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채(산나물)에 대한 소비자 의향 및 수요 분석: 소비자 의향 조사와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An Analysis of Consumer Preference and Demand for Wild Vegetables: Through a Consumer Preference Survey and Social Big Data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8 no.1, 2019년, pp.116 - 126  

변승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센터) ,  석현덕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5년간 단기소득임산물 생산량 및 생산액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그 중에서도 산채(산나물) 생산액은 2017년 기준 약 4천억 원으로 전체의 14 %를 차지하고 있다. 산채 중에서도 특히 고사리, 취나물, 곤드레 등의 생산량 및 생산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산나물의 특성상 값 싼 수입산과의 가격경쟁이 심하고, 소비패턴의 변화가 거의 없는 점들로 인해 국내산 산채류 가격에 악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산채 소비시장의 전반적인 소비 위축 현상을 불러일으킬 위험이 있다. 하지만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과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도가 증가함에 따라 건강에 좋은 웰빙 식품 선호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지금이 산채 소비시장에서는 매우 중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채 소비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 및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기 위하여 소비자조사를 통한 산채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행태 및 소비행태를 분석하였고, 이와 더불어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산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의향을 파악하였다.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설문조사뿐만 아니라 SNS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소비자 인식 및 의향 조사도 실시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으며, 본 연구 결과가 향후 산채 소비 증진을 위한 전략 및 정책 마련에 있어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oduction volume and amount of non-timber forest products in Korea has been on the increase for the past five years.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amount of wild vegetables (edible mountain plants) is approximately KRW 400 billion as of 2017, accounting for 14 % of the total production amount o...

주제어

표/그림 (1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따라서 포함어 설정과 제외어 설정 등을 통한 필터링 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키워드와 관련된 SNS원문만을 대상으로 분석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분석 키워드는 산채(산나물)이며, 분석대상 기간은 최근 3년(2016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이다.
  • 본 연구는 산채 소비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 및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기 위하여 소비자조사를 통해 산채에 대한 소비자들의 구매행태 및 소비행태를 분석하였고, 이와 더불어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산채에 대한 소비자 인식 및 의향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2018년 12월 17일~21일에 실시한 임업관측(산채) 소비자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전국 500가구의 주부들을 대상으로 산채 구매 행태 및 소비 행태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선호도 및 신뢰도와 관련된 응답은 Likert 5점 척도로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소비자 조사결과와 더불어 소셜메트릭스(Social metrics)를 활용하여 블로그, 트위터, 인스타그램, 인터넷 커뮤니티, 뉴스 등의 SNS를 대상으로 소셜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산채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이 어떠한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소셜매트릭스는 텍스트마이닝3)과 자연어처리 기술4) 등으로 구성된 분석엔진을 통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키워드와 관련된 버즈만 제공해준다.
  • 실제로 많은 곳에서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브랜드 리포지셔닝, 타켓 전략 수립, 신제품 개발을 위한 소비자 행동분석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도 소비자 조사 결과를 통한 시사점 도출뿐만 아니라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산채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및 소비 의향을 파악하여 소비활성화를 위한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구매행태와 관련한 문항은 구매 빈도, 구매 형태, 1회 구입시 금액 및 구입 물량, 구입하는 주된 이유, 구입 시 고려사항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소비행태와 관련한 문항은 섭취 빈도, 섭취하는 방법, 주된 소비 장소, 소비 변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렴한 중국산과의 경쟁이 심한 산채의 특성상 추가적인 문항으로 중국산 산채류의 품질에 대한 인식과 신뢰성도 파악하였다.

가설 설정

  • Figure 14. Think about Chinese product qualit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나물 생산액의 추이는? 주요 산나물인 고사리, 취나물, 곤드레 등의 생산량 및 생산액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도라지, 더덕 생산량 및 생산액은 다소 감소하고 있는 추세로1) 산나물의 특성상 수입산과의 가격경쟁이 심하고, 소비패턴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산나물 시장의 소비 위축 현상은 불가피할 수 밖에 없다.
단기소득임산물이란 무엇인가? 단기소득임산물에는 조경재, 수실류, 약용식물, 버섯류, 산나물 등이 포함되며, 최근 5년간 생산량 및 생산액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그 중에서도 산나물 생산액은 최근 4천억 원대로 증가하여 전체 단기소득임산물 중 약 14 %를 차지하고 있다(Table 1).
산채류를 간단한 방법으로 조리한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 8 %로 과반수이상을 차지함을 볼 때, 상대적으로 다른 식재료에 비해 산채류는 그 자체로 짧은 시간에 간단한 방법으로 조리(요리)가 가능하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산채류를 가공하여 만든 식품들 중에 가장 많이 구매한 제품은 육개장, 비빔밥 등의 즉석조리(편의)식품이 41.8 %로 가장 많고, 장아찌(곰취 장아찌, 더덕 장아찌 등) 23.2 %, 차(더덕차, 도라지차 등) 12.5 %, 조청(도라지 조청 등) 12.4 % 순으로 나타났다(Figure 6). 최근 가정식 대체식품(HMR, Home Meal Replacement) 소비가 증가하는 식품 소비 트렌드의 변화에 따라 산채류를 이용하는 가공식품 역시 짧은 시간으로 간편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제품에 대한 구입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o, E.J. 2000. A survey on the usage of wild gras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pp. 59-68. 

  2. Cho, J.Y., Yang, S.Y., Yu, S.O., Kim, B.W., Jang, H.G., Chon, S.U., Park, Y.J. and Heo. B.G. 2005. The Actual distributing states of the fresh wild vegetables at five-day traditional markets in Jeonnam district.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23(4): 396-401. 

  3. Daumsoft. 2018a. Contextual Finder. http://www.daumsoft.com/contextualFinder.html. (2019. 1. 2). 

  4. Daumsoft. 2018b. Social Matrix User Manual. http://www.socialmetrics.co.kr. (2019. 1. 2). 

  5. Heo, B.G., Park, Y.J. Oh, D.M., Lee, S.R., Song, C.E., Kang, K.O. and Cho, J.Y. 2011. Understanding, discerning power and existence of edible experience of wild vegetable crops on twenties. Journal of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14(6): 399-408. 

  6. Heo, B.G., Yang, S.Y., Cho, J.Y., Jang, H.G. Chon, S.U. and Park, Y.J. 2005. The actual distributing and utilizing condition of wild vegetables in Mountain Jirisan a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People Plants Environ 8(2): 56-62. 

  7. Hong, W.S., Lee, J.S., Kim, E.J. and Choi, Y.S. 2006. A study on the consumption and preference of Codonopsis Lanoeolata by housewives.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22(4): 447-457. 

  8. Hwang, E.G., Kim, S.J. and Kim, B.K. 2014.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wild vegetables on customer satisfaction, Trust and repurchase intention.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20(4): 59-74. 

  9.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gricultural Outlook 2019 Korea. 

  10. Lee, Y.M., Bae, J.H., Jung, H.Y., Kim, J.H. and Park, D.S. 2011. Antioxidant activity in water and methanol extracts from Korean edible wild pl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40(1): 29-36. 

  11. Park, S.D., Oh, N.O., Choi, J.H. and Kim, C.H. 2011. A study on construction and developing the national wild edeble plant industry cluster.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C2011-11. 

  12. Seung, J.H 2007. An analysis of wild vegetable consumer behavior. (Thesis). (Chunche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3. Yoon, J.H. and Kim, G.H. 2007. Biological functions of wild edible greens. Annals of Plant Resources Research. 6: 219-2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