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외조모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 및 긍정적 양육행동이 학령 후기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Grand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Mothers' Emotion Regulation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5 no.2, 2014년, pp.117 - 136  

박수연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도현심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김민정 (남서울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송승민 (수원대학교 아동가족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nal grandmother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mothers' emotion regulation, and positive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 total of 348 mothers of fourth and fifth grade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items related to thei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8(Browne & Cudeck, 1993) 이라는 적합도 기준을 모두 충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측정모형의 적합성이 검증되었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 5학년에 재학 중인 학령 후기 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외조모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 및 긍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학령 초기, 즉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부모용으로 개발된 Lee(2012)의 양육행동 척도를 본 연구 참가자인 학령 후기 아동의 부모들에게도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시 소재 2곳의 초등학교 4, 5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 15명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조사, 회수하였다.
  • 회피분산적 양식의 경우, ‘관계 없는 다른 일을 떠올리거나 다른 일에 집중한다’, ‘기분 나빠진 상황이나 사람을 피해버린다’ 등의 문항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는 하위요인들의 방향성을 일치시키기 위하여, 회피분산적 양식의 문항들을 역채점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각 요인별 내적합치도 계수(Cronbach’s α)는 능동적 양식이 .
  •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외조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외조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통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외조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 및 긍정적 양육행동을 통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해 보았다.
  • 이러한 네 가지 연구변인 간의 경로는 각각 외조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이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정 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세 가지 경로들 가운데 앞서 서술한 경로를 제외하고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이 긍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 그러나 양육행동의 세대 간 전이에 관한 국내외 연구들을 살펴보면, 부정적 양육행동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Chung, Chun, & Kim, 2004; Park, 2002; Simons, Whitbeck, Conger, & Wu, 1991).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육행동의 긍정적 측면에 초점을 두어 긍정적 양육행동의 세대 간 전이를 포함한 경로를 확인하였다.
  •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외조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외조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을 통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외조모의 긍정적 양육행동이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 및 긍정적 양육행동을 통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은 아동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아동은 특히 자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거나 의미 있는 사람의 행동을 보다 더 많이 모방하므로, 어머니가 특정 상황에서 보이는 정서조절 방식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충분히 가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어머니의 정서조절능력은 아동이 다른 사람의 정서적 반응을 이해하고 해석하며, 사회적 상황에서 수용 가능한 정서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기 쉽다. 국외 연구들에서도 어머니가 평소에 긍정적인 정서를 보일수록 유아는 실망스러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부정적 정서를 잘 조절하는 모습을 보였으며(Garner & Power, 1996), 어머니가 적절한 수준의 정서표현을 하거나 자녀가 느끼는 정서를 잘 인식하도록 양육 하는 경우, 아동은 타인의 감정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높은 수준의 정서조절능력을 보였다 (Eisenberg et al.
정서조절능력이 높은 아동의 특징은? 부모와의 관계를 통해 배운 정서조절능력은 아동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대인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Eisenberg, Fabes, Nyman, Bernzweig, & Pinuelas, 1994; Park & Kim, 2005). 정서조절능력이 높은 아동은 또래 유능성이 높으며(Lim, 2002), 또래관계에서 리더십과 안정적인 소속감을 보이며 학교생활에도 잘 적응하는 경향이 있다(Park & Kang, 2005). 반면, 정서조절능력이 낮은 아동은 부정적인 또래관계를 보이며(Han, 2005), 내재화 및 외 현화 행동문제를 많이 표출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Lee, 2009).
부모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유대감을 느끼고 자율성을 격려 받은 아동은 사회적으로 상호작용하는 상황에서 아동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높은 경향이 있다(Clark & Ladd, 2000). 구체적으로 말하면, 아동의 정서조절능력은 어머니가 애정적이고 덜 통제적으로 양육할수록 높은 반면(Lee & Choi, 2005), 어머니가 거부․강압적 혹은 허용․방임적이거나(Park & Kim, 2005; Shields & Cicchetti, 1998), 권위주의 적이고 통제적으로 양육할수록 낮았다(Cho & Lee, 2010). 부모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양육행동 가운데 긍정적 양육행동(Gray & Steinberg, 1999)은 긍정 심리학(Seligman & Csikszentmihalyi, 2000)에 대한 관심과 관련되어 점차 부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3)

  1. Bandura, A. (1969). Principles of behavior modification.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2. Belsky, J. (1984).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A process model. Child Development, 55, 83-96. 

  3. Belsky, J., & Vondra, J. (1993). Developmental origins of parenting: Personality and relationship factor. In T. Luster & L. Okagaki (Eds),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pp. 227-250). Hillside: Lawrence Erlbaum. 

  4. Bernstein, B. A., & O'Neill, C. (1992). Consequence of different kinds of parental discipline. In M. L. Hoffman (Eds), Review of child development Research (pp. 169-208). New York: Russell Sage Foundation. 

  5. Calkins, S. D. (1994). Origins and outcom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 regulation.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59(2/3), 53-72. 

  6. Chen, Z., & Kaplan, H. B. (2001).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onstructive parent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1), 17-31. 

  7. Cheong, S. J., & Kim, Y. S. (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motion management training program for parents and its effec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4), 817-838. 

  8. Cho, S. H., & Lee, K. N. (2010).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self-esteem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y on emotion regulation of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8(5), 61-72. 

  9. Chong, Y. S., Jang, H. J., & Kim, Y. H. (2005). The child-rearing behaviors of two generations of grandmothers and mothers. Journal of Human Ecology, 9(2), 49-59. 

  10. Chung, M. J., Chun, Y. J., & Kim, J. (2004). Effects of parental differentiation from the familyof-origin and child-rearing behavior on child's behavioral problem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2(2), 133-150. 

  11. Clark, K. E., & Ladd, G. W. (2000). Connectedness and autonomy support in parent-child relationships: Links to children's socioemotional orien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Developmental Psychology, 36(4), 485-498. 

  12. Crowell, J. A., & Feldman, S. S. (1988). Mothers' internal models of relationships and children's behavioral and developmental status: A study of mother-child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59, 1273-1285. 

  13. Eisenberg, N., & Fabes, R. A. (1994). Mother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children's temperament and anger behavior. Merrill-Palmer Quarterly, 40, 138-156. 

  14. Eisenberg, N., Fabes, R. A., Carlo, G., & Karbon, M. (1992). Emotional responsivity to others: Behavioral correlates and socialization antecedents. In N. Eisenberg & R. A. Fabes (Eds), Emotion and its regulation in early development: New directions in child development (pp. 57-74). San Francisco: Jossey-Bass. 

  15. Eisenberg, N., Fabes, R. A., & Murphy, B. C. (1996). Parents'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comforting behavior. Child Development, 67, 2227-2247. 

  16. Eisenberg, N., Fabes, R. A., Nyman, M., Bernzweig, J., & Pinuelas, A. (1994). The relations of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o children's anger-related reactions. Child Development, 65, 109-128. 

  17. Eisenberg, N., Shepard, S. A., Fabes, R. A., Murphy, B. C., & Guthrie, I. K. (1998). Shyness and children's emotionality, regulation, and coping: Contemporaneous, longitudinal, and acrosscontext relations. Child Development, 69(3), 767-790. 

  18. Feshbach, N. D. (1997). Empathy: The formative years-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In A. Bohart & L. Greenberg (Eds), Empathy reconsidered: New directions in psychotherapy (pp. 33-59).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 Fincham, F. D. (1994). Understanding the association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child adjustment.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8, 123-127. 

  20. Foundation for Preventing Youth Violence (2012). 2011 National research of school violence. Research Report. 12-001. 

  21. Garner, P. W., & Power, T. G. (1996). Preschoolers' emotional control in the disappointment paradigm and its relation to temperament, emotional knowledge, and family expressiveness. Child Development, 67, 1406-1419. 

  22. Gottman, J. M., Katz, L. F., & Hooven, C. (1997). Meta-emotion: How families communicate emotionally. Mahwah, NJ: Erlbaum. 

  23. Gray, M. R., & Steinberg, L. (1999). Unpacking authoritative parenting: Reassessing a multidimensional construc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1(3), 574-587. 

  24. Grolnick, W. S., Ryan, R. M., & Deci, E. L. (1991). Inner resources for school achievement: Motivational mediators of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4), 508-517. 

  25. Ha, Y. M., & Park, S. Y. (2012). The effects of adult attachment, mother's negative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styles on parenting behavior.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19(2), 175-195. 

  26. Han, E. G. (2005). Emotion regulation as a predictor of aggression and peer relationships in school-age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4), 85-100. 

  27. Hong, A. G. (2001).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Jeonju, Korea. 

  28. Hong, S. H.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29. Im, J. O. (2003).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the emotional clarity,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Korea. 

  30. Jeon, H. J., & Park, S. Y. (1999). Childhood experience, persona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Relationship to parenting behaviors.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3), 153-169. 

  31. Kang, S. H. (2006). Mother's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their children emotion regulation in early childho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32. Kim, E. K., & Song, Y. H. (2008).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style, mother's attitude toward her child'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reschoolers' emotional ability.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4(1), 43-64. 

  33. Kim, G. S. (2007). New Amos 7.0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34. Kim, J. Y., & Nahm, E. Y.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and children's stress-coping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2(5), 13-28. 

  35. Kitamura, T., Shikai, M. U., Hiramura, H., Tanka, N., & Shono, M. (2009).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arenting style and personality: Direct influence or mediation?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8(5), 541-556. 

  36. Kopp, C. B. (1982). Regulation of distress and negative emotions: A developmental view. Developmental Psychology, 25(3), 343-354. 

  37. Kwon, S. M. (2008). Positive psychology: Scientific investigation in happiness. Seoul: Hakjisa. 

  38. Lee, H. R., & Choi, B. G. (2005). The relation between preschoolers' individual and parents' characteristics and preschoolers' emotional understanding and regula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3(5), 1-14. 

  39. Lee, J. M., Song, S. M., & Doh, H. S. (2011).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parenting styles between grandparents and par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9(3), 85-97. 

  40. Lee, J. S., & Chung, M. J. (2007).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in relation to the mothers' childhood experiences, satisfaction as a parent and spousal support in parenting.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5(5), 85-94. 

  41. Lee, K. N. (2009). The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parent related variables and victimization by peer harassment on behavioral problems among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7(7), 1-12. 

  42. Lee. S. H., Koh, I. S., & Shim. J. S. (2009). The study of parent's and grand parents' parenting style and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4(2), 111-134. 

  43. Lim, H. S., & Park, S. Y. (2001). Child's sex, temperament, mother's regulation and parenting as related to child's emotion regul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1), 37-54. 

  44. Lim, Y. J. (2002). Children's peer competence in relation to maternal parenting styles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0(1), 113-124. 

  45. Morelen, D., & Suveg, C. (2012). A real-time analysis of parent-child emotion discussions: The interaction is reciprocal.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6(6), 998-1003. 

  46. Oh, A. R. (2010). An effect of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young child's aggression and self-regulation ability: Focused on generation transfer of parenting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47. Park, H. S. (2011). Relations of mothers' personality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toward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8. Park, S. J., & Kim, S. O. (2005).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nd school-aged children's strategies and competence of emotional regulation.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3(4), 35-53. 

  49. Park, S. Y. (2002). Fathering, son's aggression, and the transmission of aggress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3(5), 35-50. 

  50. Park, S. Y., & Kang, J. H. (2005). The relation betwee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gg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6(1), 1-14. 

  51. Park, S. Y., & Lee, S. (1990). Research: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maternal behavior inventory.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8(1), 141-156. 

  52. Rhee, S. H. (2012). 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scale' parents with school-age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3. Seligman, M. E. P.,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1), 5-14. 

  54. Seo, M. O., & Cho, W. I. (2008). A qualitative study on the maternal experience and the quality of life of mothers with mentally disabled children.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10(3), 319-348. 

  55. Serbin, L. A., & Karp, J. (2004). The intergenerational transfer of psychosocial risk: Mediators of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5, 333-363. 

  56. Shaffer, A., Burt, K. B., Obradovic, J., Herbers, J. E., & Masten, A. S. (2009). Intergenerational continuity in parenting quality: The mediating role of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al Psychology, 45(5), 1227-1240. 

  57. Shields, A., & Cicchetti, D. (1995). The development of an emotion regulation assessment battery: Reliability and validity among at-risk grade school children. Poster presented at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Indianapolis, IN. 

  58. Shields, A., & Cicchetti, D. (1997). Emotion regulation among school-age childre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criterion Q-sort scale. Developmental Psychology, 33(6), 906-916. 

  59. Shields, A., & Cicchetti, D. (1998). Reactive aggression among maltreated children: The contributions of attent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7(4), 381-395. 

  60. Shipman, K. L., Schneider, R., Fitzerald, M. M., Sims, C., Swisher, L., & Edwards, A. (2007). Maternal emotion socialization in maltreating and non-maltreating families: Implications for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Social Development, 16(2), 268-285. 

  61. Simons, R. L., Whitbeck, L. B., Conger, R. D., & Wu, C. (1991).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harsh parent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7(1), 159-171. 

  62. Tabachnick, B. G., & Fidell, L. S. (2001). Using multivariate statistics (4th ed.). Boston, MA: Allyn & Bacon. 

  63. Yoon, S. B. (1999).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 types and antecedents of experienced emotions on emotion regul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