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브릭 발목 보조기가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시공간적 보행 변수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Immediate Effect of Fabric Ankle-Foot Orthosis o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21 no.1, 2014년, pp.29 - 36  

심연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이동률 (연세대학교 장애아동 체력증진실) ,  이충휘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 of fabric ankle-foot orthosis o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compared to a barefoot condition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Eleve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participated in this study. Spatiotemporal gait p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발목 부분의 스트랩은 내외측 안정성을 제공하고 발목 관절을 중립 상태로 유지하여 관절가동범위를 개선시키며, 기존의 AFOs 보다 패브릭 소재의 사용으로 가볍고 휴대하기 편하며 비용이 절감된다(Hwang 등, 2012). 따라서 본 연구는 꿈치들린휜발 보행을 하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패브릭 발목 보조기의 착용 전후 시공간적 보행 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경직성 꿈치들린휜발 보행을 하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맨발 상태와 패브릭 보조기 착용 후 보행 능력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맨발 상태에서의 보행 보다 패브릭 보조기 착용 시 보행(보행 속도의 유의한 증가,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보 시간 유의한 감소, 마비측 보장 및 마비측과 비마비측의 활보장 유의한 증가)이 향상되었다.
  • 본 연구는 새롭게 개발된 패브릭 발목 보조기를 이용하여 꿈치들린휜발 보행을 하는 경직성 뇌성마비 아동의 시공간적 보행 변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꿈치들린휜발은 지지면에서 발과 발목의 정상적인 상호작용을 방해하여 활보장의 감소, 속도의 감소 등 보행기능을 감소시키며, 발바닥쪽굽힘이 입각기 내내 지속되어 추진 시 발바닥쪽굽힘 모멘트와 힘 발생을 감소시킨다(Gage 등, 1995; Perry와 Davids, 199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꿈치들린휜발의 원인은 무엇인가? 꿈치들린휜발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변형으로(Goldstein과 Harper, 2001), 뇌성마비 아동에서 변형의 약 90%가 발목과 발부위에 나타나며(O’Connell 등, 1998), 그 중 꿈치들린휜발의 발생률은 약 75%이다(Banks와 Green, 1958). 꿈치들린휜발은 (1)경직성 발바닥쪽굽힘근 대 약화된 발등굽힘근, (2)경직성 발바닥쪽굽힘근 대 정상적 발등굽힘근, (3)경직성 발바닥쪽굽힘근 대 이완된 발등굽힘근과 같이 근육의 불균형이 주요한 원인이며(Cobeljic 등, 2009), 발의 파악 반사(plantar grasp reflex)가 생후 1년이 지나도록 사라지지 않고 지속되어 발바닥의 가벼운 압력에도 발가락이 긴장성 굽힘과 내전이 일어나 생기게 된다(Cobeljic 등, 2009; Duncan, 1960). 뇌성마비 아동은 정상아동에 비해 발바닥쪽굽힘근이 짧고 뻣뻣하여 발등굽힘의 관절가동범위의 제한을 일으키며(Bénard 등, 2011), 서있는 상태에서도 발허리뼈 부분의 부적절한 체중지지와 과도한 발바닥쪽굽힘의 양상을 보인다(Goldstein과 Harper, 2001).
꿈치들린휜발 보행이란 무엇인가? 꿈치들린휜발 보행(equinus gait)은 보행 주기 중 초기 접지 시 앞발(forefoot)이 먼저 닿게 되고 초기 입각기에서 중간 입각기까지 과도한 발바닥쪽굽힘이 나타나는 보행의 형태로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게 흔히 발생한다(Baddar 등, 2002). 꿈치들린휜발은 경직형 뇌성마비 아동에서 가장 흔히 나타나는 변형으로(Goldstein과 Harper, 2001), 뇌성마비 아동에서 변형의 약 90%가 발목과 발부위에 나타나며(O’Connell 등, 1998), 그 중 꿈치들린휜발의 발생률은 약 75%이다(Banks와 Green, 1958).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의 측정된 시간이 짧은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3회 반복 측정후 평균값을 구하였고, 검사 사이에 30초의 휴식시간을 주었다. 측정된 시간이 짧을수록 기능적인 능력이 더 좋음을 나타낸다. 이 검사는 아동에 대한 측정자내 신뢰도(ICC=.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bel MF, Juhl GA, Vaughan CL, et al. Gait assessment of fixed ankle-foot orthoses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Arch Phys Med Rehabil. 1998;79(2):126-133. 

  2. Andersson C, Grooten W, Hellsten M, et al. Adults with cerebral palsy: Walking ability after progressive strength training. Dev Med Child Neurol. 2003;45(4):220-228. 

  3. Benard MR, Harlaar J, Becher JG, et al. Effects of growth on geometry of gastrocnemius muscle in children: A three-dimensional ultrasound analysis. J Anat. 2011;219(3):388-402. 

  4. Baddar A, Granata K, Damiano DL, et al. Ankle and knee coupling in patients with spastic diplegia: Effects of gastrocnemius-soleus lengthening. J Bone Joint Surg Am. 2002;84(5):736-744. 

  5. Balaban B, Yasar E, Dal U, et al. The effect of hinged ankle-foot orthosis on gait and energy expenditure in spastic hemiplegic cerebral palsy. Disabil Rehabil. 2007;29(2):139-144. 

  6. Banks HH, Green WT. The correction of equinus deformity in cerebral palsy. J Bone Joint Surg Am. 1958;40(6):1359-1379. 

  7. Boulay C, Pomero V, Viehweger E, et al. Dynamic equinus with hindfoot valgus in children with hemiplegia. Gait Posture. 2012;36(1):108-112. 

  8. Buckon CE, Thomas SS, Jakobson-Huston S, et al. Comparison of three ankle-foot orthosis configurations for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Dev Med Child Neurol. 2004;46(9):590-598. 

  9. Buckon CE, Thomas SS, Jakobson-Huston S, et al. Comparison of three ankle-foot orthosis configurations for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a. Dev Med Child Neurol. 2001;43(6):371-378. 

  10. Carlson WE, Vaughan CL, Damiano DL, et al. Orthotic management of gait in spastic diplegia. Am J Phys Med Rehabil. 1997;76(3):219-225. 

  11. Chung CY, Ahn CH, Choi IH, et al. Kinematic and kinetic changes of the ankle after the correction of spastic equinus deformity: Z-plastic lengthening versus strayer method. J Korean Orthop Assoc. 2002;37(6):759-765. 

  12. Cobeljic G, Bumbasirevic M, Lesic A, et al. The management of spastic equinus in cerebral palsy. Orthop Trauma. 2009;23(3):201-209. 

  13. Condie DN, Meadows CB. Ankle-Foot Orthoses: Biomechanical basis of orthotic management. Oxford, England, Butterworth-Heineman, 1993: 99-123. 

  14. Damiano DL, Prosser LA, Curatalo LA, et al. Muscle plasticity and ankle control after repetitive use of a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for foot drop in cerebral palsy.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3;27(3):200-207. 

  15. de Saca LR, Catlin PA, Segal RL. Immediate effects of the toe spreader on the tonic toe flexion reflex. Phys Ther. 1994;74(6):561-570. 

  16. Duncan WR. Tonic reflexes of the foot. Their orthopaedic significance in normal children and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Bone Joint Surg Am. 1960;42-A:859-868. 

  17. Dusing SC, Thorpe DE. A normative sample of temporal and spatial gait parameters in children using the GAITRite electronic walkway. Gait Posture. 2007;25(1):135-139. 

  18. Gage JR, Deluca PA, Renshaw TS. Gait analysis: Principles and applications. Emphasis on its use in cerebral palsy. J Bone Joint Surg Am. 1995;77(10):1607-1623. 

  19. Goldstein M, Harper DC. Management of cerebral palsy: Equinus gait. Dev Med Child Neurol. 2001;43(8):563-569. 

  20. Graham HK, Aoki KR, Autti-RamoI, et al. Recommendations for the use of botulinum toxin type a in the management of cerebral palsy. Gait Posture. 2000;11(1):67-79. 

  21. Graham HK, Fixsen JA. Lengthening of the calcaneal tendon in spastic hemiplegia by the white slide technique. A long-term review. J Bone Joint Surg Br. 1988;70(3):472-475. 

  22. Graham HK, Selber P. Musculoskeletal aspects of cerebral palsy. J Bone Joint Surg B. 2003; 85(2):157-166. 

  23. Hwang YI, An DH, Yoo WG. Effects of the dual afo on gait parameters in stroke patients. NeuroRehabilitation. 2012;31(4):387-393. 

  24. Katz-Leurer M, Rotem H, Lewitus H, et al. Functional balance tests for children with traumatic brain injury: Within-session reliability. Pediatr Phys Ther. 2008;20(3):254-258. 

  25. Kim HJ, Chun MH, Kim HM, et al. Effects on foot external rotation of the modified ankle-foot orthosis on post-stroke hemiparetic gait. Ann Rehabil Med. 2013;37(4):516-522. 

  26. Kim SG, Ryu YU, Kim WH. The effectiveness of backward gait training on the treadmill in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c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Phys Ther Kor. 2012;19(3):81-90. 

  27. Klotz MC, Wolf SI, Heizmann D, et al. The influence of botulinum toxin a injections into the calf muscles on genu recurvatum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lin Orthop Relat Res. 2013; 471(7):2327-2332. 

  28. Lowes LP, Habib Z, Bleakney D, et al.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measures of balance and functional abilitie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ediatr Phys Ther. 1996;8(4):176. 

  29. Molnar GE, Alexander MA. Pediatric Rehabilitation. 3rd ed. Philadelphia, PA, Hanley & Belfus, 1999:193-217. 

  30. O'Connell PA, D'Souza L, Dudeney S, et al. Foot deformitie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Pediatr Orthop. 1998;18(6):743-747. 

  31. Perry J, Davids JR.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J Pediatr Orthop. 1992;12 (6):815. 

  32. Sees JP, Miller F. Overview of foot deformity manage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Child Orthop. 2013;7(5):373-377. 

  33. Simkin A, Robin GC, Magora A, et al. Investigation of gait. 6. Relationship between muscle action and mechanical stresses in below-knee braces. Electromyogr Clin Neurophysiol. 1973;13(5): 495-503. 

  34. Sorsdahl AB, Moe-Nilssen R, Strand LI. Test-retest reliability of spatial and temporal gait parameter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s measured by an electronic walkway. Gait Posture. 2008;27(1):43-50. 

  35. Stein RB, Chong S, Everaert DG, et al. A multicenter trial of a footdrop stimulator controlled by a tilt sensor.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6;20(3):371-379. 

  36. Strayer LM Jr. Recession of the gastrocnemius; An operation to relieve spastic contracture of the calf muscles. J Bone Joint Surg Am. 1950;32(3):671-676. 

  37. Sutherland DH, Kaufman KR, Wyatt MP, et al. Double-blind study of botulinum a toxin injections into the gastrocnemius muscle in patients with cerebral palsy. Gait Posture. 1999;10(1):1-9. 

  38. Tachdjian MO. The Child's Foot. Philadelphia, PA, W.B. Saunders Co., 1985:556-597. 

  39. White H, Jenkins J, Neace WP, et al. Clinically prescribed orthoses demonstrate an increase in velocity of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retrospective study. Dev Med Child Neurol. 2002;44(4):227-232. 

  40. Williams EN, Carroll SG, Reddihough DS, et al. Investigation of the timed 'up & go' test in children. Dev Med Child Neurol. 2005;47(8): 518-5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원문 보기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