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쌀가루와 알칼리제를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supplemented with rice flour and alkaline reagen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1 no.3, 2019년, pp.237 - 242  

정경아 (원광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한수희 (원광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지영 (원광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신예림 (원광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수정 (원광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창주 (원광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밀가루에 면류첨가알칼리제를 첨가한 밀가루 면(0.2, 0.4%)과 밀가루에 쌀가루(10-40%)와 면류첨가알칼리제(0.2, 0.4%)를 첨가한 쌀가루 면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고 쌀가루와 면류첨가알카리제의 최적 첨가량을 조사하였다. 면에 쌀가루를 첨가할 경우 밀가루면 대비 색도가 밝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황색도는 알칼리제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조리적 특성을 보면 쌀가루를 첨가할수록 조리면의 수분흡수율, 부피, 무게가 감소하였으며, 반면에 탁도는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나 조리 과정 중에 쌀전분의 용출작용이 병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쌀가루의 면의 조직감은 쌀가루 첨가량이 적정수준을 넘어가면 경도, 탄력성, 씹힘성, 신장성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20% 쌀가루와 0.4% 알칼리제를 첨가한 면이 밀가루에 알칼리제 0.4% 첨가한 면과 유사한 조직감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쌀가루 및 면류첨가알칼리제를 첨가한 쌀국수 제조방법의 기초자료로 제공되어 향후 연구 수행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timal amount of alkaline reagent (0.2 or 0.4%) and rice flour (10-40%) for noodle and supplementation, and compare quality characteristics with those of wheat noodles. Texture properties, pH, tension profiles, and cooking quality of noodles supplem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급속히 팽창한 쌀가루 시장에서 쌀가루의 활용도를 높여 쌀의 공급 과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밀가루에 쌀가루를 대체하여 쌀의 소비를 증대시키는 연구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쌀가루와 면류 알칼리제를 밀가루면에 첨가하여 쌀 첨가 면류의 최적 제조 조건을 확립하고, 제조한 면류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수의 특징은? 이에 따라 면류(Choi 등, 2014), 주류(Cho 등, 2012), 음료류(Shin 등, 2017), 죽류(Ku 등, 2013), 빵류(Lee와 Lee, 2006), 밥류(Oh 등, 2016) 등 쌀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제품개발과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Oh 등(2010)에 따르면 국수는 우리나라에서 예로부터 경사스런 일이 있을 때나 건강장수를 기원하고자 할 때 먹었으며, 현재에도 밥, 빵과 더불어 기호성이 높은 가공식품이고, 밀가루에 소금과 물을 혼합하고 반죽하여 면대를 형성시킨 다음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면발을 만드는데, 이는 밀가루에 함유된 글루텐의 점탄성에 의해 만들어진다. 면류 또는 빵류에 밀가루 대신 쌀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가 시도되어왔다(Seo 등, 2011).
쌀이 건강 측면에서 밀가루를 대체할 좋은 소재인 이유는? 쌀은 건강식품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밀가루를 쌀가루로 대체하려는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쌀에는 과민성 장질환(celiac disease)을 일으키는 원인 물질로 알려진 글루텐(gluten)을 함유하지 않아 밀가루를 대체할 수 있는 좋은 소재이다(Han, 2009). 이미 서양이나 일본에서는 쌀을 이용한 빵, 과자, 이유식 등 다양한 가공식품들이 시도되고 있다.
밀가루 대신 쌀가루를 사용할 때 나타나는 장점과 한계점은 무엇인가? 면류 또는 빵류에 밀가루 대신 쌀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연구가 시도되어왔다(Seo 등, 2011). 쌀가루는 밀가루보다 제분방법 이 상대적으로 쉬우며, 쌀 단백질은 prolamin 함량이 매우 낮은 저자극(hypoallergenic) 소재이므로 여기에 물성을 개선시킬 적절한 부재료를 혼합할 경우 활용성이 높은 이상적인 제품이 만들어질 수 있고 쌀 소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하지만 밀가루 대비 쌀의 경우 특유의 쫄깃함이 부족하고 가공에 있어 우수한 쌀가루의 개발이 미비하여 구조형성을 위해 보조적인 첨가물질이 필요한 상태이다. 국내에서는 면류 중 쌀가루를 첨가한 면의 경우 100% 쌀가루가 아닌 밀가루, 전분, 면개량제 등을 첨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 HK, Lee JY, Seo WT, Kim MK, Cho KM.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during Makgeolli fermentation by purple sweet potato-rice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728-735 (2012) 

  2. Choi EJ, Kim CH, Kim YB, Kum JS, Jeong YH, Park JD. Quality characteristics of instant rice noodles manufactured with broken rice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1270-1277 (2014) 

  3. Han JA. Digestive, phys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cookies made of dry-heated OSA-high amylose rice starch.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668-672 (2009) 

  4. Jeon JR, Kim HH, Park GS.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prepared with pine needle powder and extrac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 Sci. 21: 682-692 (2005) 

  5. Jeong JH. Effects of alkaline reagents on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of ramyon. J. Korean Soc. Food Cult. 13: 261-266 (1998) 

  6. Jeong CH, Kim JH, Cho JR, Ahn CG, Shim KH.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added with Korean paprika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779-784 (2007) 

  7. Jeong CH, Shim KH, Bae YI, Choi JS.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freeze dried garlic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69-1374 (2008) 

  8. Kim HS, Ahn SB, Lee KY, Lee SR.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III. noodle-making and cookie-making tests with composite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5: 25-32 (1973) 

  9. Kim YS, Ha TY, Lee SH, Lee HY. Effect of rice bran dietary fiber on flour rheology and quality of wet nood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90-95 (1997) 

  10. Kim SK, Kim HR, Bang JB. Effects of alkaline reagent on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and noodle property.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58-65 (1996) 

  11. Kim KH, Park BH, Kim DH, Cho HS.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supplemented with skate (Raja kenojei) skin and bone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353-360 (2008) 

  12. Kim SK, Yoo YJ.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with whey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 386-392 (2001) 

  13.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gricultural Statistics Info: An output tendency of crops.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Accessed Mar. 11, 2019. 

  14. Ku KH, Cho EJ, Koo MS. Optimal mixture ratio for rice (Oryza sativa L.) gruel supplemented with puffed rice by mixture desig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2018-2026 (2013) 

  15. Lee MH, Lee YT. Bread-making properties of rice flours produced by dry, wet and semi-wet mill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886-890 (2006) 

  16. Lee YC, Shin KA, Jeong SW, Moon YI.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added with powder of Opunitia ficus-ind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604-1612 (1999) 

  17. Lim YS, Cha WJ, Lee SK, Kim YJ. Qualit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 with Lycii fructus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7-83 (2003) 

  18. Oh BY, Lee YS, Kim YO, Kang JH, Jung KJ, Park JH.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prepared by adding Hericium erinaceum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714-720 (2010) 

  19. Oh SW, Lee SM, Park SY, Lee SY, Lee WH, Cho HS, Yeo YS. Rice biotechnology and current development. J. Korean Soc. Int. Agric. 28: 24-36 (2016) 

  20. Park SI, Cho EJ.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 added with chlorella extract. Korean J. Food Nutr. 17: 120-127 (2004) 

  21. Park JH, Kim YO, Kug YI, Cho DB, Choi HK.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noodle proper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21-1025 (2003) 

  22. Rombouts I, Jansens KJA, Lagrain B, Delcour JA, Zhu KX. The impact of salt and alkali on gluten polymerization and quality of fresh wheat noodles. J. Cereal Sci. 60: 507-513 (2014) 

  23. Seo HI, Ryu BM, Kim CS. Effect of heat-moisture treatment of domestic rice flours containing different amylose contents on rice noodle qual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97-1603 (2011) 

  24. Shin DS, Sim EY, Lee SK, Choi HS, Park JY, Woo KS, Kim HJ, Cho DH, Oh SK, Han SI, Park HY. Comparison of quality properties of rice cultivars for beverage processing. Korean J. Food Nutr. 30: 1260-1267 (2017)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