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퇴골 회전방지보조기를 착용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뇌성마비 아동의 하지배열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단일그룹 반복측정 연구
The Effects of Treadmill Gait Training with Flexible Derotator of Femur Orthosis on Postural Alignment of Lower Extremities and Gai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ingle Group Rpeated Measure Design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9 no.1, 2014년, pp.1 - 10  

유현영 (대전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김선엽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장현정 (대전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lexible derotator of femur orthosis (FDO) during treadmill gait training on the quadriceps-angle (Q-angle), lateral pelvic tilt, gait speed, and number of step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Seven children with cereb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보행능력 향상을 위한 FDO를 착용하여 하지배열을 바로잡은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FDO 착용 전과 비교해 하지배열과 보행능력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변화를 가져왔다. 뇌성마비 아동의 치료적 접근법들은 가능하면 비침습적이고 효과적이며 비용적인 측면에 있어서도 누구나 부담 없이 이용 가능한 것이 최적의 치료(Marcucci 등, 2011; Papavasiliou, 2009)라 할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 사용한 FDO는 효율적인 치료보조 기구라고 제안하는 바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몇몇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 따라서 FDO를착용한 보행훈련은 뇌성마비 아동에게 발생될 수 있는 이차적인 하지의 근골격계 변형을 개선하고 보행능력향상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고관절의배열 문제를 가진 뇌성마비 아동의 보행훈련 시에 대퇴골 회전방지보조기를 이용할 것을 권장하는 바이다.
  • Stebbins 등(2010)은 뇌성마비 아동들의 이러한 근골격계 문제를 치료하는 것이 정상 보행패턴을 회복하는데 필수적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지의 근골격계 문제를 수정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을 적용하여 그로 인한 하지배열 그리고 보행 능력에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부적절한 근긴장으로 인해 하지의 내회전 및 외회전과 같은 근골격계 변형을 보이는 뇌성마비 아동 7명을 대상으로 이를 교정하기 위해 대퇴골 회전 방지보조기(FDO)를 착용하고 실시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대상자의 대퇴사두근각, 외측골반경사각도 및 보행속도와 걸음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FDO를 착용한 후에 착용하기 전과 비교해 하지 배열 상태에 변화를 주었고, 보행속도가 증가되었으며 걸음수는 감소되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 보행이 가능한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대퇴골 회전 변형을 교정 및 예방하기 위해 고안된 FDO를 착용하고 실시한 트레드밀 보행훈련이 하지배열의 변화와 보행 속도 및 걸음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laban B, Yasar E, Dal U, et al. The effect of hinged ankle-foot orthosis on gait and energy expenditure in spastic hemiplegic cerebral palsy. Disabil Rehabil. 2007;29(2):139-44. 

  2. Bahramizadeh M, Mousavi ME, Rassafiani M, et al. The effect of floor reaction ankle foot orthosis on postural control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Prosthet Orthot Int. 2012;36(1):71-6. 

  3. Bax M. Diagnostic assessment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Lancet Neurol. 2004;3(7):395. 

  4. Blair E, Watson L. Epidemiology of cerebral palsy. Semin Fetal and Neonatal Med. 2006;11(2):117-25. 

  5. Borel S, Schneider P, Newman CJ. Video analysis software increases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video gait assessment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Gait Posture. 2011;33(4):727-9. 

  6. Cans C, de-la-Cruz J, Mermet M. Epidemiology of cerebral palsy. Paediatr Child Health. 2008;18(9):393-8. 

  7. Cynn HS, Oh JS, Kwon OY, et al. Effects of lumbar stabilization using a pressure biofeedback unit on muscle activity and lateral pelvic tilt during hip abduction in sidelying Arch Phys Med Rehabil. 2006;87(11):1454-8. 

  8. Choi JI, Jeon DW, Kim JJ. A study of elasticity fabrics expressed on fashion style. Fashion business. 2007;11(4):92-100. 

  9. Chong J, Mackey AH, Broadbent E, et al. Relationship between walk tests and parental reports of walking abilitie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2011;92(2):265-70. 

  10. Chrysagis N, Skordilis EK, Stavrou N, et al. The Effect of treadmill training on gross motor function and walking speed in ambulatory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 J Phys Med Rehabil. 2012;91(9):747-60. 

  11. Dallmeijer AJ, Baker R, Dodd KJ, et al. Association between isometric muscle strength and gait joint kinetics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ith cerebral palsy. Gait Posture. 2011;33(3):326-32. 

  12. Daneshmandi H, Saki F, Shahheidari S, et al. Lower extremity malalignment and its linear relation with Q angle in female athletes. Procedia -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011;15:3349-54. 

  13. Drougia A, Giapros V, Krallis N, et al. Incidence and risk factors for cerebral palsy in infants with perinatal problems: A 15-year review. Early Hum Dev. 2007;83(8):541-7. 

  14. Fantini Pagani CH, Potthast W, Bruggemann GP. The effect of valgus bracing on the knee adduction moment during gait and running in male subjects with varus alignment. Clin Biomech (Bristol, Avon). 2010;25(1):70-6. 

  15. Gage MD, James R, Novacheck MD, et al. An update on the treatment of gait problems in cerebral palsy. J Pediatr Orthop B. 2001;10(4):265-74. 

  16. Gaston MS, Rutz E, Dreher T, et al. Transverse plane rotation of the foot and transverse hip and pelvic kinematics in diplegic cerebral palsy. Gait Posture. 2011;34(2):218-21. 

  17. Harvey A, Gorter JW. Video gait analysis for ambulatory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y, when, where and how! Gait Posture. 2011;33(3):501-3. 

  18. Jacobsson B, Hagberg G. Antenatal risk factors for cerebral palsy. Best Pract Res Clin Obstet Gynaecol. 2004;18(3):425-36. 

  19. Kim JY, Kim SW. The effect of exercise training for using Vojta approach on gross motor function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Spec Educ Res. 2012;11(2):77-95. 

  20. Knutson LM, Clark DE. Orthotic devices for ambulation in children with cerebral-palsy and myelomeningocele. Phys Ther. 1991;71(12):947-60. 

  21. Linda F. Measurement and treatment in cerebral palsy: An argument for a new approach. Phys Ther. 1991;71(3):244-7. 

  22. Marcucci A, Edouard P, Loustalet E, et al. Efficiency of flexible derotator in walking cerebral palsy children. Ann Phys Rehabil Med. 2011;54(6):337-47. 

  23. Mehrholz J, Wagner K, Rutte K, et al. Predictive validity and responsiveness of the functional ambulation category in hemiparetic patients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7;88(10):1314-9. 

  24. Morris C. A review of the efficacy of lower-limb orthoses used for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2002;44(3):205-11. 

  25. Murray AW, Robb JE. (v) The hip in cerebral palsy. Current Orthopaedics. 2006;20(4):286-93. 

  26. Neviani R, Borghi C, Costi S, et al. Effectiveness of AFO orthoses in children affected by cerebral palsy: Clinical evaluation does not always define patient satisfaction. Gait posture. 2012;35:37-8. 

  27. Ozturk A, Demirci F, Yavuz T, et al. Antenatal and delivery risk factors and prevalence of cerebral palsy in Duzce (Turkey). Brain Dev. 2007;29(1):39-42. 

  28. Page JC. Symptomatic flatfoot. J Am Podiatry Assoc. 1983;73:393-9. 

  29. Papavasiliou AS. Management of motor problems in cerebral palsy: A critical update for the clinician. Eur J Paediatr Neurol. 2009;13(5):387-96. 

  30. Park ES, Park CI, Chang HJ, et al. The effect of hinged ankle-foot orthoses on sit-to-stand transfer in children with spastic cerebral pals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12):2053-7. 

  31. Quinby JM, Abraham A. Musculoskeletal problems in cerebral palsy. Curr Paediatr. 2005;15(1):9-14. 

  32. Romkes J, Hell AK, Brunner R. Changes in muscle activity in children with hemiplegic cerebral palsy while walking with and without ankle?foot orthoses. Gait Posture. 2006;24(4):467-74. 

  33. Scholtes VA, Becher JG, Janssen-Potten YJ, et al. Effectiveness of functional progressive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walking ability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es Dev Disabil. 2012;33(1):181-8. 

  34. Stebbins J, Harrington M, Thompson N, et al. Gait compensations caused by foot deformity in cerebral palsy. Gait Posture. 2010;32(2):226-30. 

  35. Westberry DE, Davids JR, Shaver JC, et al. Impact of ankle-foot orthoses on static foot alignment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J Bone Joint Surg Am. 2007;89(4):806-13. 

  36. Wilson T, Kitsell F. Is the Q-angle an absolute or a variable measure?: Measurement of the Q-angle over one minute in healthy subjects. Physiotherapy. 2002;88(5):296-3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