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댐 건설 기간 수위변화가 하반림 일대 습지 식생에 미치는 영향 -한탄강댐을 사례로-
Effects of Water Level Change on Wetland Vegetation in the Area of Riparian Forest for Dam Construction Period -Focused on the Hantan River Dam- 원문보기

Journal of forest science, v.30 no.1, 2014년, pp.76 - 84  

박현철 (강원대학교 조경학과) ,  이정환 (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 ,  이관규 (강원대학교 조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onitor the effects of water level change on changes of landscape, vegetation community, and species diversity of riparian forest. Hantan river dam, study area, has been constructed in the area of Chansoo-myeon, Pocheon-si and Yeoncheon-eup, Yeoncheon-gun, Gyeonggi-do, w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댐 건설기간 중 하반림의 경관, 식생군집, 종 다양성의 변화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하천의 수위변화를 유발하는 시설물이 식생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 하천 생태자원을 보전하는 친환경적 하천 개발 시 고려하여야 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댐 공사시 수위의 변화가 하반림의 식물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2008년부터 2012년 까지 한탄강 홍수조절댐으로부터 650 m 떨어진 하반림을 대상으로 수위변화와 식물 종다양성, 식생군집구조, 경관변화를 모니터링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댐 건설의 장점과 단점은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는 기후의 영향으로 8-9월에 집중호우로 인해 홍수가 발생하여 효율적 수자원관리를 위해 댐을 건설한다. 현재 운용중인 댐이나 건설중인 댐은 대부분 다목적 댐(multipurpose dam)이며, 댐 건설은 수자원의 확보, 홍수 조절 등의 긍정적인 목적이 있으나 생태적으로는 간섭의 요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댐 건설 후 형성되는 담수호는 하천의 식물종 다양성, 식생 천이에 영향을 줄수 있다(Barnes 1997; Jamieson and Braatne 2001). 댐은 담수호의 수변 구역 수위를 유지시키지만 하반림의 침식의 요인이 되며 침식은 종다양성을 낮게 한다 (Friedman et al. 1998; Magilligan et al. 2003). 댐 상류에서는 침식 등으로 인한 종다양성의 변화가 있고 댐 하류에서는 유량 변화에 의한 퇴적으로 범람원, 사주 식생이 변화하기도 한다(Egger et al. 2012; Benjankar et al.
한탄강댐 건설은 본래 어떤 목적이었는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경우가 한탄강댐이다. 한탄강댐 건설은 임진강 유역의 홍수 조절을 위해 계획되었다. 그런데 희귀하고 수려한 현무암 협곡과 생태적 보호가치가 높은 지역인 관계로 홍수조절용 댐으로 계획을 변경하여 건설하고 있다.
수위변화가 버드나무의 생육에 영양을 준다는 근거로 무엇이 있는가? 따라서 하천의 수위 변화를 유발하는 보, 소형 댐등의 수위 조절 목적의 시설물은 하천의 경관 및 종 다양성에 영향을 줄 있다. 최근 4대강 살리기 지역인 낙동강 일원에서 버드나무, 왕버들 등의 버드나무속 식물이 고사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다. 일부 환경단체, 생태관련 전문가는 낙동강의 보 건설이 수위를 상승시켜 버드나무속 식물에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도 낙동강 버드나무 고사의 원인으로 주장하는 부분과 상당 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수위변화는 하반림의 주요종인 버드나무의 생육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rling RD, Moore ID. 1994. Role of buffer strips in management of waterway pollution: A review. Env Man 18: 543-558. 

  2. Barnes WJ. 1997. Vegetation dynamics on the floodplain of the lower Chippewa River in Wisconsin. J Tor Bot Soc 124: 189-197. 

  3. Benjankar R, Egger G, Jorde K, Goodwin P, Glennc NF. 2011. Dynamic floodplain vegetation model development for the Kootenai River, USA. Env Man 92: 3058-3070. 

  4.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niologie. Spriner-Verlag. 3rd ed. Vienna, New York, pp 865. 

  5. Bray JR, Curtis JT.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 Mon 27: 325-349. 

  6. Egger G, Politti E, Woo H, Cho KH, Park MH, Cho HG, Benjanka R, Lee NJ, Lee HY. 2012. Dynamic vegetation model as a tool for ecological impact assessments of dam operation. J Hydro Env Res 6: 151-161. 

  7. Friedman JM, Osterkamp WR, Scott ML, Auble GT. 1998. Downstream effects of dams on channel geometry and bottomland vegetation: Regional patterns in the great plains. Wetlands 18: 619-633. 

  8. Hill NM, Keddy PA. 1992. Prediction of rarities from habitat variables: Coastal plain plants on Nova Scotian lakeshores. Eco 73: 1852-1859. 

  9. Holmes PM, Cowling RM. 1997. The effects of invasion by Acacia saligna on the guild structure and regeneration capabilities of South African fynbos shrublands. J App Eco 34: 317-332. 

  10. Hooper DU, Chapin III FS, Ewel JJ, Hector A, Inchausti P, Lavorel S, Lawton JH, Lodge DM, Loreau M, Naeem S, Schmid B, Setala H, Symstad AJ, Vandermeer J, Wardle DA. 2005. Effects of biodiversity on ecosystem functioning: a consensus of current knowledge. Eco Mon 75: 3-35. 

  11. Hughes FMR. 1990. The influence of flooding regimes on forest distribution and composition in the Tana River floodplain. Kenya J appl Ecol 27: 475-491. 

  12. Jamieson B, Braatne JH. 2001. Riparian cottonwood ecosystems & regulated flows in Kootenai & Yakima sub-basins: Volume I. Kootenai River (Overview, Report & Appendices). Bonneville Power Administration, Portland, OR, pp 118. 

  13. Keddy PA Constabel P. 1986. Germination of ten shoreline plants in relation to seed size, soil particle size and water level: an experimental study. J Eco 74: 133-141 

  14. Kim JT, Kim EJ, Kang JG, Yeo HK. 2013. Impact of turbidity on protected plants along river levees. J Eng Geo 23: 161-17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JW, Manyko YI. 1994. Syntaxonomical and synch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ol-temperate mixed forest in the Southern Sikhote Alin, Russian East. J Eco 17: 391-413. 

  16. Magilligan FJ, Nislow KH, Graber BE. 2003. Scale-independent assessment of discharge reduction and riparian disconnectivity following flow regulation by dams. Geo 31: 569-572. 

  17.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 3: 36-71. 

  18. McCune B, Mefford MJ. 1999.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4.25). MjM Software, Gleneden Beach, OR, USA, pp 28. 

  19. Naiman RJ, Decamps H, Pollock M. 1993. The role of riparian corridors in maintaining regional biodiversity. Eco App 3: 209-212. 

  20. Nicol JM, Ganf GG. 2000. Water regimes, seedling recruitment and establishment in three wetland plant species. Mar Fre Res 51: 305-309. 

  21.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pp 165. 

  22. Riis T, Hawes I. 2002. Relationships between water level fluctuations and vegetation diversity in shallow water of New Zealand lakes. Aquatic Botany 74: 133-148. 

  23. Shannon CE,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pp 233. 

  24.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 163: 688. 

  25. Stanford JA, Lorang MS, Hauer FR. 2005. The shifting habitat mosaic of river ecosystems. Internationale Vereinigung fur Theoretische und Angewandte Limnologie Verhandlungen 29; 123-136 

  26. Westhoff V, Van Der Maarel E. 1973. The Braun-Blanquet approach. In: Ordin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mmunities (Whittaker RH ed). Hague, Boston, London, pp 167-726. 

  27. Wilson SD, Keddy PA. 1985. Plant zonation on a shoreline gradient: physiological response curves of component species. J Eco 73: 851-860. 

  28. Yang F, Liu WW, Wang J, Liao L, Wang Y. Riparian vegetation's responses to the new hydrological regimes from the Three Gorges Project: Clues to revegetation in reservoir water-level-fluctuation zone. Act Eco Sin 32: 89-9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