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속가능성지수를 이용한 다목적댐의 용수공급 이행도 평가
Water Supply Performance Assessment of Multipurpose Dams Using Sustainability Index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7 no.5, 2014년, pp.411 - 420  

이광만 (Kwater, Kwater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에 의한 수문사상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수자원의 지속가능성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지속가능성지수를 이용하여 용수공급 이행도를 평가하였다. 수자원시스템 용수공급 평가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지표들을 대상으로 적용성과 유연성을 고려하여 선정하고, 선정된 매개변수로 구성된 복합지수를 이용하여 통합적으로 평가하는 방식이다. 실질적으로 신뢰도, 회복도, 취약도 및 최대물부족도 등을 기초 매개변수로 댐의 용수공급 지속가능성지수를 구성하고 15개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개별 댐과 유역별로 평가하였다. 평과결과, 금강유역의 대청댐과 낙동강 유역의 임하, 합천 및 남강댐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역은 낙동강 유역이 가장 취약하여 용수공급 안전도 향상을 위한 대응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is becoming an important issue in consideration of hydrologic uncertainty by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This study is to assess the water supply performance for the major multipurpose dams using sustainability index. Parameters, mostly utilized in water 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각 댐을 개별시스템으로 하고 단일운영 조건으로 용수공급 평가기준이라 할 수 있는 계획공급량의 충족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모의모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저수지 모의 운영을 위해서는 상태변수의 변화를 시간에 따라 추적하기 위한 상태방정식을 수립하여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다목적댐 중 주요 수계의 대표 저수지를 선정하여 용수공급의 지속가능성 수준을 상대적 평가를 통해 판단하고자 위에서 제시된 지표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Table 1과 같이 선정하였다. 우선 신뢰도 지표는 우리나라 댐 계획시 대부분 적용해 오고 있으며, 기존댐에 대한 평가시 일관성 유지를 위해 선정하였다.
  • 수자원 시스템의 이행도 관련 용수공급능력 평가는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용수공급 신뢰성 평가측면에서 목표 공급량의 이행도 수준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저류량 규모 추정이나 주어진 규모를 이용하여 공급할 수 있는 양을 평가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자원시스템에 대한 현재의 추세가 댐 건설에서 저수지시스템 관리로 옮겨가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불확실한 조건에서 계획된 기존 시스템의 용수공급 능력과 관련된 이행도 평가가 강조되고 있다.

가설 설정

  • t와 t+1은 운영단계 t의 시작과 끝을 나타낸다. 댐의 손실량은 수면증발량이나 댐 체의 누수량 등이 있으나 댐에서 관측한 저수지 유입량 자료가 이들 상태를 모두 반영하였다고 가정하고 누수량은 극히 미미하다고 판단하여 변수로 고려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자원의 지속가능성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에 의한 수문사상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점을 고려하여 수자원의 지속가능성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지속가능성지수를 이용하여 용수공급 이행도를 평가하였다.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개별 댐과 유역별 평가를 한 결과는 어떠한가? 실질적으로 신뢰도, 회복도, 취약도 및 최대물부족도 등을 기초 매개변수로 댐의 용수공급 지속가능성지수를 구성하고 15개 다목적댐을 대상으로 개별 댐과 유역별로 평가하였다. 평과결과, 금강유역의 대청댐과 낙동강 유역의 임하, 합천 및 남강댐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역은 낙동강 유역이 가장 취약하여 용수공급 안전도 향상을 위한 대응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가뭄시 인구증가와 산업화 그리고 생태환경 등 물 수요의 증가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인구증가와 산업화 그리고 생태환경 등 물 수요의 증가는 이상가뭄시 발생할 수 있는 경제적 피해를 확대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저수지를 포함한 하천수의 이용률이 비교적 높아 정상적 상태(수문학적으로 가뭄이 아닌 기간)에서도 물 공급의 안전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ai, X., MacKinney, D.C., and Lasdon, L.S. (2002). "A framework for sustainability analysis in water resources management application to the Syr Darya basin."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8, No. 6, pp. 1085-1098. 

  2. Chaves, H.M.L., and Alipaz, S. (2007). "An Integrated Indicator Based on Basin Hydrology, Environment, Life, and Policy: The Watershed Sustainability Index." 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21, No. 5, pp. 883-895. 

  3. Hashimoto, T., Stcdinger, J.R., and Loucks, D.P. (1982). "Reliability, Resiliency, and Vulnerability Criteria For Water Resource System Performance Evaluation."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8, No. 1, pp. 14-20. 

  4. HEC. (Hydrologic Engineering Center). (1975). Hydrologic engineering methods for water resources development: Vol. 8, Reservoir Yield. US Army Corps of Engineers, Davis, Calif. 

  5. Jinno, K., Zongxue, X., Kawamura, A., and Tajiri, K. (1995). "Risk assessment of a water supply system during drought."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1, No. 2, pp. 185-204. 

  6. JWRDPC. (Japan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ublic Corporation). (1977). Drought Assessment. Mizu To Tomoni, No. 159, Tokyo, Japan. 

  7. Juwana, I., Perera, B., and Muttil, N. (2010). "A water sustainability index for West Java-Part 2: refining the conceptual framework using Delphi technique."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n Water Pollution Research, Vol. 62, No. 7, pp. 1641-1652. 

  8. Lee, G.M., and Yi, J. (2012). "Analysis of Emergency Water Supply Effects of Multipurpose Dams using Water Shortage Index."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5, No. 11, pp. 1143-1156. 

  9. Loucks, D.P. (1997). "Quantifying trends in system sustainability." Hydrological Science Journal, Vol. 42, No. 4, pp. 513-530. 

  10. Loucks, D.P., Stakhiv, E.Z., and Martin, L.R. (2000). "Sustainable water resources management." Journal ofWater Resources Panning and Management, Vol. 126, No. 2, pp. 43-47. 

  11. Loucks, D.P., and van Beek, E. (2005). Water Resources Systems Planning and Management,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Paris. 

  12. McMahon, T.A., Adeloye, A.J., and Zhou, S.L. (2006). "Understanding performance measures of reservoirs." Journal of Hydrology, Vol. 324, pp. 359-382. 

  13. Mendoza, V.M., Villanuave, E.E., and Adem, J. (1997). "Vulnerability of basins and watersheds in Mexico to global climate change." Climate Research, Vol. 9, pp. 139-145. 

  14. Moy, W.-S., Cohon, J.L., and ReVelle, C. (1986). "A programming model for analysis of the reliability,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of a water supply reservoir."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22, pp. 489-498. 

  15. Policy Research Initiative. (2007). Canadian Water Sustainability Index Retrieved 5 July 2007, from http://policyresearch.gc.ca/doclib/SD_PR_CWSI_web_e.pdf. 

  16. Sandobal-Solis, S., MaKinney, D.C., and Loucks, D.P. (2011). "Sustainability Index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Journal ofWater Resources Planning and Management, Vol. 137, No. 5, pp. 381-390. 

  17. Sullivan, C. (2002). "Calculating a Water Poverty Index." World Development, Vol. 30, No. 7, pp. 1195-1210. 

  18. Vogel, R.M., and Bolognese, R.A. (1995). "Storagereliability- resilience-yield relation for over-year water supply systems."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1, No. 3, pp. 645-654. 

  19. Zongxue, X., Jinno, K., Kawanura, A., Takesaki, S., and Ito, K. (1998). "Performance risk analysis for Fukuoka watersupply system."Water Resources Management, Vol. 12, pp. 13-3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