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울산시 도심하천의 자연형 하천 조성에 따른 식생 변화
Change of Vegetation Based on Nature-friendly River of Urban Streams in Ulsa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7, 2014년, pp.657 - 670  

강호선 (울산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조홍제 (울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질개선과 하천개수를 통한 자연형하천 조성으로 주민들의 친수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는 울산시의 5개 도시하천에 대해 식생을 조사하였다. 하천의 기하학적 특성이나 수질 및 제내지 및 제외지 등 주변여건과 식생의 활성화 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각 하천의 자연형하천 조성시기가 다르고 일천한 관계로 뚜렷한 정량적 상관관계를 얻을 수는 없었으나, 식생의 활성화 정도가 현하천의 수질과 제내지 및 제외지 등 주변 여건에 의한 차이점은 어느 정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연상태에 가까운 척과천은 식생종류가 다양하였고, 수질과 주변 여건이 좋은 무거천과 명정천은 인위적 유지용수 공급과 개수공사에 의한 인공물이 많지만 식생의 활성화 정도가 좋았다. 반면에 수질이 나쁘거나 하폭과 둔치가 좁은 데도 무리하게 산책로 등을 조성하였던 여천천과 약사천은 식생의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였고 활성화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searched the vegetation restoration of 5 urban streams Mugeo-choen, Yaksa-choen, Yeocheon-choen, Myeongjeong-choen and Cheokgwa-choen in Ulsan established as nature-friendly streams by improving water quality and river environment. Ecological restoration effects have resulted from the establis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 하천별 하폭이나 저수로폭의 크기 등 기하학적 특성과 주변 여건에 따른 식생변화를 비교·분석하여 자연형 생태하천 조성시 고려해야 할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에서는 울산의 대표적인 도심하천인 무거천, 약사천, 여천천, 명정천 및 척과천 등 5개 하천을 대상으로 자연형하천 조성에 따른 식생 현황 등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5개 하천 중에서 무거천, 약사천 및 여천천은 수질개선을 위해 하수관거설치를 통해 오수유입을 차단하고 인위적으로 유지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연형하천을 조성 위해 필요한 것은? 도시하천은 지리적 여건상 제내지인 주변은 도로나 건물 등으로 둘러싸여 있고, 제외지인 하천구간은 주변 지역보다 수m 아래에 형성되어 있어 식생을 비록한 생태계의 보존과 복원이 어려운 구조이다. 자연형하천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오·폐수 유입차단을 통한 환경적·생태적 기능 유지에 필요한 수질확보가 필수적이다. 수질여건에 따라 하천주변에 형성되고 복원되는 식생의 종류와 형태도 양상을 달리하게 된다.
도시하천의 특징적 구조는? 도시하천은 지리적 여건상 제내지인 주변은 도로나 건물 등으로 둘러싸여 있고, 제외지인 하천구간은 주변 지역보다 수m 아래에 형성되어 있어 식생을 비록한 생태계의 보존과 복원이 어려운 구조이다. 자연형하천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오·폐수 유입차단을 통한 환경적·생태적 기능 유지에 필요한 수질확보가 필수적이다.
약사천의 자연형하천 조성전 상황은? 0 km에 위치한 복개구간 입구까지이다. 자연형하천 조성전에는 상류 복개구간에서 내려오는 생활하수가 주된 흐름이었고, 수질오염으로 식생을 비롯한 하천생태계가 매우 나쁜 상태였다. 수로의구분이없었고하천의전구간이도로에연하여도로보다약5∼7m 낮게위치하였으며, 제방법면은전구간이 연직옹벽으로 처리되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rd ed. Springer, Wien-Newyork. http://211.114.21.20/alienspecies/. 

  2. Cho, H.J., and Kang, H.S. (2013). "The investigation of faunal habitat based on ecological rostoration of Urban Streams in Ulsa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ol. 16, No. 5 pp. 1-17. 

  3. Jeong, J.A., Kim, H.J., and Lee, E.H. (2004). "The comparison of plants and vegetation transect in a straight and a restoration section: A case study of Bulgwang stream in Seoul,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ol. 18, No. 1 pp. 61-74. 

  4. Kim, E.J., Cho, K.H., and Kang, J.G. (2014). "The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riparian environment and vegetation distribution in Nakdong River."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7, No. 4, pp. 321-330. 

  5. Lee, C.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oonsa. 

  6. Lee, U.C. (1996). Coloured flora of Korea Standards. Academibook. 

  7. Melchior, H. (1964). A Englesr's syllaabus der pflanzenfamilien. Germany. 

  8.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2001). Cheokgwa-cheon water system river maintenance master plan (Cheokgwa cheon, Dusan cheon, Seosa cheon, Oesa cheon). Ulsan Metropolitan City. 

  9.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River ecosystem health research and Assessments results. 

  10. Park, G.H., Yoo, J.H., and Yoon, Y.C. (2010a). "The characteristics and flora of Changwon and Nam streams located in Gyeongsangnam-do."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Restoration, Vol. 13, No. 5, pp. 12-27. 

  11. Park, G.H., Yoon, Y.C., Lee, U.S., and Yoo, J.H. (2010b). Vascular plants of Naedong stream in Changwon-si.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scholarship symposium, C-P-4:24. 

  12. Park, S.H. (2001). Color atlas of naturalized plant in Korea (Deuxieme). Ilchokak. 

  13.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praphy. Oxford. 632pp. 

  14. Ulsan Metropolitan City (2001). Mugo-chon ecological river construction feasibility study research. 

  15. Ulsan Metropolitan City (2009). Yeocheon-cheon ecological river construction feasibility study research.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