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활성탄-망간 산화물 합성소재의 제조방법에 따른 중금속 흡착특성 비교
Comparison of Heavy Metal Adsorption by Manganese Oxide-Coated Activated Carbon according to Manufacture Method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6 no.1, 2014년, pp.7 - 12  

이슬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녹색기술연구소) ,  이명은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녹색기술연구소) ,  정재우 (경남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녹색기술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망간산화물이 코팅된 활성탄(MOAC)에 의한 Pb와 Cu 흡착의 동역학적 특성과 등온흡착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회분식 실험을 수행하였다. MOAC는 화학적 침전법(CP), 수열법(HT)과 초임계법(SC)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방법별 중금속 흡착특성을 비교하였다. 실험된 흡착소재에 의한 Pb와 Cu의 흡착은 2차 반응속도 모델과 Langmuir 모델에 의해 적절하게 설명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흡착소재의 단분자층에서 이루어지는 균일한 흡착임을 알 수 있었다. Pb와 Cu 흡착용량은 활성탄(AC)에 망간산화물을 코팅시킴으로써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OAC의 제조방법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CP, HT, SC의 순으로 활성탄 표면에 코팅된 망간산화물의 양과 균일성이 증가하며 그로인해 흡착용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MOAC가 중금속으로 오염된 환경을 정화시키기 위해 적절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Pb(II) and Cu(II) by the manganese oxide-coated activated carbon (MOAC) were investigated by series of batch experiments. MOAC was prepared by three types of manufacturing methods such as chemical precipitation method (CP), hydrothermal method (HT) and supercrit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흡착소재의 제조방법에 따른 중금속 흡착특성에 관한 연구결과는 발표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활성탄망간 산화물 합성소재(manganese oxide-coated activated carbon, MOAC)의 제조방법에 따른 중금속 제거특성을 규명하여 효율적인 제조방법을 도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 및 지하수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1) 최근 급속한 산업발달로 인해 생태계로 유입되는 중금속의 양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중금속 처리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2) 현재 토양 및 지하수로부터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화학침전, 이온교환, 역삼투, 전기분해, 전기투석 등이 활용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공정이 비경제적이고 처리과정에서 각종 폐기물 또는 슬러지와 같은 2차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3) 중금속 제거기술의 다양한 방법 중 흡착 기술은 적용성과 효율 측면에서 주목받아왔다.
중금속의 특징은 무엇인가? 도시주변의 산업활동, 광산, 군부대 등에서 지속적으로 배출되고 있는 중금속은 낮은 농도에서도 높은 독성을 가지고 있는 유해물질로 유기오염물질과는 달리 분해되지 않고 생태 환경에 잔류하며, 특히 토양․지하수 등으로 이동 및 분산되어 주변 생태계에 광역적이고 치명적인 환경문제를 일으킨다.1) 최근 급속한 산업발달로 인해 생태계로 유입되는 중금속의 양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중금속 처리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다.
활성탄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활성탄은 다공성 구조와 넓은 표면적으로 인해 유기성 또는 무기성 오염물질 제거에 널리 활용되어온 대표적인 흡착소재이다. 하지만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흡착용량(adsorption capacity)의 한계로 인하여 더 이상 오염물질을 흡착할 수 없으며 재생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흡착제에 알루미늄, 망간, 철 등을 이용하여 흡착용량을 증가시키는 표면개질에 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으며 이중 망간은 다른 금속에 비하여 중금속에 대한 친화성이 높아 제올라이트, 탄소나노튜브(CNT), 모래, 활성탄 등 다양한 흡착소재에 적용되어져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Department of Environment (DOE), Soil monitoring network and results(2006). 

  2. Ok, Y. S., Yang, J. E., Zhang,, Y. S., Kim, S. J. and Chung, D. Y., "Heavy metal adsorption by a formulated zeolite- Portland cement mixture," J. Hazard. Mater., 147(1-2), 91-96(2007). 

  3. Seo, Y. C., Lee, H. J. and Kim, D. W.,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biosorption by penicillium biomass," J. Kor. Soc. Environ. Anal., 9, 49-54(2006). 

  4. Han, R., Lu, Z., Zou, W., Daotong, W., Shi, J. and Jiujun, Y., "Removal of copper(II) and lead(II) from aqueous solution by manganese oxide coated sand II. Equilibrium study and competitive adsorption," J. Hazard. Mater., B137, 480-488(2006). 

  5. Zou, W., Han, R., Chen, Z, Jinghua, Z. and Shi, J., "Kinetic study of adsorption of Cu(II) and Pb(II) from aqueous solutions using manganese oxide coated zeolite in batch mode," Colloid. Surf. A: Physicochem. Eng. Aspects, 279, 238-246 (2006). 

  6. Wang, S., Gong, W., Liu, X., Yao, Y., Gao, B. and Yue, Q., "Removal of lead(II) from aqueous solution by adsorption onto manganese oxide-coated carbon nanotubes," Sep. Purific. Technol., 58, 17-23(2007). 

  7. Li, Y. H., Wang, S. G., Wei, J. Q., Zhang, X. F., Xu, C. L., Luan, Z. K., Wu, D. H. and Wei, B. Q., "Lead adsorption on caron nanotubes," Chem. Phys. Lett., 357, 263-266(2002). 

  8. Ma, Y., Wang, S., Fan, M., Gong, W. and Gao, B., "Characteristics and defluoridation performance of granular activated carbons coated with manganese oxides," J. Hazard. Mater., 168, 1140-1146(2009). 

  9. Richter, M., Berndt. H., Eckelt, R., Schneider M. and Fricke, R., "Zeolite-mediated removal of NOx by NH3 from exhaust streams at low temperatures," Catal. Today, 54, 531-545(1999). 

  10. Teng, S., Wang, S., Gong, W., Liu, X. and Gao, B., "Removal of fluoride by hydrous manganese oxide-coated alumina: erformance and mechanism," J. Hazard. Mater., 168, 1004-1011(2009). 

  11. Wang, S., Gong, W., Liu, X., Yao, Y., Gao, B. and Yue, Q., "Removal of lead(II) from aqueous solution by adsorption onto manganese oxide-coated carbon nanotubes," Sep. Purific. Technol., 58, 17-23(2007). 

  12. Kim, B. K., Lim, J. W., Chang, Y. Y. and Yang, J. K., "Comparison of the As(III) Oxidation Efficiency of the Manganese- coated Sand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Kor. J. Soil Groundwater Environ., 13(2), 62-69(2008). 

  13. Liang, S., Teng F., Bulgan, G., Zong, R. and Zhu, Y., "Effect of Phase Structure of $MnO_2$ Nanorod Catalyst on the Activity for CO Oxidation," J. Phys. Chem., 112, 5307-5315(2008). 

  14. Teng, F., Santhanagopalan S. and Meng, D. D., "Microstructure control of $MnO_2$ /CNT hybrids under in-situ hydrothermal conditions," Solid State Sci., 12, 1677-1682(2010). 

  15. Zhang, Y., Hu, Y., Li, S., Sun, J. and Hou, B., "Manganese dioxide-coated carbon nanotubes as an improved cathodic catalystfor oxygen reduction in a microbial fuel cell," J. Power Sources, 196, 9284-9289(2011). 

  16. Ho. Y. S., "Review of second-order models for adsorption systems," J. Hazard. Mater., B136, 681-689(2006). 

  17. Aksu, Z., "Determination of the equilibrium, kinetic and thermodynamic parameters of the batch biosorption of lead (II) ions onto Chlorella vulgaris," Proc. Biochem., 38, 89-99(2002). 

  18. Jeon, D. Y., Lee, K. S., Shin, H. H. and Oh, K. J.,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for waste sludge and oyster shell," J. Environ. Sci. Soc., 15, 1053-1059(2006). 

  19. Ruthven, D. M., "Principle of adsroption and adsorption process," John Wiley & Sons, U.S.A(1984). 

  20. Choi, I. W., Kim, S. U., Seo, D. C., Kang, B. H., Sohn, B. K., Rim, Y. S., Heo. J. S. and Cho, J. S., "Biosorption of Heavy Metals by Biomass of Seaweeds, Laminaria species, Ecklonia stolonifera, Gelidium amansii and Undaria pinnatifida," Kor. J. Environ. Agric., 24(4), 370-378(2005). 

  21. Weber, J. and Miller, C. T., "Organic chemical movement over and through soil," In Sawhney, B. L., Brown, K.(ed). Reactions and movement of organic chemical,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and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pp. 305-334(19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