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국가이미지가 브랜드 아이덴티티 및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Korean Country Image on Brand Identity,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 Case for Chinese Consumers-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8 no.2, 2014년, pp.251 - 265  

하지수 (건국대학교 의류학과) ,  황진숙 (건국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hina is the biggest market for the Korean fashion industry. However, China is still difficult in regards to market entry and market success in China despite the geographical proxim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age of Korea and its impact on brand identity, brand attitude and intention to pur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가이미지를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최종적으로 구매의도까지 연결되는 모형을 검증함으로 어떠한 국가이미지의 요인에 더욱 전략적으로 마케팅적 노력을 쏟아야 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결과 한국 국민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활용하고, 제품과 관련된 국가이미지를 활용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하는 것이 브랜드의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음이 밝혀졌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국가이미지의 세부적 요인들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와의 관계 및 그 영향력을 검증하였다는 학문적 의의를 담고 있으며, 중국 시장에서 성공하고자 하는 국내 패션기업들에게 마케팅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요인을 제시하여 실무적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젊은 중국 여성 소비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이를 전체 중국 소비자로 확대하기에는 신중을 기해야 한다.
  • 본 연구는 세계의 중심 소비시장으로 떠오른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일반적인 한국의 이미지와 한국 국민의 이미지가 한국 패션제품과 관련된 국가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한국 패션제품 국가이미지가 한국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태도, 한국 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국가이미지의 하위차원을 일반적 국가이미지, 국민이미지, 제품 국가이미지로 도출하였고, 국가이미지와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태도 및 브랜드 구매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Fig. 1).
  • Choi(2011)는 글로벌 기업으로 인해 제품을 소유하거나 생산하는 국가가 자주 변화하는 시점에서는 소비자들이 먼저 떠올리게 되는 전형적인 국가가 의사결정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품 국가이미지의 개념화에 있어 제품이 처음 출발한 국가의 이미지로 조작화하여, 패션제품 국가이미지를 장인정신, 전통, 가격, 고유성, 품질, 스타일, 패션자원 차원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이미지의 효과가 큰 제품군에 속하는(Liefeld, 1993) 패션분야를 연구하고자 제품 국가이미지의 범주를 패션제품으로 한정하고, 한국에서 출발한 패션브랜드의 제품에 대한 국가이미지로 개념화하였다.
  • ‘명품’으로 분류되는 많은 패션브랜드는 강력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호의적인 국가이미지에 기반하여 브랜드 자체가 문화상품화되어 세계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Jung, 2010).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연구와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패션브랜드 자산형성에 영향을 주는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시장인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일반적인 국가이미지와 한국 국민의 이미지가 한국 패션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한국 패션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중국 소비자의 한국 패션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패션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국가이미지 요인의 파악 및 패션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수립과 실행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 2012; Verlegh & Steenkamp, 1999)이 국민이미지를 국가이미지의 구성요소로 도출하긴 했지만 국민이미지를 일반적 국가이미지의 보조적인 요인으로 파악할 뿐 독립된변수로 사용한 연구는 그간 드문 편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국가이미지와 국민이미지를 국가이미지 형성요인의 독립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패션제품 국가이미지에 주는 영향 유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소비자는 특정 상표의 개성에 대해 호의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긍정적인 구매의도를 가지므로(Holmes & Lett, 1977) 본 연구에서는 국가이미지의 어떠한 하위차원이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통해 긍정적이고 호의적인 브랜드 태도를 구축하는지, 구매의도로 연결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시장인 중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한국의 일반적인 국가이미지와 한국 국민의 이미지가 한국 패션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한국 패션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중국 소비자의 한국 패션브랜드에 대한 태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패션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국가이미지 요인의 파악 및 패션브랜드의 마케팅 전략 수립과 실행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Jung(2010)의 연구에서는 국가의 일반적인 이미지가 제품과 관련된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나 국가이미지의 다차원적인 요소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이미지를 다차원적으로 접근하여 국가의 일반적인 이미지와 국민에 대한 이미지, 그리고 국가의 제품에 관련된 이미지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일반적 국가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인으로 ‘경제’, ‘문화’ 이미지에 집중하여 일반적 국가이미지가 패션제품 국가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세워 연구를 진행하였다.
  • H4. 브랜드 아이덴티티는 브랜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국 휴대폰 시장에서, 이미지 요인은 소비자들의 브랜드 태도에 어떠한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가? Park and Li(2013)는 중국 휴대폰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 요인에 대한 연구에서 브랜드 이미지, 기업이미지, 국가이미지의 3가지차원으로 이미지 요인을 구분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요인 모두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브랜드 이미지, 국가이미지, 기업이미지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호적인 브랜드 태도형성을 위해서는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 국가이미지, 기업이미지가 구축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국가이미지란 무엇인가? Nagashima(1970)는 “국가이미지란 특정 국가의 제품에 대해 소비자 또는 기업가가 부여하는 심상(picture), 명성(reputation), 고정관념(stereotype)”이라고 정의하였고, Roth and Romeo(1992)는 “특정 국가의 제품과 마케팅의 강약으로 이미 형성된 지각을 바탕으로 특정 국가의 제품에 대해 생성하는 전반적인 지각”이라고 하였다.이들 학자는 원산지 이미지에 가까운 초기 국가이미지 연구의 정의를 내렸으나, Lee(2011)는 국가이미지를 “세계가 그 국가를 바라보는 태도, 그 국가를 대하는 방식” 이라고 정의하면서 좀 더 다양한 단서를 내포하는 정의를 내렸다.
국가이미지의 형성과정은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Moffitt(1994)은 국가이미지의 형성과정을 관계적 통로, 텍스트적 통로, 개인경험적 통로로 구분하였는데, 첫째, 관계적 통로란 유학생, 교포, 관광객, 기업인이 외국 사람들과의 직접적 접촉이나 국제 이벤트의 개최 등을 통해 국가이미지가 형성되는 경우이며, 둘째, 텍스트적 통로란 각종 미디어나 관련 서적을 통해서 형성되는 경우에 해당한다. 셋째, 개인경험적 통로는 개인이해당 국가를 방문하거나 해당 국가의 제품 및 서비스 사용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경우라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Aaker, D. A. (1996). Building strong brands. New York: Free Press. 

  2. Aaker, D. A., & Joachminsthaler, E. (2000). Brand leadership. New York: Free Press. 

  3. Ahn, J. S. (2005). Multifaceted country image and its impact on product evaluation and brand attitude: A case for Chinese consumers.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 16(2), 63-90. 

  4. Ajzen, L., & Fishbein, M. (1980).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5. Allred, A., Chakraborty, G., & Miller, S. J. (2000). Measuring images of developing countries: A scale development study. Journal of Euromarketing, 8(3), 29-49. 

  6. Callan, V. J., & Gallois, C. (1983). Ethnic stereotypes: Australian and Southern European yout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19(2), 287-288. 

  7. Choi, S. H. (2003). 브랜드 연상과 브랜드 정체성이 의류브랜드 자산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rand association and brand identity into fashion brand equity].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Spring Conference, Korea, 80. 

  8. Choi, Y. J. (2011). The dynamic effect model of country image on consumer evaluation of fashion produc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 Choi, Y. J., & Lee, Y. R. (2011). 아시아 패션 제품에 대한 국가이미지 효과 모델의 한.미 비교 [A comparison study on the national image effect models of Korea and USA for Asian fashion products].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spring conference, Korea, 85-88. 

  10. Clark, T. (1990). International marketing and national character: A review and proposal for and integrative theory. Journal of Marketing, 54(Oct), 66-79. 

  11. Crimmins, J. C. (2000). Better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brand valu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0(6), 136-144. 

  12. de Chernatony, L. (2010). From brand vision to brand evaluation: The strategic process of growing and strengthening brands. Oxford: Butterworth-Heinemann. 

  13. Engel, J. F., Blackwell, R. D., & Miniard, P. W. (1995). Consumer behavior (8th ed.). New York: The Dryden Press. 

  14. He, H., Li, Y., & Harris, L. (2012). Social identity perspective on brand loyal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5, 648-657. 

  15. Hofstede, G. (1991). Culture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London: McGraw-Hill. 

  16. Holmes, J. H., & Lett, J. D. (1977). Product sampling and word of mouth.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7(5), 35-40. 

  17. Hong, B. S., Na, Y. K., & Xu, D. D. (2009). A study on shopping mall quality, satisfaction, trust, commitment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shopping propensity of Chinese consum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4), 622-633. 

  18. Jaffe, E. D., & Nebenzahl, I. D. (2006). National image and competitive advantage: The theory and practice of place branding. Copenhagen: Copenhagen Business School Press. 

  19. Jang, S. J., & Lee, Y. R. (2008). Foreign visitors' Korean national image influencing preference of fashion cultural produ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4), 669-680. 

  20. Jung, H. J. (2010). (The) effect of country image on fashion brand equ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Kapferer, J. N. (2008). The new strategic brand management, creating and sustaining brand equity long term. London: Kogan page. 

  22. Kaynak, E., & Kucukenmiroglu, O. (1992). Source of industrial products: Regiocentric orientation of Chinese organizational buyer.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6(5), 36-55. 

  23. Keller, K. L. (2007). Strategic brand management (S. M. Lee, J. S. Kim, & Y. H. Choi, Trans.). Seoul: Brand & Company. (Original work published 1998) 

  24. Kim, J. S. (2012). The aesthetic dimension of brand personality factors impact on brand attitude. Journal Packaging Culture Design Research, 30, 151-161. 

  25. Kim, J. W., Mun, C. J., & Kim, Y. J. (2012). International management: A study on cultural characteristic differences and brand attitude of Chinese consumer. Annotated Bibliography on Area Studies, 16(3), 181-207. 

  26. Kim, S. W. (2008). The influence of country-of-brand images on Korean consumer's brand evaluation: Focusing on foreign luxury brand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27. Knight, G. A., & Calantone, R. J. (2000). A flexible model of consumer country-of-origin perception.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17(2), 127-145. 

  28. Ko, E. J., & Yoon, S. Y. (2004). Impact of fashion brand personality 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Comparison among formal, casual, sports brands-.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4, 59-80. 

  29. Kotler, P., & Gertner, D. (2002). Country as brand, product, and beyond: A place marketing and brand management perspective. Brand Management, 9(4/5), 269-261. 

  30. Kwon, Y. J., Hong, B. S., Seo, S. W., & Cho, M. A. (2009). The effects of the attributes of Korean celebrity advertising models on Chinese consumer's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fashion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3), 477-488. 

  31. Laroche, M., Papadopoulos, N., Heslop, L. A., & Mourali, M. (2005). The influence of country image structure on consumer evaluations of foreign products. International Marketing Review, 22(1), 96-115. 

  32. Lee, J. H. (2011). An empirical on the re-purchase intention and product satisfaction for American image.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13(1), 55-76. 

  33. Lee, H. J., & Jung, S. H. (2011). 2011 Select shop success strategy. Seoul: Fashion insignt. 

  34. Lee, J. R., & Lee, C. S. (2004). An empirical study on country image and trust effect on performances. Korea Trade Review, 29(5), 83-101. 

  35. Liefeld, J. P. (1993). Experiments on country-of-origin effects: Review and meta analysis. In N. Papadopoulos & L. Heslop (Eds.), Product country images: Impact and role in international marketing (pp. 117-156). NY: International Business Press. 

  36. Mitchell, A. A., & Olson, J. C. (1981). Are product attribute beliefs the only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s on brand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3), 318-332. 

  37. Moffitt, M. A. (1994). A cultural studies perspective toward understanding corporate images: A case study of State Farm Insurance.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6(1), 41-66. 

  38. Mort, G. M., & Han, C. M. (2000). Multifaceted country-image impact on purchase intentions for goods: A study in the Asia-pacific economic conference reg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Academy of International Business Conference, Phoenix, Arizona. 

  39. Nagashima, A. (1970). A comparison of Japanese and U.S. attitude toward foreign product. Journal of Marketing, 35 (Jan), 68-74. 

  40. Oh, J. S., Jang, H. Y., & Lee, J. Y. (2012). The effect of perceived country images on education service quality, trust, and country attitude: Focused on foreign students.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16(1), 25-48. 

  41. Papadopoulos, N., & Heslop, L. A. (2003). Country equity and product-country images: State-of-the-art in research and implications. In S. C. Jain (Ed.), Handbook of research in international marketing (p. 402). Cheltenham: Edward Elgar. 

  42. Papadopoulos, N., Helop, L. A., & IKON Research Group. (2000). A cross-na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of product- country images with a focus on the U.S. and Japan. Cambridge: Marketing Science Institute. 

  43. Pappu, R., Quester, P. G., & Cooksey, R. W. (2007). Country image and consumer-based brand equity: Relationships and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marketing.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38(5), 726-745. 

  44. Parameswaran, R., & Pisharodi, R. M. (1994). Facets of country of origin image: An empirical assessment. Journal of Advertising, 23(1), 43-56. 

  45. Park, C., & Li, J. (2013).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brand attitudes of mobile phone in China market. Annotated Bibliography on Area Studies, 17(1), 3-28. 

  46. Park, C. M., & Lee, K. W. (2006). Study on the significance of socio-cultural background as a factor of the brand property and its expansion. Journal of Communication Science, 6(1), 175-215. 

  47. Poddar, A., Donthu, N., &Wei, Y. (2009). Web site customer orientations, web site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s: The role of web site personali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2, 441-450. 

  48. Roth, K. P., & Diamantopoulos, A. (2009). Advancing the country image construc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2 (7), 726-740. 

  49. Roth, M. S., & Romeo, J. B. (1992). Matching product category and country image perception: A framework for managing country-of-origin effects.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23(3), 477-497. 

  50. Seo, M. K., & Lee, C. S. (2007). A study on country and brand image of foreign automobile products-A focus on path analysis of U.S and Japanese brands-.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9(1), 23-41. 

  51. Shin, S. Y., & Cho, J. A. (2009). Global marketing strategies for Korean fashion brands; Focused on companies entered the US marke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 22-32. 

  52. Silveira, C. D., Lages, C., & Simoes, C. (2013). Reconceptualizing brand identity in a dynamic environmen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6(1), 28-36. 

  53. Smith, J. B., & Donald, W. B. (1997).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difference and trust on the effectiveness of selling partn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61(Jan), 3-21. 

  54. Verlegh, P. W. J., & Steenkamp, J. E. M. (1999).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untry-of-origin research. Journal of Economic Psychology, 20(5), 521-546. 

  55. Xu, Y. Y., & Hwang, J. S. (2011). Clothing consumption value and attitude toward Korean fashion brand according to lifestyles of Chinese female consumer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esign Forum, 30, 71-81. 

  56. Zajonc, R. B. (1968). Attitudinal effects of mere expo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Monographs, 9(2), 1-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