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성 부재료를 첨가한 시판 국수류의 항산화 특성
Antioxidant Properties of Commercial Noodles Supplement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4 no.2, 2014년, pp.183 - 189  

손종연 (국립한경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강근옥 (국립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noodles supplemented with functional ingredients for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including total phenol, flavonoid contents, electron donating, nitrite scavenging abilities and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functional noodles arranged in order of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국산 건국수류의 종류를 조사하고, 이 중 뽕잎, 백련초, 쑥, 녹차, 호박, 다시마, 칡 등을 첨가한 건국수를 시료로 선정하여 이들의 항산화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기능성 국수 제조 및 소비자들의 구매에 대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성 국수류의 첨가 부재료로 인진쑥의 생리활성은 무엇인가?  녹차에는 flavonol, flavonone, flavonoid, phenolic acid 등을 포함한 폴리페놀성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강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며, 이들 화합물의 대부분은 catechin으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et al 1998). 쑥은 국화과의 쑥속(Artemisia)에 속하는 번식력이 강한 다년생 초본으로 국내에서 인진쑥, 약쑥, 참쑥, 산쑥 등을 소재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 중 인진쑥은 항산화, 항암, 체내 지질대사 촉진 및 간독성 저하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Jin et al 2008). 또한 Kaufman et al(1997)은 칡뿌리에 아이소플라본(isoflavone)의 하나인 puerarin이 상당량 존재하여 이의 새로운 공급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
밀국수 및 뽕잎, 백련초, 쑥, 녹차, 호박, 다시마, 칡 등을 각각 첨가한 기능성 국수의 수분함량 조사 결과, 가장 높은 수분함량을 보이는 국수는? 밀국수 및 뽕잎, 백련초, 쑥, 녹차, 호박, 다시마, 칡 등을 각각 첨가하여 제조한 기능성 국수의 일반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1과 같았다. 국수의 수분 함량은 10.25∼11.86%로 백련초 첨가 국수에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인 밀국수(9.52%)에 비해 모든 국수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기능성 국수류의 첨가 부재료로 뽕잎의 성분 특징은? 시판되고 있는 일부 기능성 국수류의 첨가 부재료 특성을 살펴보면, 우선 뽕잎에 존재하는 주요 성분은 비휘발성 성분인 rutin, quercetin, isoquercetin 등의 플라보노이드로, 이 중에서 rutin은 인체 내 모세혈관 강화 작용과 수축 작용을 나타내는 순환계 질환 치료제와 혈압 강하제로 이용되고 있다(Makam KR 1989, Lim et al 2007). 녹차에는 flavonol, flavonone, flavonoid, phenolic acid 등을 포함한 폴리페놀성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어 강한 항산화 작용을 나타내며, 이들 화합물의 대부분은 catechin으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류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et al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식품공업협회 (2011) 가공식품 세분화 시장 현황조사. 농수산물유통공사 pp 15-30. 

  2.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p 69-74. 

  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4. Byers T, Perry G (1992) Dietary carotenes, vitamin C and vitamin E as protective antioxidant in human cancers. Annu Rev Nur 12: 135-139. 

  5.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3. 

  6. Fridovich I (1995) Superoxide radical and superoxide dismutases. Annu Rev Biochem 64: 97-112. 

  7. Gray JI, Dugan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8. Halliweill B (1991) Reactive oxygen species in living systems: source, biochemistry, and role in human disease. Ame J Med 91: 14-19. 

  9. Halliwel B, Gytterige JM (1990) Role of free radicals and catalytic metal ions in human disease: an overview. Methods Enzymol 186: 1-85. 

  10. Jin YX, Yoo YS, Han EK, Kang IJ, Chung CK (2008) Artemisia capillaris and Paecilomyces japonica stimulate lipid metabolism and reduce hepatotoxicity induced carbon tetrachloride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48-554. 

  11. Ju IO, Jung GT, Ryu J, Choi JS, Choi YG (2005)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amboo(Phyllostachys bambusoides Starf) extracts prepared with different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4: 542-548. 

  12. Jung BM, Park SO, Shin TS (2009)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noodle made with added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180-188. 

  13.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14. Kaufman PB, Duke JA, Brielmann H, Boik J, Hoyt E (1997) A comparative survey of leguminous plants as sources of the isoflavones, genistein and daidzein: Implications for human nutrition and health. J Altern Complement Med 3: 7-12. 

  15. Kim EO, Oh JH, Lee KT, Im JG, Kim SS, Suh HS, Choi SW (2008)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olored rice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15: 118- 

  16. Kim JG, Shim JY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 flour noodle added with onion powder. Food Engineering Progress 10: 269-274. 

  17. Kim ML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Gardenia jasminoi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Gardenia jasminoid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237-243. 

  18. Lim MJ, Bae YI, Jeong CH, Cho BR, Choi JS (2007) Phytochemical components of mulberry leaf tea by different roasting processes. J Agric Life Sci 41: 17-24. 

  19. Makam KR (1989) Methods in plant biochemistry in flavone. Flavonols & Their Glycosides 1: 197-235. 

  20. Marcocci L, Maguire JJ, Droy-Lefaix MT, Packer L (1994) Nitric oxide scavenging by curcuminoids. Biochem Biophys Res Comm 201: 748-755. 

  21. Park BH, Jeon ER, Kim SD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5: 225-231. 

  22. Park JH, Choi HK, Park KH (1998) Chemical components of various green teas on market. J Korean Tea Soc 4: 83-92. 

  23. Shin JH, Lee JY, Ju JC, Lee SJ, Cho HS, Sang N (2005) Chemical properties and nitrate scavenging ability of citron (Citrus juno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496-502. 

  24. Song SH, Jung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Garakguksu) with Curcuma longa L.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199-205. 

  25. Woo WS (1995) Phenolic compound. In Natural Product Chemistry Method. 2nd ed.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pp 61-157. 

  26. http://finance.daum.net/news/fund/all/MD20120226161105359. daum Accessed October 8,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