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일부 초등학교 방과 후 교실 아동을 위한 식생활교육의 효과
Effects of Dietary Education on Elementary Children in After-school Program in Seoul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9 no.2, 2014년, pp.222 - 230  

김경희 (덕성여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0-week dietary education on elementary students in an after-school program in Seoul. Participants were 20 1-2 grade students and 283-6 grade students, and the dietary program consisted of dietary education and activities focused on children's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저학년의 경우는 일부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1-2학년 돌봄교실의 프로그램을 활용한 교육과 3-6학년은 방과후 특별활동교실을 활용하여 10주 동안의 식생활교육을 실시한 후 아동들의 영양지식과 식습관 개선의 효과를 조사하고자 시행하였다. 교육대상자를 저학년과 중고학년으로 구분하여 수준에 맞는 적절한 교육방법을 실시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저학년부터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 후 돌봄교실의 1-2학년과 특별활동 교실의 3-6학년을 대상으로 각 학년 수준에 맞는 식생활교육을 실시하여 교육의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10회기의 식생활교육 실시 후에 특히 저학년(1-2학년)의 식습관, 영양지식 및 비만에 대한 태도가 바람직하게 변화되어 저학년 대상의 식생활교육의 효과가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그러나 아직도 초등학교 내에서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식생활교육의 실시가 부족한 상황이고 특히 교육의 효과가 높은 1, 2학년과 같은 저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아직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저학년의 경우는 일부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1-2학년 돌봄교실의 프로그램을 활용한 교육과 3-6학년은 방과후 특별활동교실을 활용하여 10주 동안의 식생활교육을 실시한 후 아동들의 영양지식과 식습관 개선의 효과를 조사하고자 시행하였다. 교육대상자를 저학년과 중고학년으로 구분하여 수준에 맞는 적절한 교육방법을 실시함으로써 교육의 효과를 증진시키는 동시에 저학년부터 바람직한 식습관을 형성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The total score of food habit is in the range 0-40 points.
  • 1)The total score of obesity knowledge is in the range 0-10 point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생의 식생활은 왜 위협을 받는가? 학동기 아동의 식습관은 아동의 성장발달과 평생의 건강에 기초가 되므로 이 시기의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교육이 매우 중요하다(Kim & Kim 2010). 그러나 급속한 경제성장과 가족형태의 변화,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등의 환경변화로 인하여 초등학생의 식생활이 위협 받으면서 여러 건강문제가 발생하고 있다(Kim 2010; Na 등 2010). 최근 연구결과에서 초등학생의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 및 영양불균형으로 인한 문제로 성장장애, 철결핍성 빈혈, 집중력 저하, 비만과 충치, 과다한 염분과 조미료 섭취증가, 편식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Ahn 등 2009; Lee 등 2005a).
학동기 아동의 식습관은 왜 중요한가? 학동기 아동의 식습관은 아동의 성장발달과 평생의 건강에 기초가 되므로 이 시기의 바람직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영양교육이 매우 중요하다(Kim & Kim 2010). 그러나 급속한 경제성장과 가족형태의 변화,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등의 환경변화로 인하여 초등학생의 식생활이 위협 받으면서 여러 건강문제가 발생하고 있다(Kim 2010; Na 등 2010).
초등학생의 어떤 습관을 방치할 경우 지속적인 아침결식으로 성장에 방해를 가져올 수 있는가? 그러나 급속한 경제성장과 가족형태의 변화, 여성의 사회참여 증가 등의 환경변화로 인하여 초등학생의 식생활이 위협 받으면서 여러 건강문제가 발생하고 있다(Kim 2010; Na 등 2010). 최근 연구결과에서 초등학생의 바람직하지 못한 식습관 및 영양불균형으로 인한 문제로 성장장애, 철결핍성 빈혈, 집중력 저하, 비만과 충치, 과다한 염분과 조미료 섭취증가, 편식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Ahn 등 2009; Lee 등 2005a). Kim 등(2013a)은 초등학생의 아침결식률이 아직 높고 (6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hn Y, Ko SY, Kim KW. 2009.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4(3):266-276 

  2. Cho YG, Song HR, Kim KA, Kang JH, Kang JH, Song YH, Yun HJ,Kim HS. 2009. Effect of a School-based Intervention for overweight children "fitness class" performed on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Korean J. Obes., 18(4):146-157 

  3. Choi HJ, Seo JS. 2003. Nutrient intakes and obesity-releated factors of obese children and the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orean J. Community Nutr., 8(4):477-484 

  4. Her ES. 2013. Eating behavior, nutrition knowledge, and education needs of the food and nutr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Gyeongnam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 18(1):11-24 

  5. Jae YL, Hye BN. 2011. Effects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yeonggi-do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6(1):1-13 

  6. Kim KH. 2004. Changes of food habits and anxiety level of obese children on body weight control program. Korean J. Food Culture, 19(3):326-335 

  7. Kim KH. 2005. Effects of eating habits and control of overeating of obese children on body weight control program. Korean J. Food Culture, 20(4):476-486 

  8. Kim KH. 2007. Changes of obesity indices, body 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obese children on weight control program. J. Community Nutr., 12(4):449-461 

  9. Kim KH. 2009. Effects of weight control program on food habits, eating behaviors and life habits in ob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4(5):509-520 

  10. Kim KH. 2010. Food habits, eating behaviors and food frequency by gender and among Seoul and other regions in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5(2):180-190 

  11. Kim MH, Ji WJ, Choi MK, Kim EY. 2013a. Breakfast patterns and preferenc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Chung-nam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2):171-183 

  12. Kim MJ, Kim YH. 2010. Dietary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f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Ulsan area by sex and skipping breakfas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2):209-217 

  13. Kim MS, Choi MS, Kim KN. 2011.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and exercise intervention on physical and dietary patterns of some obese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 16(4):426-438 

  14. Kim YJ, Choi YJ, Kim HS. 2013b. Factors releated calceneal broadband ultrasound attenuation, anthropometric indexes and nutrient intakes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hungnam. Korean J. Community Nutr., 18(4):312-323 

  1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pp 8-27 

  16. Korean health statistics. 2009. Korean national health and examina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7. Kwon DH, Han SN, Kim HK. 2011.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3rd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6(2):183-194 

  18. Lee AR, Moon HK, Kim EK. 2000a. A study on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body image recognition of nutrition knowledge after nutrition education for obese children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6(2):171-178 

  19. Lee EJ. 2009. Changes in the obesity index, nutritional knowledge, food habits and nutrient intakes in obese children after a weight control program of nutritional education. Korean J. Food Culture, 24(6):793-804 

  20. Lee JW, Lee HS, Chang NS, Kim JM.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tion knowledge scores and dietary behavior, dietary intakes and anthropometric parameters among primary school children participating in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orean J. Nutr., 42(4):338-349 

  21. Lee YJ, Kim GM, Chang KJ. 2000. The analysis of effect an nutrition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chon. J. Korean Diet Assoc., 6(2):86-96 

  22. Lim YL, Na HB. 2011. Effects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yeonggi-do rural area. J. Community Nutr., 16(1):1-13 

  23. Lee YM, Lee MJ, Kim SY. 2005b.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through discretion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focused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in 4th, 5th and 6th grade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1(3):331-340 

  24.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2008 National health statistics-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25. Na SY, Ko SY, Eom SH, Kim SW. 2010. Intakes and beliefs of vegetables and fruits, self-efficacy, nutrition knowledge, eat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yunggi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5(3):329-341 

  26. Park A, Chang KJ. 2004.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status and recognition of nutrition education in Incheon. Korean J. Community Nutr., 9(6):716-724 

  27. Park YH, Kim HH, Shin EK,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practice of nutrition education and perception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Korean J. Nutr., 39(4):403-416 

  28. Shim EG, Kim JS, Ji SM, Sohn TY, Hwang JN, Chung EJ. 2010. The effects of a nutrition and body shape education program as part of health promoting projects in an elementary school. Korean J. Nutr., 43(4):382-394 

  29. Shin EK, Shin KH, Kim HH, Park YH,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the needs of educators, learners and parents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Diet Assoc., 11(1):89-101 

  30. Suh EN, Kim CK. 1998.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based up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in inner Seoul. Korean J. Nutr., 31(4):787-798 

  31. Yon MY, Hyun TS. 2007. Evaluation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for obese children. J. Human Ecol., 11(2):143-151 

  32. Yu OK, Park SH, Cha YS. 2007. Eating habits,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high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Jeonju area. Korean J. Food Culture, 22(6):665-67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