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군집분석을 이용한 아동의 창의적 사고유형 분석
An Analysis of Children's Creative Thinking Styles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5 no.2, 2014년, pp.103 - 115  

김경은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김은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아동학전공) ,  김성희 (상지창의성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creative thinking styles of children according to cluster analysis and examined group differences in the gender of children.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Seoul, Korea.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cluster analysis and ${\chi}^2...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을 창의적 사고의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하며, 창의적인 성취를 수행할 때 작용한다고 생각되는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등과 같은 일반화된 정신능력들의 집합(Kim, 2010)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의 다양한 측면에서 그 유사성과 차이점을 고려하여 창의적 사고 군집을 나누어 분류해보고 그 의미를 탐색해보고자 한다. 아동기의 창의성 측정과 관련 하여, 창의적 사고능력을 측정하는 도구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바로 Torrance가 개발한 TTCT(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이다.
  • 유창성은 문제에 대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능력을, 독창성은 통계적으로 드물고 새롭고 독특한 반응을 낼 수 있는 능력을, 정교성은 세부내용을 상상하여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제목의 추상성은 아이디어를 종합하고 조직화할 수 있는 능력을,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은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도록 성급한 마무리를 지연시킬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Kim, 200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능력을 측정하는 가장 보편적인 검사인 TTCT 도형검사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초등 학교 고학년 아동들의 창의성 군집유형이 어떠한 특성을 보이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이유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군집분석을 통해 창의성 집단을 유형화하고, 각 집단이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각 아동의 창의적 사고 유형 및 창의적 수준에 맞는 차별화된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군집분석을 통해 창의성 집단을 유형화하고 각 집단이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진행된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창의적 사고의 하위요인에 따라 창의성 집단을 유형화하고 그에 따른 성차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창의성 프로그램의 진행에 있어 각 아동의 창의적 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교수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TCT는 무엇인가? 아동기의 창의성 측정과 관련 하여, 창의적 사고능력을 측정하는 도구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바로 Torrance가 개발한 TTCT(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이다. TTCT는 35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전세계에서 사용되고 있으며(Millar, 2002), 창의성 연구에서 창의적 사고능력을 측정하는 데 가장 많이 쓰이는 보편적인 창의성 측정도구이다 (Davis, 1997; Millar, 2002), 특히, TTCT 도형검사(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 Figural) 는 언어검사에 비해 연령이나 교육수준에 의한 영향력이 적으며, 모든 문화권에서 사용될 수 있다고 밝혀진 바 있다(Kim, 2002). TTCT는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등의 5가지 요인으로 구성된다.
TTCT의 구성요인 5가지는 무엇인가? TTCT는 35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전세계에서 사용되고 있으며(Millar, 2002), 창의성 연구에서 창의적 사고능력을 측정하는 데 가장 많이 쓰이는 보편적인 창의성 측정도구이다 (Davis, 1997; Millar, 2002), 특히, TTCT 도형검사(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 Figural) 는 언어검사에 비해 연령이나 교육수준에 의한 영향력이 적으며, 모든 문화권에서 사용될 수 있다고 밝혀진 바 있다(Kim, 2002). TTCT는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등의 5가지 요인으로 구성된다. 유창성은 문제에 대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낼 수 있는 능력을, 독창성은 통계적으로 드물고 새롭고 독특한 반응을 낼 수 있는 능력을, 정교성은 세부내용을 상상하여 제시할 수 있는 능력을, 제목의 추상성은 아이디어를 종합하고 조직화할 수 있는 능력을,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은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도록 성급한 마무리를 지연시킬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Kim, 2002).
아동의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노력에도 불구하고 창의성교육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하는 이유는? 그 이유로, 교사들의 창의성에 대한 이해 부족, 창의적 환경 조성의 어려움, 그리고 교육 현장에서 각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유형과 사고 수준에서의 차이를 간과하고 있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는 교사들에게 제공되는 창의성 교육에 대한 자료 및 연수의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Cho, Choi, & Choi, 2009; Lee, 2010; Park,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Baer, J. (1999). Gender differences in creativity. In Runco, M. A., & Pritzker, S.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pp. 753-758). San Diego: Academic Press. 

  2. Baer, J., & Kaufman, J. C. (2011). Gender differences in creativit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42(2), 75-105. 

  3. Barron, F. (1988). Putting creativity to work. In R.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pp. 76-98).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Cho, B. K., Cho, S. Y., & Park, S. O. (1996). A study on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as a function of the questioning patterns of teachers. Korean Association of Child Studies, 17(1), 23-37. 

  5. Cho, Y. S., Choi, K. L., & Choi, M. K. (2009). An analysis of perception of creativity and creative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Ewh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0(3), 215-237. 

  6. Choi, B. Y., & Park, M. H. (2004). Effects of creativity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The Korea Journal of Education Methodology Studies, 16(2), 1-28. 

  7. Choi, M. J. (2010). Teacher education model development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0(3), 501-526. 

  8. Choi, S. H. (2013). The effect of the origami class using the SCAMPER technique on children's creativity,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9. Csikszentmihalyi, M. (1996).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 Collins. 

  10. Dacey, J. S. (1989). Peak periods of creative growth a cross the lifespan. In G. J. Puccio & M. C. Murdock (Eds.). Creativity assessment: Reading and resources (p. 323-345). Buffalo, NY: CEF Press. 

  11. Dacey, J. S., & Lennon, K. H. (1998). Understanding creativity: The interplay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San Francisco, CA: Jossey Bass. 

  12. Davis, G. A. (1997). Identifying creative students and measuring creativity. In N. Colangelo & G. A. Davis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pp. 269-281). Needham Heights, MA: Viacom. 

  13. Davis, G. A. (1998). Creativity is forever (4th Ed.). Dubuque, IA: Kendall Hunt. 

  14. de Bono, E. (1985). de Bono's thinking course. London: Ariel Books. 

  15. Feldhusen, J. F., & Treffinger, D. J. (1975). Teachers' attitudes and practices in teaching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to economic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y children. Psychological Reports, 37, 1161-1162. 

  16. Feldhusen, J. F., & Treffinger, D. J. (2011). Developing creative thinking: The Purdue creativity program.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4(2), 85-90. 

  17. Gentry, M., Rizza, M., & Owen, S. (2002). Examining perceptions of challenge and choice in classroom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their students and comparison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other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6(2), 145-155. 

  18. Gowan, J. C., Demos, G. D., & Torrance, E. P. (1967). Creativity: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New York: Wiley. 

  19. Guilford, J. P. (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 444-454. 

  20. Hair, J. F., Jr., & Black, W. C. (2000). Cluster analysis. In L. G. Grimm & P. R. Yarnold (Ed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 (pp. 147-20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1. Hennessey, B. A., & Amabile, T. M. (1988). The role of the environment in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pp. 11-38).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Kampylis, P., Berki, E., & Saariluoma, P. (2009). In-service and prospective teachers conceptions of creativity.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4(1), 15-29. 

  23. Kershner J. R., & Ledger, G. (1985). Effect of sex, intelligence, and style of thinking in creativity: A comparison of gifted and average IQ childr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4), 1133-1246. 

  24. Kim, E. A., Jung, O. B., & Jung, S. H. (2007).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self-efficacy, and creativity of children focusing on sex and age.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8(2), 23-47. 

  25. Kim, H. J., & Hong, S. O. (2012). The effects of Korean version of Renzulli's creativity program on creativity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The Journal of Humanities, 28, 423-452. 

  26. Kim, K. E., Kim, E. A., Lee, H. S., & Choi, I. S. (2007). Survey on the perception of creativity education by parents and teachers of early children. Human Life Science, 10, 167-187. 

  27. Kim, S. M. (2007). The effect of brainstorming activity in fine arts on the improvement of children's crea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28. Kim, Y. C. (2002).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manual, figural A and B. Daegu: Korean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 / Hyun-Gok R & D. 

  29. Kim, Y. C. (2006). Figural TTCT : Thinking creativity with figural, norms - technical manual, form A. (4th Ed.). Daegu: Korean Future Problem Solving Program/Hyun-Gok R & D. 

  30. Kwak, K. J. (2009, July, 15). Creativity from cooperation. The Dong-A daily, Retrieved September, 9, 2013, from http://news.donga.com/3/all/20090715/8755770/1 

  31. Lee, J. H. (2010). Analysis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gnition on creativity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2. Lew, K. H. (2006). Comparative study on the creative product between high and low groups of crea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in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11(2), 67-86. 

  33. Maslow, A. H. (1971). The farther reaches of human nature. New York: Viking Press. 

  34. Matud, P., Rodriguez, C., & Grande, J. (2007). Gender differences in creative think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5), 1137-1147. 

  35. Milgram, R. M., & Milgram, N. A. (1976). Group versus individual administration in the measurement of creative thinking in gifted and nongifted children. Child Development, 47, 563-565. 

  36. Millar, G. W. (2002). The Torrance kids at mid-life. Westport, CT: Ablex. 

  37.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MEST) (2009).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38. Moon, S. Y. (2009). A study on the ways to conceive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22, 59-66. 

  39. Moustakis, C. E. (1967). Creativity and conformity. Princeton, NJ: D. Van Nostrand. 

  40. Osborn, A. F. (1957). Applied imagination (1st Eds.). New York: Scribner. 

  41. Park, H. J. (1994).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creativity and home environ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Chonju, Korea. 

  42. Park, S. J. (2013).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al program for prospective infant teachers and its effec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eui University, Busan, Korea. 

  43. Park, Y. I. (2007). Effec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model 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crea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Busan, Korea. 

  44. Perkins, D. A. (1988). The possibility of invention.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pp. 363-386).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Ripple, R. E., & Dacey, J. S. (1969). Relationships of some adolescent characteristics and verbal creativity. Psychology in the Schools, 6(3), 321-324. 

  46. Rogers, C. (1961). On becoming a person. Boston: Houghton Mifflin. 

  47. Runco, M. A. (2007). Creativity - theories and themes: Research, development, and practice. San Diego, CA: Academic Press. 

  48. Torrance, E. P. (1977). Creativity in the classroom: What research says to the teacher. Washington, D. C.: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49. Treffinger, D. J., Isaksen, S. G., & Dorval, K. B. (2000). Creative problem solving: An introduction (3rd Eds.). Waco, TX: Prufrock Press 

  50. Urban, K. K. (1995). Creativity: A component approach model. Paper presented at the World Conference on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Hong Kong. 

  51. Woo, S. H., Lee, H. J., & Kim, J. W. (2010). A method of design cooperative learning group composition to promote creativity -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early grad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3(4), 77-92. 

  52. Yu, Y. O. (2003).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by the TCT-DP in Korean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6(2), 53-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