwon, Korea 

  7. Chon SU, Heo BG, Park YS, Kim DK, Gorinstein S. 2009. Total phenolics level, antioxidant activities and cytotoxicity of young sprouts of some traditional Korean salad plants. Plant Foods Hum Nutr 64(1):25-31 

  8. Chon SU, Heo BG, Park YS, Cho JY, Gorinstein S. 2008. Characteristics of the leaf parts of some traditional Korean salad plants used for food. J Sci Food Agric 88(11): 1963-1968 

  9. Dooley L, Lee Y-S, Meullenet J-F. 2010. The application of check-all-that-apply (CATA) consumer profiling to preference mapping. Food Qual Pref 21(4):394-401 

  10. Drake MA, Yates MD, Gerard PD, Delahunty CM, Sheehan EM, Turnbull RP, Dodds TM. 2005. Comparison of differences between lexicons for descriptive analysis of cheddar cheese flavor in Ireland, New Zealand,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t Dairy J 15(5):473-483 

  11. Han YS, Park JY. 2001. The microbiological and sensorial properties of frozen bibimbap namul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17(2):59-65 

  12. Heo BG, Park YS, Chon SU, Lee SY, Cho JY, Gorinstein S. 2007.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methanol extracts from aerial parts of Korean salad plants. BioFactors 30(2):79-89 

  13. Heo BG, Park YJ, Oh DM, Lee SR, Song CE, Kang KO, Cho JY. 2011. Understanding, discerning power and existence of edible experience of wild vegetable crops on twenties. J Korean Soc People Plants Environ 14(6):399-408 

  14. Hong JH, Yoon EK, Chung SJ, Chung L, Cha SM, O'Mahony M? Vickers Z?Kim KO. 2011. Sensory characteristics and cross-cultural consumer acceptability of Bulgogi (Korean traditional barbecued beef). J Food Sci 76(5):S306-S313 

  15. Jaeger SR, Andani Z, Wakeling IN, MacFie HJH. 1998. Consumer preferences for fresh and aged apples: A cross-cultural comparison. Food Qual Pref 9(5):355-366 

  16. Kim DH, An BJ, Kim SG, Park TS, Park GH, Son JH. 2011. Anti-Inflammatory effect of Ligularia Fischeri, Solidago virga-aurea and Aruncus dioicus complex extracts in Raw 264.7 cells. J Life Sci 21(5):678-683 

  17. Kim KW, Min KC, Yoo YK, Wi SE, Jo MD. 2007. Food Chemistry. Kwangmoonkag. Pajusi, Gyeonggido, Seoul. pp 337-339 

  18. King SC, Meiselman HL. 2010. Development of a method to measure consumer emotions associated with foods. Food Qual Pref 21(2):168-177 

  19. Martens H, Martens M. 2001. Chapter 6. Analysis of two data tables X and Y: Partial Least Squares Regression (PLSR). In Multivariate analysis of quality. J Wiley & Sons Ltd, London. pp 111-125 

  20. Meilgaard M, Civille GV, Carr BT. 1999. Sensory Evaluation Techniques. 3rd ed.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p 140-142 

  21. Nam YK, Baik JA. 2005. Status of research and possibility of development about endemic wild vegetables in Korea. J Kor Soc Plant People Environment 8(1):1-10 

  22.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total information system. Database of the traditional indigenous foods. Available from:http://koreanfood.rda.go.kr/tf_srch/TF_srch_ newmap.aspx. Accessed March, 2008 

  23. Oh HS. 2012. Wild edible greens used for medicinal purposes. Farmers Newspaper. Seoul, Korea. pp 124-326 

  24. Park DS. 2011. Korean wild edible greens containing the natural physiological active material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Gyeonggido, Suwon, Korea. 

  25. Park JS, Lee WJ. 1994. Dietary fiber contents and physical properties of wild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3(1):120-124 

  26. Shin JW, Lee SI, Woo MH, Kim SD. 2008. Effect of ethanol extracts of goat's beard o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symptoms and oxidative stress in ra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6):939-948 

  27. Tu VP, Valentin D, Husson F, Dacremont C. 2010. Cultural differences in food description and preference: Contrasting Vietnamese and French panelists on soy yogurts. Food Qual Pref 21(6):602-610 

  28. Yang J-E, Lee J-H, Choi S-A, Chung L. 2012. Sensory properties and consumer acceptance of Dasik (Korean traditional confectioneri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6): 836-850 

  29. Yeh LL, Kim KO, Chompreedan P, Rimkeeree H, Yau NJN, Lundahl DS. 1998. Comparison in use of the 9-point hedonic scale between Americans, Chinese, Koreans and Thai. Food Qual Pref. 9:413-4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