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창작동화에 나타난 도서관과 사서
Reflections of Libraries and Librarians i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8 no.1, 2014년, pp.277 - 298  

우윤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김종성 (계명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이 연구는 어린이들이 읽는 동화책 속에 반영된 도서관과 사서의 이미지를 포괄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을 배경으로 하는 우리나라 창작동화 14편을 선별하여 자세히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동화속에 나타난 도서관은 대체로 최근에 새롭게 단장을 하여 어린이들에게 호감을 주는 외형을 가지고 있었다. 도서관의 역할은 독서활동에 편중되어 설정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활용이나 문화활동 등에 대한 반영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는 거의 모두 여성이었으며, 친절하고 적극적인 성향으로 아이들의 독서활동을 위해 노력하지만 교육자적 측면 등의 다양한 직업적 면모를 보여주지는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렇게 동화 속에 반영된 도서관과 사서의 모습은 우리 사회의 현실 속에서 인식되고 이해되는 도서관과 사서의 수준과 한계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s of libraries and librarians i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For this purpose, fourteen children's fictions that the main background is library are analyzed. Library's role appeared in the children's fictions is focused on reading books. In the chi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법 제2조에서 공공도서관을 어떻게 정의하나? 도서관법 제2조에서는 공공도서관을 공중의 정보이용․문화활동․독서활동 및 평생교육을 위하여 운영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학교도서관에 대해서는 학생 및 교원 등의 교수, 학습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업무를 수행한다고 밝히고 있다.
동화의 특징은? 동화 역시 마찬가지이다. 동화는 어린이가 즐기는 문학이며, 동화 속 사실과 상상의 세계는 작가가 경험하고 인식하는 현실이 오목하거나 볼록한 투과장치를 거쳐 반영된 것이다.
동화에서 도서관이 주요 배경이 되기 시작한 것이 오래된 일이 아닌 배경은? 하지만 동화에서 도서관이 주요 배경이 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다. 2000년 이후 독서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어린이도서관과 학교도서관 환경이 크게 변하였으며, 이러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도서관의 변화가 창작동화에 반영되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김종성. 2011. 어린이서비스론. 대구: 태일사.(Kim, Jong-Sung. 2011. Library services for children. Daegu: Taeilsa.) 

  2. 박준식. 2000. 정보환경의 변화와 사서의 역할변용.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2): 21-40.(Park, Joon-shik. 2000. "Changing Roles of the Librarians under the New Information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1(2): 21-40.) 

  3. 선주원. 2010. 청소년의 삶과 성장의 서사, 그리고 서사적 정체성. 독서연구, 24: 313-343.(Seon, Ju-Won. 2010. "The adolescent`s life and the growth narrative, and narrative identity." Journal of reading research, 24: 313-343.) 

  4. 신종락. 2009. 어린이책 출판동향에 관한 연구: 출판 유통과 마케팅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연구, 35(1): 215-235.(Shin, Jong-Rak. 2009. "A study on the printing trend of children's books: distribution und marketing in the center." Korean Publishing Science Society, 35(1): 215-235.) 

  5. 이연옥. 2005. 어린이사서의 역할과 전문성 개발 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3): 233-256.(Lee, Yeon-Ok. 2005. "A Study on the Roles and Development of Professionalism of Children`s Librarian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3): 233-256.) 

  6. 이종권, 노동조. 2011. 공공도서관 서비스 경영론. 서울: 문현.(Lee, Jong-Kwon and Noh, Dong-Jo. 2011. Service management for public libraries. Seoul: Mun Hyun Publisher.) 

  7. 전창호, 김선호. 2008. 영화에 나타난 사서의 이미지 분석. 정보관리연구, 39(1): 151-176.(Jeon, Chang-Ho and Kim, Sun-Ho. 2008. "Analysis of the Image of Librarians in Motion Pictures."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39(1): 151-176.) 

  8. 정진수. 2009. 초등학교 사서교사의 역할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281-306.(Chung, Jin-soo. 2009. "Teacher-Librarians' Perceptions of Their rol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4): 281-306.) 

  9. 조찬식, 박민영. 1999. 대중문화에 나타난 도서관과 사서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소설과 영화 속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도서관, 54(2): 103-122.(Cho, Chan-sik and Park, Min-young. 1999. "A study on the image of library and librarianship as reflected in the public culture." DOSEOGWAN, 54(2): 103-122.) 

  10. 최혜정, 현은자. 2009. 그림책에 나타난 도서관 관련 내용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51-71.(Choi Hye-Jeong and Hyun Eun-Ja. 2009. "An Analysis of the Content for Relative Library Education Through the Picture Books." The Journal of Korean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4(4): 51-71.) 

  11. Peresie, Michelle and Alexander, Linda B. 2005. "Librarian Stereotypes in Young Adult Literature." Young Adult Library service, Fall 2005: 24-31. 

  12. Monroe, Suzanne S. 2008. "Check it Out: Diverse Image of the Library Experience in Children's Literature." School Libraries Worldwide, 13(1): 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