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광고에 나타난 예술작품의 혼성모방
Pastiche of Art-Works in Fashion Advertising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0 no.6, 2016년, pp.1072 - 1084  

예민희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임은혁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the years, the relationship between fashion and art has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in fashion studies. This study seeks to research and inquire on the relation of pastiche strategies with art-works in fashion advertising with a focus on luxury fashion brands. Pastiche means 'the exhaustio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광고에서 차용된 예술 작품이 원작의 의미를 상실하고 하나의 새로운 이미지로 변형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순간적이고 새로운 것이라면 무엇이든 흡수하고자 하고 이를 잠재적이고 놀라운 방식으로 다듬어내는 패션의 본질적 특성이(Boodro, 1990) 예술과 교류하면서 또 다른 기표로 재맥락화(recontextualize)하는 것이다(Yun, 2013). 이처럼 패션광고에서 예술작품은 원작의 성격을 부여받지 못하고 새로운 자신의 공간을 창조하는 시뮬라크라(simulacra) 특성을 지니게 되는데(Yang & Kim, 2000), 이는 포스트모던 패션의 혼성모방(pastiche) 전략으로 설명될 수 있다. 주체가 사라지고 독창적 또는 창조적 스타일이라는 개념 자체가 존재할 수 없는 포스트모던 패션에서는 과거의 스타일이나 기법을 그 의미와 무관하게 차용, 복제하여 새롭게 조합한다(Yim, 2011). 따라서 패션광고에서 차용된 예술 작품은 기의를 잃은 기표 즉, 원작의 의미를 상실한 하나의 새로운 이미지로 변형된다.
혼성모방과 패러디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먼저, 혼성모방과 패러디는 모두 과거 다른 양식의 매너리즘과 특이성을 차용하고 모방하는 양식상의 가면이다. 그러나 원본의 양식적 고유성을 이용하여 원본을 조롱하는 풍자적 성격의 패러디와 달리, 혼성모방은 원본의 모방에 대한 거의 중성적 수행으로 풍자와 해학적 특성을 상실하고 여러 가지 복잡한 의미를 부여받는다. 후기 자본주의 혹은 다국적 자본주의를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화적 맥락으로 적용시키고, 이런 사회질서를 표현하는 내적 방식으로 혼성모방을 제시한 프레드릭 제임슨(Fredric Jameson)에 따르면, 오늘날 문화 속에서 원본은 파편화, 이질화되었다.
패션광고 일반적 정의는 무엇인가? 패션광고의 정의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다양하게 규정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새로운 상품을 소비할 수 있도록 매체를 통해 상품의 외적, 내적 가치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을 말한다. 소비자들에게 시각적으로 일정한 규칙이나 범위의 제한없이 강한 인상을 심어주어 매장으로의 방문을 유도하는 것이 패션광고의 목적이다(Yun,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dvertolog. (2001, June). Dior adverts & commercials archive "Poison". Advertolog. Retrieved June 24, 2016, from http://www.advertolog.com/dior/print-outdoor/poison-14432605/ 

  2. Aldin, J. (2013). Vanities: Art of the dressing table. New York, NY: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3. Arnheim, R. (2004). Art and visual perception: A psychology of the creative eye (2nd ed.).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 Boodro, M. (1990). Art & fashion: A fine romance. ARTnews, 89(7), 120-127. 

  5. Brookes, R. (1992). Fashion photography. In J. Ash & E. Wilson (Eds.), Chic thrills: A fashion reader (pp. 17-29).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Campbell, C. (2010). The romantic ethic and the spirit of modern consumerism (H. S. Park & H. J. Jung, Trans.). Seoul: Nanam. (Original work published 1987) 

  7. Cho, Y. K. (2000). Study on Italian fashion advertising as a parody on the classical famouse painting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8. Cumangun, R. (2014, September 4). YSL AD CAMPAIGN. WorldPress. Retrived November 23, 2016, from https://advertisingandromcumagun.wordpress.com/2014/09/04/ysl-adcampaign-2/ 

  9. Diamond, J., & Diamond, E. (1996). Fashion advertising and promotion. Albany, NY: Delmar. 

  10. Fontana, D. (2003). The secret language of symbols: A visual key to symbols their meanings. San Francisco, CA: Chronicle Books. 

  11. Gombrich, E. H. (1997). The story of art (S. K. Baik & J. S. Lee, Trans.). Seoul: Yekyong. (Original work published 1950) 

  12. Hoesterey, I. (2001). Pastiche: Cultural memory in art, film, literature. Bloomington, IN: Indiana University Press. 

  13. Hollander, A. (1993). Seeing through clothes (Rev. ed.).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4. Jameson, F. (2012).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사회 [Postmodernism and consumer society]. In N. J. Yoon (Ed.),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 (제4판) [After modernism: Topics of fine arts (4th ed.)] (pp. 65-86). Seoul: Noonbit. 

  15. Jung, E. M. (2002). 화가는 왜 여자를 그리는가: 정은미가 만난 그림 속의 여자들 [Why painters draw woman: Women in pictures who Jung Eun Mi meets]. Seoul: Hangilart. 

  16. Kismaric, S., & Respini, E. (2009). Fashioning fiction in photography since 1990. In J. Brand & J. Teunissen (Eds.), Fashion and imagination: About clothes and art (pp. 330-351). Arnhem: ArtEZ Press. 

  17. Ko, E. J., Lee, M. A., & Lee, M. Y. (2012). Fashion brand & communication. Seoul: Gyomoon Publishers. 

  18. Krauss, R. (2012). 확장된 장(場)에서의 조각 [Sculpture in the expanded field]. In N. J. Yoon (Ed.),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화두 (제4판) [After modernism: Topics of fine arts (4th ed.)] (pp. 149-162). Seoul: Noonbit. 

  19. Lee, S. J., & Ko, Y. L. (2004). 패션사진: 문화와 욕망을 읽는다 [Fashion photography: Reads culture and desire].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ress. 

  20. Lee, Y. W. (2010).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xpression of artistic advertisement. Formative Media Studies, 13(2), 169-178. 

  21. Leem, J. H., & Lee, H. (2012). The effects of art advertisement and anchoring on the ad comprehension and the attitude toward ad.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3(4), 49-75. 

  22. Lipovetsky, G. (1999). 패션의 제국 [Empire of fashion] (D. J. Lee, Trans.). Seoul: Moonye Publishing Co. Ltd. (Original work published 1987) 

  23. Monica. (2012, November 12). Watch the full Louis Vuitton advertising campaign film "L'invitation au voyage". by Styling Amsterdam. Retrieved June 28, 2016, from http://www.bystylingamsterdam.com/2012/11/12/watch-the-full-louis-vuitton-advertising-campaign-film-linvitation-au-voyage/ 

  24. Ramzi, L. (2013, July 4). Christian Dior's luncheon on the grass. Fashionista. Retrieved June 28, 2016, from http://fashionista.com/2013/07/christian-diors-luncheon-on-the-grass 

  25. Starr, S. (2007, August 29). Campana de Yves Saint Laurent del 98, Por Mario Sorrenti, parece que la idea fue de Saint Laurent [Yves Saint Laurent 98 Campaign, as idea of Saint Laurent by Mario Sorrenti]. Vogue Espana. Retrieved June 28, 2016, from http://foros.vogue.es/viewtopic.php?t86115&start100 

  26. Svendsen, L. (2013). Fashion: A philosophy (S. Y. Do, Trans.). Seoul: MID. (Original work published 2004) 

  27. Tseelon, E. (2012). Authenticity. In A. Geczy & V. Karaminas (Eds.), Fashion and art (1st ed.) (pp. 111-122). London & New York: Berg. 

  28. Teunissen, J. (2009). Fashion and art. In J. Brand & J. Teunissen (Eds.), Fashion and imagination: About clothes and art (pp. 10-25). Arnhem: ArtEZ Press. 

  29. Welters, L. (2007). Fashion and art: Introduction. In L. Welters & A. Lillethun (Eds.), The fashion reader (1st ed.) (pp. 253-255). Oxford & New York: Berg. 

  30. Yang, H. M., & Kim, M. J. (2000). Pastiche in the late capitalism fash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0 (1), 69-84. 

  31. Ye, M. H., & Yim, E. H. (2014). Art strategies of luxury fashion br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8(2), 191-200. doi:10.5850/JKSCT.2014.38.2.191 

  32. Yim, E. H. (2011). Pastiche of western traditional costume in Japanese avant-garde fashion.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5), 970-980. 

  33. Yun, Y. (2013).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remediation in fashion advertising campaigns - Focused on Bolter & Grusin's remediation theory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