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Rail Transit Ridership at Urban Rail Stations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2 no.2, 2014년, pp.139 - 151  

이찬휘 (영남대학교 도시공학과) ,  윤대식 (영남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1년도 대구광역시 도시철도역별 승하차 인원수 자료를 사용하여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도시철도 이용수요가 주중과 주말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주중과 주말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건축물대장과 GIS 지적도를 확보하여 도시철도 역세권의 용도별 건축물의 연상면적 자료를 구축하였고, 그 외에 도시철도 역세권내 환승이 가능한 버스노선수, 중 고등 대학교 학생수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주중과 주말의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 변수들을 포함하여 다중회귀모형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주중 이용수요 모형과 주말 이용수요 모형에서 채택된 설명변수의 수와 설명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다소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analyzes factors affecting rail transit ridership at urban rail stations of the Daegu Metropolitan City in 2011. Rail transit ridership is analyzed by dividing weekdays and weekends in order that their differences may be observed.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ncludes various explanatory v...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교통수요예측의 첫 번째 단계인 통행발생(trip generation) 부분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으며, 기존 도시철도 이용수요 예측 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통존 기준이 아닌 역세권을 기준으로 하여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도시철도 이용수요가 주중과 주말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주중과 주말의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를 종속변수로 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설명변수들(역세권의 용도별 건축물 연면적, 사회경제적 특성 등)을 활용하여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교통수요예측의 첫 번째 단계인 통행발생(trip generation) 부분에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으며, 기존 도시철도 이용수요 예측 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교통존 기준이 아닌 역세권을 기준으로 하여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도시철도 이용수요가 주중과 주말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고, 주중과 주말의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를 종속변수로 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설명변수들(역세권의 용도별 건축물 연면적, 사회경제적 특성 등)을 활용하여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예컨대 토지이용 용도별 연면적은 필지 단위로 자료를 구축하였는데, 아파트 단지 같은 경우에는 하나의 필지가 넓기 때문에 역세권에 일부만 포함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단지 내에서 역세권내에 포함되는 건축물만을 구분하여 자료를 구축하였다. 아울러 사회경제적 특성 변수인 인구, 고용자수 등의 경우 현재 행정동 기준으로만 자료 획득이 가능하고 역세권 기준으로 자료 획득이 불가능함을 감안하여 설명변수에서 제외하였다.
  • (2007), Kim(2013)의 연구에서는 시간대별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으나, 주중과 주말로 구분하여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의 영향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의 영향요인 분석을 위해 주중과 주말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처럼 주중과 주말로 구분하여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의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도시철도의 통행발생 예측의 정확도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이렇게 두개의 모형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하기 전에 먼저 도시철도역별 주중 이용수요와 주말 이용수요 간 차이가 있는가에 대한 통계적 검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귀분석에 앞서 주중과 주말의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가 통계적으로 충분히 다른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 첫째,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수요예측모형의 개발이 아니라 도시철도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따라서 향후에는 도시철도의 수요예측을 위해 본 연구에서 추정된 도시철도 역세권별 모형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둘째,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행정동 기준이 아닌 역세권 기준으로 자료를 구축하여 도시철도의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에서 역세권의 토지이용 변수만을 주요 설명변수로 활용할 수 밖에 없는 한계를 가진다.

가설 설정

  • 도시철도역별 주중 이용수요와 주말 이용수요 간 차이가 있는지를 검정하기 위한 귀무가설은 ‘H0 : μi1 = μi2 ’이고, 대립가설은 ‘H1 : μi1≠ μi2 ’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중교통 중심개발로 대중교통수단의 수송분담률을 높인다면 어떠한 변화가 예상되는가? 대중교통중심개발은 도시철도 역세권이나 버스정류장 주변지역 등과 같은 대중교통 요충지에 고밀도 도시개발을 유도하여 시민들의 승용차 의존도를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러한 대중교통 중심개발로 대중교통수단의 수송분담률을 높인다면 궁극적으로 도로교통혼잡을 완화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대중교통중심개발의 목적은 무엇인가? 대중교통중심개발은 도시철도 역세권이나 버스정류장 주변지역 등과 같은 대중교통 요충지에 고밀도 도시개발을 유도하여 시민들의 승용차 의존도를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는 목적을 가진다. 이러한 대중교통 중심개발로 대중교통수단의 수송분담률을 높인다면 궁극적으로 도로교통혼잡을 완화하고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대량수송이 가능한 도시철도의 경우 대중교통중심개발은 어떠한 이점을 가지는가? 특히 대량수송이 가능한 도시철도의 경우 다른 교통수단과 비교해 볼 때 환경적인 측면과 에너지 소비적인 측면에서 큰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도시철도의 건설은 막대한 비용과 시간의 소요, 건설 이후 노선변경의 불가능 등의 제약요소도 있으므로 신중한 계획이 필요하고, 특히 정확한 이용수요의 예측이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rmbruster B. (2010), Factors Affecting Transit Ridership at the Metropolitan Level 2002-2007, A Thesi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Public Policy, Georgetown University. 

  2. Chen C., Chen J., Barry J. (2009), Diurnal Pattern of Transit Ridership: A Case Study of the New York City Subway System, Journal of Transport Geography, 17, 176-186. 

  3. Doi M., Allen W. B. (1986), A Time Series Analysis of Monthly Ridership for an Urban Rail Rapid Transit Line, Transportation, 13(3), 257-269. 

  4. Johnson A. (2003), Bus Transit and Land Use: Illuminating the Interaction, Journal of Public Transportation, 6(4), 21-39. 

  5. Kim D-O., Ryu Y-G., Choi H-G. (2002), A Study on the Setting Up Method of Subway Access/Egress Area by Walking and Its Application,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7(5), 177-186. 

  6. Kim J. I. (2013), The Determinants of Subway Riderships at AM-peak in Daegu Metropolitan City: Focusing on the Land Use of Station Neighborhood Areas,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20(1), 15-25. 

  7. Kim J., Lee M. S. (2010), A Study for the Analysis on Relationship Between Transit Riderships and Characteristics of Transit Center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56(10), 305-312. 

  8. Kim T. H., Shin Y. C., Sung H. G. (2013), The Relationship of Distance-based TOD Planning Elements to Public Transit Ridership in Seoul Subway Station Area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2), 51-64. 

  9. Lee G. S., Hong J. Y., Min H. H., Park J. S. (2007), Relationships Between Topological Structures of Traffic Flows on the Subway Networks and Land Use Patterns in the Metropolitan Seoul,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10(4), 427-443. 

  10. Lee H. Y., Roh S. C. (2012), Advanced Statistical Analysis, Bobmun Sa. 

  11. Oh Y. T., Kim T. H., Park J. J., Rho J. H. (2009), An Empirical Analysis of Influencing Factors toward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Considering Land Use Type Seoul Subway Station Area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9(4D), 467-472. 

  12. Park D. J., Kim J. J., Lee S. I. (2007), The Study on Classification of Subway Catchment Area Corresponding With TOD Concept in Seoul, Korea Planners Association 2007 Autumn Conference, 299-306. 

  13. Sohn D. W., Kim J. (2011),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ransit Centers and Transit Riderships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7(6), 177-184. 

  14. Sung H. G., Kim D. J., Park J. H. (2008), Impacts of Land Use and Urban Design Characteristics on Transit Ridership in the Seoul Rail Station Areas, J. Korean Soc. Transp., 26(4),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35-147. 

  15. Sung H. G., Kim T. H. (2005), A Study on Categorizing Subway Station Areas in Seoul by Rail Use Pattern, J. Korean Soc. Transp., 23(8),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9-29. 

  16. Sung H. G., Rho J. H., Kim T. H., Park J. H. (2006), A Study on the Effects of Land Use on Travel Pattern in the Rail Station Areas of a Dense City: A Case of Seoul,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1(4), 59-75. 

  17. Taylor B. D., Miller D., Iseki H., Fink C. (2009), Nature and/or Nurture?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Transit Ridership across US Urbanized Areas,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43(1), 60-77. 

  18. Yun D-S., Ko J-J. (2006), Analysis of Daegu Citizens' Subway Use Characteristics and Access Area of Subway Station,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22(2), 251-274.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